KR200246332Y1 - 밀대걸레 - Google Patents

밀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332Y1
KR200246332Y1 KR2020010015426U KR20010015426U KR200246332Y1 KR 200246332 Y1 KR200246332 Y1 KR 200246332Y1 KR 2020010015426 U KR2020010015426 U KR 2020010015426U KR 20010015426 U KR20010015426 U KR 20010015426U KR 200246332 Y1 KR200246332 Y1 KR 200246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p
vertical rod
fitted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철
Original Assignee
장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철 filed Critical 장수철
Priority to KR2020010015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332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부가 중공된 제 1 수직봉, 제 1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는 제 1 본체, 제 1 수직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봉, 제 2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 1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 및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 끼워지는 걸레포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 걸레포의 양단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고 제 1 수직봉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2 수직봉을 회전시켜 걸레포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밀대걸레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는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걸레포를 구비한다. 제 1 본체는 내부에 가이드가 형성된 제 1 수직봉을 구비한다. 제 1 수직봉의 하단에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 플레이트를 제 1 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제 1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 1 지지부를 구비한다. 제 2 본체는 가이드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수직봉 및 제 2 수직봉의 하단에는 제 3 플레이트, 제 4 플레이트 및 제 4 플레이트를 제 3 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제 2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한다. 한편, 걸레포는 다수의 천이 엉켜서 이루어진 걸레 및 걸레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제 3 플레이트 및 제 4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마무리부 및 제 2 마무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밀대걸레{A floorcloth}
본 고안은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중공된 제 1 수직봉, 제 1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는 제 1 본체, 제 1 수직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봉, 제 2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 1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 및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 끼워지는 걸레포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 걸레포의 양단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고 제 1 수직봉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2 수직봉을 회전시켜 걸레포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밀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주택구조는 주로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기 때문에 바닥의 먼지등을 제거한 후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바닥 등을 청소하였다. 이러한 쪼그린 자세에서 장시간 동안 청소를 하게 되면 무릎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흡입식 전기청소기 및 물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밀대걸레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밀대걸레는 수직한 봉의 하단에 걸레포를 잡아주는 누름판이 구비되며, 누름판에 지지된 걸레포가 바닥면을 왕복운동을 하므로써 바닥면이 청소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술한 밀대걸레의 걸레포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하중을 가하여 누름판을 조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리나 걸레포가 함유하고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직접 작업자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걸레포를 짜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가 중공된 제 1 수직봉, 제 1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지지부를 가지는 제 1 본체, 제 1 수직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봉, 제 2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 1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 및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 끼워지는 걸레포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 걸레포의 양단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고 제 1 수직봉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2 수직봉을 회전시켜 걸레포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밀대걸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대걸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된 밀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밀대걸레 110 : 제 1 본체
112 : 제 1 수직봉 120 : 제 1 지지부
122 : 제 1 플레이트 124 : 제 2 플레이트
140 : 제 2 본체 142 : 제 2 수직봉
150 : 제 2 지지부 152 : 제 3 플레이트
160 : 제 4 플레이트 170 : 걸레포
172 : 걸레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외측원주면 중앙부에서 하부측으로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1 수직봉, 제 1 수직봉의 하단에서 가이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 제 1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수직봉을 따라 이송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 1 지지부로 이루어진 제 1 본체;
가이드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수직봉을 구비하고, 제 2 수직봉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하부면에는 외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며 원주면상에 제 2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봉이 연장된 제 3 플레이트, 제 3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 수직봉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4 플레이트 및 제 2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너트를 가지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진 제 2 본체; 및
다수의 천이 엉키어서 이루어진 걸레부를 구비하며, 걸레부의 양단에는 제 1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마무리부 및 제 3 플레이트 및 제 4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는 제 2 마무리부가 형성된 걸레포를 포함하는 밀대걸레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된 제 1 수직봉, 제 1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는 제 1 본체, 제 1 수직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봉, 제 2 수직봉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 1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 및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 끼워지는 걸레포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 걸레포의 양단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고 제 1 수직봉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2 수직봉을 회전시켜 걸레포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대걸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대걸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된 밀대걸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100)는 제 1 본체(110), 제 2 본체(140) 및 걸레포(170)를 구비한다.
먼저, 제 1 본체(110)는 제 1 수직봉(112) 및 제 1 지지부()를 구비한다. 제 1 수직봉(112)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된 가이드(114)가 형성되고 외측원주면 중앙부에서 하부측으로 제 1 수나사부(116)가 형성되며, 상부에는조임너트(118)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수직봉(112)에는 제 1 지지부(120)가 배치된다.
제 1 지지부(120)는 제 1 플레이트(122), 제 2 플레이트(124) 및 제 1 고정너트(130)를 구비한다. 제 1 플레이트(122)는 제 1 수직봉(112)의 하단에서 가이드(1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제 1 플레이트(122)의 상부면 양측부분에는 제 1 미끄럼방지턱(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미끄럼방지턱(113) 사이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1 이탈방지돌기(127)가 형성된다.
제 2 플레이트(124)는 제 1 플레이트(122)의 상부에서 제 1 수직봉(112)을 따라 상, 하로 이송되게 배치된다. 이때, 제 2 플레이트(124)의 상부면 상에는 제 1 이탈방지돌기(125)가 끼워지는 제 1 고정공(125)이 형성되며, 일측면 상에는 제 1 플레이트(122)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 1 보강대(1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보강대(126)의 하단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8)가 제 1 플레이트(122)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플레이트(124)의 상부에는 제 1 고정너트(130)가 제 1 수나사부(116)에 체결된다.
제 2 본체(140)는 제 1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제 2 수직봉(142) 및 제 2 지지부(150)를 구비한다. 제 2 수직봉(142)은 제 1 수직봉(112)의 가이드(114)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수직봉(1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수직봉(142)의 상단에는 밀대걸레(100)를 소정의 위치에 걸 수 있도록 관통공(144)이 형성된 걸림캡(146)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지지부(150)는 제 3 플레이트(152), 제 4 플레이트(160) 및 제 2 고정너트(148)를 구비한다. 제 3 플레이트(152)는 제 2 수직봉(142)의 하단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제 3 플레이트(152)의 하부면 중앙부분에는 제 3 플레이트(152)의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원주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144)가 형성된 결합봉(146)이 연장되며 상부면 양측에는 제 2 미끄럼방지턱(153)이 형성되며, 제 2 미끄럼방지턱(153) 사이에는 수직하게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이탈방지돌기(155)가 형성된다. 이때 제 2 수나사부(144)에는 제 2 고정너트(148)가 체결된다.
제 4 플레이트(160)는 제 3 플레이트(152)의 상부에서 제 2 수직봉(142)을 따라 상, 하로 이송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 4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이탈방지돌기(155)가 끼워지는 제 2 고정공(161)이 형성되며, 일측면상에는 제 1 보강대(126)에 대응하는 제 2 보강대(162)가 형성되며, 제 2 보강대(162)의 일측면 상에는 제 1 보강대(126)의 걸림돌기(128)를 수용할 수 있는 걸림공(164)이 형성된 걸림편(166)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겔레포(17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다수의 천이 엉키어서 이루어진 걸레부(172)를 구비하며, 걸레부(172)의 양단에는 제 1 마무리부(174) 및 제 2 마무리부(17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마무리부(174) 및 제 2 마무리부(176)는 제 1 플레이트(122) 및 제 3 플레이트(152)의 상부면 상에 안치되며 중앙부분에는 제 1 수직봉(112) 및 제 2 수직봉(1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끼움홈(178) 및 제 2 끼움홈(180)이 형성되며, 제 1 끼움홈(178) 및 제 2 끼움홈(180)의 일측에는제 1 이탈방지돌기(127) 및 제 2 이탈방지돌기(15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관통공(175) 및 제 2 관통공(177)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밀대걸레(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밀대걸레(100)(도 3a 참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1 수직봉(112)의 가이드(114)에 제 2 수직봉(142)이 관통되도록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는 걸레포(170)의 제 1 마무리부(174)의 하부면을 제 1 플레이트(122)의 상부면 상에 안치시킨다. 이때, 제 1 마무리부(174)에 형성된 제 1 끼움홈(178)은 제 1 수직봉(112)에 끼움 결합시키며, 제 1 관통공(175)을 제 1 이탈방지돌기(127)에 끼운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는 제 2 플레이트(124)의 하부면이 제 1 마무리부(174)의 상부면 상에 밀착하도록 제 1 수나사부(116)에 체결된 제 1 고정너트(130)를 회전시켜 걸레포(170)의 제 1 마무리부(174)를 제 1 지지부(1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플레이트(122)의 제 1 이탈방지돌기(127)는 제 1 고정공(125)에 끼워지며 제 1 미끄럼방지턱(123)은 제 1 마무리부(174)가 제 1 지지대(12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걸레포(170)의 제 1 마무리부(174)가 제 1 지지부(120)에 결합되면, 다시 작업자는 제 2 마무리부(176)를 제 2 지지부(150)에 결합시킨다. 제 2 마무리부(176)의 하부면을 제 3 플레이트(152)의 상부면 상에 안치시킨다. 이때, 제 2 마무리부(176)에 형성된 제 2 끼움홈(180)은 제 2 수직봉(142)에 끼움 결합시키고, 제 2 관통공(177)을 제 2 이탈방지돌기(155)에 끼운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는 제 2 마무리부(176)의 상부면 제 4 플레이트(160)의 하부면 상에 밀착할 수 있도록 제 2 수나사부(144)에 체결된 제 2 고정너트(158)를 회전시켜 제 2 마무리부(176)를 제 2 지지부(150)에 결합시킨다. 이때, 마찬가지로, 제 3 플레이트(152)에 형성된 제 2 이탈방지돌기(155)는 제 2 고정공(161)에 끼워지고, 제 2 미끄럼방지턱(153)은 제 2 마무리부(176)가 제 2 지지대(15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걸레포(170)가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5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제 1 보강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를 제 2 보강대(162)에 형성된 걸림편(166)에 형성된 걸림공(164)에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조임너트(118)를 회전시켜 제 1 수직봉(112)에 제 2 수직봉(142)이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레포(170)를 결합시켜 밀대걸레(100)를 사용 중에 걸레(172)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2 수직봉(142)이 제 1 수직봉(112)의 가이드(114)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조임너트(118)를 풀어 걸림공(164)에 삽입된 걸림돌기(128)를 이탈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수직봉(142)을 하측으로 밀면 걸레포(170)의 걸레(172)의 길이 만큼 제 2 수직봉(142)의 하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제 2 수직봉(142)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걸레(172)에 함유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제 2 수직봉(142)을 일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레(172)는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50) 사이의 제 2 수직봉(142)에 감겨지게되며, 그 결과 걸레(172)에 함유된 물기는 제거된다(도 3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100)는 제 1 수직봉(112), 제 1 수직봉(112)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 1 고정너트(130)에 의해서 체결되는 제 1 지지부(120)를 가지는 제 1 본체(110), 제 1 수직봉(112)의 내측을 따라서 안내되는 제 2 수직봉(142), 제 2 수직봉(142)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 2 고정너트(148)에 의해서 체결되는 제 2 지지부(150) 및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50)에 양단이 결합되는 걸레포(170)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50)에 걸레포(170)의 양단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고 제 1 수직봉(112)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2 수직봉(142)을 회전시켜 걸레포(170)의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가이드(114)가 형성되며 외측원주면 중앙부에서 하부측으로 제 1 수나사부(116)가 형성된 제 1 수직봉(112), 상기 제 1 수직봉(112)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1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결합되는 제 1 플레이트(122), 상기 제 1 플레이트(1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수직봉(112)을 따라 이송되는 제 2 플레이트(124)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1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수나사부(116)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너트(130)를 가지는 제 1 지지부(120)로 이루어진 제 1 본체(110);
    상기 가이드(114)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수직봉(142)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직봉(142)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하부면에는 외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며 원주면상에 제 2 수나사부(144)가 형성된 결합봉(146)이 연장된 제 3 플레이트(152), 상기 제 3 플레이트(15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수직봉(142)을 따라서 이송되는 제 4 플레이트(160) 및 상기 제 2 수나사부(144)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너트(148)를 가지는 제 2 지지부(150)로 이루어진 제 2 본체(140); 및
    상기 다수의 천이 엉키어서 이루어진 걸레부(172)를 구비하며, 상기 걸레부(172)의 양단에는 제 1 플레이트(122) 및 제 2 플레이트(124)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마무리부(174)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152)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160) 사이에 끼워지는 제 2 마무리부(176)가 형성된 걸레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봉(112)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114)에 끼워진 상기 제 2 수직봉(142)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118)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124)의 상부면 상에는 복수의 제 1 고정공(125)이 천공되며, 일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22) 측으로 수직하게 절고된 제 1 보강대(1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보강대(126)의 하단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8)가 상기 제 1 플레이트(122)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는 복수의 제 2 고정공(161)이 천공되며, 일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보강대(126)에 대응하는 제 2 보강대(16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보강대(162)의 일측면 상에는 상기 걸림돌기(128)를 수용할 수 있는 걸림공(164)이 형성된 걸림편(166)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22)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152)의 상부면 양단 인접위치에는 결합된 상기 제 1 마무리부(174) 및 상기 제 2마무리부(176)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톱니형상을 가지는 제 1 미끄럼방지턱(113) 및 제 2 미끄럼방지턱(153)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미끄럼방지떡(113) 및 상기 제 2 미끄럼방지턱(153) 사이에는 상기 제 1 고정공(125) 및 상기 제 2 고정공(161)에 끼워지는 제 1 이탈방지돌기(127) 및 제 2 이탈방지돌기(15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무리부(174) 및 상기 제 2 마무리부(176)는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 1 수직봉(112) 및 상기 제 2 수직봉(1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반원형의 제 1 끼움홈(178) 및 제 2 끼움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끼움홈(178) 및 상기 제 2 끼움홈(18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돌기(127) 및 상기 제 2 이탈방지돌기(15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관통공(175) 및 제 2 관통공(17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걸레.
KR2020010015426U 2001-05-25 2001-05-25 밀대걸레 KR200246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26U KR200246332Y1 (ko) 2001-05-25 2001-05-25 밀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26U KR200246332Y1 (ko) 2001-05-25 2001-05-25 밀대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332Y1 true KR200246332Y1 (ko) 2001-10-15

Family

ID=7310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26U KR200246332Y1 (ko) 2001-05-25 2001-05-25 밀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3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498B2 (en) Mop with attached wringer
US6161242A (en) Mops
US77219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xtile maintenance
US10285558B2 (en) Floor cleaning mop apparatus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200246332Y1 (ko) 밀대걸레
US6115869A (en) Wringer mop
USRE38380E1 (en) Wringer mop
US20080092315A1 (en) Cleaning apparatus
KR101442182B1 (ko) 청소도구 거치장치
KR101891922B1 (ko) 자석홀더용 기능성 비누 및 이를 위한 비누 홀더
JP2005528191A (ja) ローラー型モップ
KR200230444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자루걸레
KR200154076Y1 (ko) 청소기의 전원코드 기구
KR960000918Y1 (ko) 실내용 걸레
KR200154080Y1 (ko) 청소기의 코드릴 기구
KR101937984B1 (ko) 다기능 밀대형 청소도구
KR200263713Y1 (ko) 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마대걸레
JP2587581Y2 (ja) モップ収納体
KR20070028841A (ko) 로봇청소기
KR200184462Y1 (ko) 청소기
KR200260925Y1 (ko) 마포걸레용 홀더
KR101805707B1 (ko) 봉 걸레
KR200395279Y1 (ko) 봉형 전기 청소기의 전선 권선장치
KR200239479Y1 (ko) 개량밀대걸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