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17Y1 -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 Google Patents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17Y1
KR200246117Y1 KR2020010015498U KR20010015498U KR200246117Y1 KR 200246117 Y1 KR200246117 Y1 KR 200246117Y1 KR 2020010015498 U KR2020010015498 U KR 2020010015498U KR 20010015498 U KR20010015498 U KR 20010015498U KR 200246117 Y1 KR200246117 Y1 KR 200246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ective device
door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종
Original Assignee
최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종 filed Critical 최윤종
Priority to KR2020010015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17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는 손가락이 출입문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빛 반사체, 형광물질 또는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야광체를 구비하여 출입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단부에 출입문의 만곡부를 감싸도록 하는 만곡부 덮개를 형성한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safe door}
본 고안에는 손가락이 출입문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문틀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 반사체, 형광물질 또는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야광체를 구비하여 출입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단부에 출입문의 만곡부를 감싸도록 하는 만곡부 덮개를 형성한 문틀보호구가 개시된다.
출입문을 여닫을 때에 손가락이 자주 끼이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어린이들이 장난과 부주의로 인한여 출입문과 출입문을 지지하는 문틀사이에 손가락이 끼여서 부상이 자주 발생하게된다. 특히, 유리문은 미관이 수려하고, 투명하기 때문에 내, 외부가 쉽게 식별되기 때문에 현대 건축에서 다량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유리문은 투명하기 때문에 야간에 식별하기가 곤란하여 부딪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과 문틀들에 보호구가 많이 연구 개발되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의 출입문의 보호구에 관한 단면도이다.
통상의 출입문(1)은 이용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10)과 측면(3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과, 후면(20)과 측면(3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만곡되게 형성한 만곡부(3)를 갖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만곡부(3)는 유리문에서는 더욱 크게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는 출입문을 지지하는 문틀(미도시)에도 부상 방지를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형성한된다.
이러한 출입문(1)에 보호구(2)를 부착하게 되면, 만곡부(3)에 의해서 문틀보호구가 들뜨게 되어 사용함에 따라서 보호구(2)가 떨어지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보호구(2)는 출입문의 측면(30)에 맞추어 부착되어져 있으나, 만곡부(3)에 의하여 보호구(2)의 측면(40)과 출입문의 측면(30)이 들뜨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b와 같이 출입문(1)의 만곡부(3)의 시작선에 보호구 (2)의 측면(40)을 일치시킬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손가락등이 끼었을 때의 사고 방지 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보호구(2)를 설치하는 이유가 퇴색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 전체를 감싸는 보호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보호구는 문의 개폐를 위하여 측면의 두께를 두껍게 할 고, 극히 얇게 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이 얇게 하게되는 경우에는 손가락이 끼였을 때, 부상을 방지 할 수가 없다.
또한, 이와 같은 보호구(2)는 주간에는 식별이 가능하여 출입문(1)에 사람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되나, 밤에는 식별력이 약화되어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유리문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현상이 심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문이나 문틀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만곡부에 적절히 접합되어 부착력을 강화시켜 보호구가 보다 오랜동안,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손가락이 문과 문사이에 문과 문틀사이에 끼었을 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호구에서 형광 또는 발광되도록함으로써 야간이나, 화재발생시에도 용이하게 유리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출입문의 보호구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출입문이나 문틀에 부착하여 손가락이 끼었을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출입문과 문틀의보호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탄발력을 갖도록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문과 문틀의 모서리에 형성된 만곡부를 감싸도록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만곡부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출입문이나 문틀에 부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에 있어서,
탄발력을 갖도록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야광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연질의 우레탄이나 PVC의 재질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보호구(50)는 탄성유지를 위하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부(51)가 형성된 몸체(52)와 몸체
(52)의 외면에 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빛 반사체나 발광물질 또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야광체(53)와 몸체(52)의 단부에 몸체(52)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문이나, 출입문을 지지하는 문틀의 모서리의 만곡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만곡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만곡부 덮개(54)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간부(51)는 원형통형상을 이루게 되나, 일부가 절개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개구부를 갖지 않고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5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55)이 형성되고, 이 홈(55)을 따라서 야광체(53)가 부착된다. 야광체
(53)는 홈(55)에 형광체나 발광용 페인트를 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외면에 형성된 테이프를 부착하여 동일한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50)는 문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공간부(51)와 야광체(53)는 몸체(52)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일부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50)의 길이방향으로 단부에는 공간부
(51)와 야광체(53)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몸체(56)와 만곡부 덮개(56)의 출입문(1)과의 접촉면에는 양면테이프(56)가 붙어 있어 출입문(1)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호구(50)은 두 개의 출입문이 서로 맞대어져 개폐할 수 있을 때, 출입문들의 맞닿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문틀에도 이러한 보호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부 덮개(54)는 보호구(50)의 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지 않고,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출입문과의 접촉면의 단부에 모서리의 만곡면을 따라서 만곡되게 형성되어진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2)의 측면(57)은 출입문의 모서리 시작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대신 만곡부 덮개(54)는 측면(57)보다 밖으로 돌출되어 만곡부를 따라 하방으로 향하게 되어 출입문의 만곡부를 감싸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2)의 측면(57)은 출입문(1)의 만곡부(3)의 종단부에 일치하되 몸체(52)의 출입문과 접촉되는 면의 만곡부(3)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만곡부
(3)에 접촉되도록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출입문(1)과 보호구(50)가 들뜸 현상없이 밀착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보호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야광체에 의하여 야간에도 출입문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부딪히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고, 출입문의 존재를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도록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등의 사고시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입문에 안전을 대비하여 형성한 만곡부에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기간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고, 문틈 사이로 손가락이 끼었을 때, 부상의 강도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7)

  1. 출입문이나 문틀에 부착하여 손가락이 끼었을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탄발력을 갖도록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문과 문틀의 모서리에 형성된 만곡부를 감싸도록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만곡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함으로써 탄발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에는 야광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4. 출입문이나 문틀에 부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에 있어서,
    탄발력을 갖도록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의 길이방향으로 야광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체는 빛 반사체나 형광 또는 발광물질중 적어도 어느하나가 함유된 테이프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체는 빛 반사체나 형광 또는 발광물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된 페인트를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유리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문틀의 보호구.
KR2020010015498U 2001-05-25 2001-05-25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KR200246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98U KR200246117Y1 (ko) 2001-05-25 2001-05-25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98U KR200246117Y1 (ko) 2001-05-25 2001-05-25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17Y1 true KR200246117Y1 (ko) 2001-10-29

Family

ID=7310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98U KR200246117Y1 (ko) 2001-05-25 2001-05-25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73B1 (ko) * 2002-01-16 2005-04-2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수단을 구비한 문틈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73B1 (ko) * 2002-01-16 2005-04-2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수단을 구비한 문틈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3887D1 (de) Endverschluss mit verbesserter Öffnungsfähigkeit
KR200246117Y1 (ko) 출입문과 문틀 보호구
CA2384121A1 (en) Window protector assembly
US5241846A (en) Flush mounted lock protector
KR101940513B1 (ko) 강화 유리문 손끼임 방지용 보호대
KR200300538Y1 (ko) 유리문 안전장치
KR200357486Y1 (ko) 광고부가 구비된 강화유리 출입문용 안전구
KR200251225Y1 (ko) 문틈 보호구
KR200337273Y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대 및 그 조립체
US4803810A (en) End cap for door edge guard
CN203812746U (zh) 防误操作保护装置
KR200176495Y1 (ko) 자동차 도어용 보호판
AU2309100A (en) Closure cap
CN211422460U (zh) 一种安全门护帘
KR19990040512U (ko) 유리문의손보호구
KR100755922B1 (ko) 자동문용 센서의 설치구조
GB0100210D0 (en) Assembly for protecting a house interior
JPH0628926U (ja) 蛍光灯用紫外線遮断カバー
KR20190000790U (ko) 철근용 야광안전커버
CN216417341U (zh) 一种医疗设备防护罩
CN212830244U (zh) 一种用于灯杆生产的安全型开平板
KR200370295Y1 (ko) 난간용 상부캡
CN215255511U (zh) 带有保护套的闭门装置
CN207895665U (zh) 安全一米线声波感应控制装置
KR200300531Y1 (ko) 방풍 브러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