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769Y1 - 발광 비행 완구 - Google Patents

발광 비행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769Y1
KR200245769Y1 KR2020010014570U KR20010014570U KR200245769Y1 KR 200245769 Y1 KR200245769 Y1 KR 200245769Y1 KR 2020010014570 U KR2020010014570 U KR 2020010014570U KR 20010014570 U KR20010014570 U KR 20010014570U KR 200245769 Y1 KR200245769 Y1 KR 200245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ing
light emitting
centrifugal
turned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샛별
Original Assignee
최샛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샛별 filed Critical 최샛별
Priority to KR2020010014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769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심력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는 발광 비행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비행 완구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비행 완구는 단순히 어린이들의 던진 힘에 의해 비행 물체가 공중에서 적절한 높이와 각도로 비행하면서 묘기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어 단조로운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접시형 또는 바퀴형 등의 비행 몸체(1)의 중심판(2)에 원심 발광체(3)를 설치하여 이의 작동구(3-6)의 개폐 스위치(3-6a)를 ON시키면 비행 몸체(1)의 회전 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작동구(3-6)가 접점되면서 발광 다이오드(3-7)를 발광시킴에 따라 비행 곡선에는 발광 다이오드(3-7)의 불빛으로 불빛 곡선이 되면서 완구 비행 놀이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 비행 완구{A luminous flying toy}
본 고안은 비행 몸체가 공중 비행할 때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게 한 발광 비행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비행 완구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비행 완구는 단순히 어린이들이 비행 몸체를 던지는 요령과 힘에 의해 공중에서 적절한 높이와 각도로 비행되게 하고 있어 어린이들이 다양하고 흥미있는 놀이를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접시 또는 바퀴 형상으로 된 비행 몸체의 중심판에 원심력에 의해 점등되는 원심 발광체를 설치한 것으로 이를 어두운 곳에서 공중에 비행시키면 이때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구의 작용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되면서 다양한 비행 곡선이 발광된 곡선으로 보이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표면 사시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1 'A'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행 몸체 1-1. 주연부 1-2. 통공
2. 중심판 2-1. 통공 3. 원심 발광체
3-1. 통공 3-2, 3-2a. 건전지실 3-3, 3-3a. 건전지
3-4. 지지판 3-5, 3-5a.도선 3-6. 작동구
3-6a. 스위치 3-7. 발광 다이오드 11. 비행 몸체
11-1. 중심판 12. 날개간 12-1. 경사면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시 형상으로 된 비행 몸체(1)의 주연부(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통공(1-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다수의 통공(2-1)을 개재한 중심판(2)을 형성하여 이에 원심력에 의해 접점되는 원심 발광체(3)를 부착하되, 이 원심 발광체(3)의 중심부에는 통공(3-1)이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는 건전지실(3-2)(3-2a)을 형성하여 이에 수납된 수은 건전지(3-3)(3-3a)의 +, -극에는 도선(3-5)(3-5a)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되, 이 도선(3-5) 일단은 건전지(3-3)에 연결되고, 도선(3-5a)의 타단은 스위치(3-6a)를 개재한 작동구(3-6)에 연결되며, 전기한 도선(3-5)의 양단은 지지판(3-4)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3-7)에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 예로서 바퀴 형상으로 된 비행 몸체(11)의 중심판(11-1)과 주연부 사이에는 경사면(12-1)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12)이 방사선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되, 중심판(11-1)에는 전기한 원심 발광체(3)가 설치되어진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발광 비행 완구인 바 이를 사용할 때는 주간의 경우는 스위치(3-6a)를 OFF상태로 하면 원심 발광체(3)는 발광하지 않게 되고, 야간에 사용할 때는 스위치(3-6a)를 ON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면 이때에는 발광되어지는 것으로 즉, 스위치(3-6a)를 ON시킨 상태에서 공중으로 던지게 되면 비행 몸체(1)가 공중에서 회전되면서 적절한 높이와 각도로 비행하게 되고, 이때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비행 몸체(1)의 중심부에는 구심력이 작용하며, 이의 구심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 형상인 작동구(3-6)는 건전지 수납실(3-2a) 내에 수납된 건전지(3-3a)와 접점됨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3-7)는 발광된다. 따라서, 비행 몸체(1)는 점등된 발광 다이오드(3-7)에 의해 다양한 발광 곡선을 그리면서 비행하게 되므로 비행 놀이자와 이를 바라보는 관람자들은 마치 전투 비행기 쇼를 보는 것과 같은 흥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표시된 별도 실시 예와 같이 수레바퀴 형상으로 비행 몸체를 구성하여 이 비행 몸체(11)의 중심판(11-1)에 원심 발광체(3)를 설치하여도 앞서와 동일 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행 몸체(1)를 주간과 같이 밝은 곳에서 사용할 때는 원심 발광체(3)의 스위치(3-6a)를 OFF시키면 되고, 야간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사용할 때는 스위치(3-6a)를 ON시키면 비행 몸체(1) 비행 시 생기는 회동 원심력에 의해 원심 발광체(3)에 설치된 작동구(3-6)의 작용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7)가 점등 발광되어 다양한 비행 곡선이 발광 곡선으로 보이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행 놀이를 더욱 흥미 있게 하여주므로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2)

  1. 비행 몸체(1)의 중심판에 건전지(3-3)(3-3a)와 발광 다이오드(3-7) 및 스위치(3-6a)와 작동구(3-6)를 도선(3-5)(3-5a)으로 연결한 원심 발광체(3)를 설치하여 스위치(3-6a)를 ON시킨 상태에서 비행 몸체(1)를 공중에 비행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7)가 점등되면서 발광 비행 곡선을 나타내게 함을 특징으로 한 발광 비행 완구.
  2. 제 1항에 있어 수레바퀴 형상으로 된 비행 몸체(11)의 중심판(11-1)에 원심 발광체(3)를 설치하여 스위치의 ON으로 발광 다이오드(3-7)가 점등되어 발광 비행 곡선을 나타내게 한 발광 비행 완구.
KR2020010014570U 2001-05-18 2001-05-18 발광 비행 완구 KR200245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570U KR200245769Y1 (ko) 2001-05-18 2001-05-18 발광 비행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570U KR200245769Y1 (ko) 2001-05-18 2001-05-18 발광 비행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769Y1 true KR200245769Y1 (ko) 2001-10-15

Family

ID=7306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570U KR200245769Y1 (ko) 2001-05-18 2001-05-18 발광 비행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7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15B1 (ko) * 2001-12-18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륜 휠의 발광장치
CN105588073A (zh) * 2015-10-16 2016-05-18 仲杏英 注意力转移led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15B1 (ko) * 2001-12-18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륜 휠의 발광장치
CN105588073A (zh) * 2015-10-16 2016-05-18 仲杏英 注意力转移led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487A (en) Illuminated golf ball
US5720651A (en) Illuminated non-motor powered flying device
US5358253A (en) Light and sound emittable dartsboard
JP2001087566A (ja) 発光玩具
US6758773B1 (en) Flashing dart
KR200245769Y1 (ko) 발광 비행 완구
CN107438736B (zh) 发光体,该发光体的应用以及发射装置
US20160136517A1 (en) Spinning Disk Game
US2645491A (en) Magnetic dart game having energizable signals
US20170333761A1 (en) Touch activated lighted sports ball
CN210728659U (zh) 叠置发光的陀螺套件及玩具套装
CN210121341U (zh) 可叠置成双尖的陀螺套件及玩具套装
CN210121344U (zh) 炫光陀螺
KR200413532Y1 (ko) 발광 골프공
KR100861141B1 (ko) 배드민턴 셔틀콕
WO2021237656A1 (zh) 叠置发光的陀螺套件及玩具套装
KR100544764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골프공
KR200465452Y1 (ko) 엘이디램프를 구성한 부메랑
JP2582490B2 (ja) 電光式標的殴打遊戯機の標的構造
KR200285568Y1 (ko) 발광 완구용 원반
KR200244769Y1 (ko) 발광장치를 갖는 셔틀콕
RU210279U1 (ru) Диск фрисби
KR200244774Y1 (ko) 완구용 원반
KR200301849Y1 (ko) 완구용 발광원반
CN219437904U (zh) 基于离心控制led照明的狗飞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