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491Y1 - 필기대 겸용 독서대 - Google Patents

필기대 겸용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491Y1
KR200245491Y1 KR2020010012404U KR20010012404U KR200245491Y1 KR 200245491 Y1 KR200245491 Y1 KR 200245491Y1 KR 2020010012404 U KR2020010012404 U KR 2020010012404U KR 20010012404 U KR20010012404 U KR 20010012404U KR 200245491 Y1 KR200245491 Y1 KR 200245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desk
support
plat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수
Original Assignee
임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수 filed Critical 임승수
Priority to KR2020010012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491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사무용 또는 학습용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책 또는 노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책상 상판(50)에 결속시킬 수 있는 ㄷ자형고정틀(21), 볼트(23)와 너트(24)로 구성된 고정장치(20)와, 전방으로 45°내외의 상향기울기를 형성하는 가로 40내지 70Cm, 세로 30내지 50Cm크기의 상판(10)과, 상판(10) 상단부에 힌지(40)식으로 연결되어 펴거나 접음에 따라 상판(1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는 기울기 조절장치(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에 의하면 허리,목 등 상체를 곧게 세운 상태에서도 눈과 책 지면과의 거리가 30Cm내외로 유지되며 시선과 책 지면이 직각으로 마주하게 되어 의자에 앉은 자세로 독서 또는 필기작업시 상체를 굽히지 않고 상체를 곧게 세운자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로감을 줄여 주며 작업능률을 높여 주고, 척추가 곧게 선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허리를 장시간 구부릴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요통, 두통등 여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대 겸용 독서대{A writing and reading stand}
본고안의 목적은 의자에 앉아서 실시하는 사무업무 또는 학습시 상체를 굽히지 않고 곧게 세운 상태에서 독서 또는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가 형성된 필기대 겸용 독서대를 제공하여 눈과 책 지면과의 거리가 30Cm내외가 되도록 하며 시선이 책 지면과 직각으로 마주하도록 하므로서 독서 및 필기업무에 편리성을 부여하고, 장시간 상체를 굽힌상태의 작업시 초래될 수 있는 요통, 피로, 두통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에 따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종래 사무용가구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의 많은 연구를 통해 개량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사무환경의 동선에 맞추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세트형 사무용가구, 모니터 관찰이 용이하도록 상판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판하부에 모니터를 구성시킨 책상, 독서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사무.학습용 의자는 신체를 직접 지지해 주며 신체에 직접 영향을 주므로 등받이, 시트 등이 보다 안락하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인체 공학적인 면에서 우수한 제품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무.학습용으로 사용되는 책상은 상판이 바닥면과 평면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체를 곧게 세우고 팔꿈치가 책상상판높이에 위치하는 높이로 의자에 앉을 경우 눈과 책상면과의 거리가 50Cm내외로 이격되므로 독서시 적정 가시거리인 30Cm내외 보다 크게 이격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업무를 보기 위해서는 책을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일정각도 상향 기울기로 형성된 독서대를 사용하거나, 필기를 위해서는 상체를 일정각도 굽혀 눈과 지면이 30Cm내외가 되도록 하고 시선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독서 및 필기작업을 해오고 있다.
상체를 일정각도 이상 굽힌상태에서의 장시간 작업은 자세가 불안정하여 쉽게 피로하고, 상체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이격되어 인체공학적으로 제작된 의자를 잘 활용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허리를 굽히면 가슴 및 복부에 압박을 주게 되므로 요통, 피로, 소화불량, 두통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독서대는 독서를 하기 용이하도록 제작된 것으로 기울기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60°내외이고, 크기가 책 한 권을 올려 놓기 적당한 크기이며, 책상 상판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없다. 종래 책상 중 전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은 신문 열람대, 성서대, 제도용 테이블 등이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특정용도를 목적으로 대형으로 제작된 것들이고, 상판 전체가 일정 기울기를 형성하고 있어 일반 사무. 학습용으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책, 책꽃이, 전화기 등 사무보조용품들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일정부분은 바닥면과 평면상으로 구성되고, 일정부분은 적정기울기를 갖는 경사판이 구성된 책상 또는 사무보조용품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상체를 굽히지 않고 곧게 편 자세로 독서 및 필기를 할 때 책의 지면이 시선과 적정 각도 및 거리를 유지하도록 가로 40 내지 70Cm내외, 세로 30 내지50Cm내외의 크기를 가지며 전방으로 45°내외의 상향 기울기를 형성하는 상판과, 상기상판의 기울기를 조절시킬 수 있는 기울기 조절장치와, 하부 소정위치에는 책상 상판에 결속 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필기대 겸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을 책상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고안의 정면도 이고,
도3은 본고안의 측면도로서
(가)는 상판의 기울기를 45°내외로 경사지게 한 상태이며
(나)는 상판이 경사없이 바닥면과 평형상태를 이룬 것이고,
도4는 본고안의 다른 적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판 11. 걸림턱 20. 고정장치 21. ㄷ자형고정틀
22. 고정나사 23. 볼트 24. 너트 30. 기울기조절장치
31. 고정대 32. 지지대 33. 고정홈 40,41. 힌지
50. 책상상판 51. 집게 52. 선반
본고안은 사무용 또는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독서대 등 책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책상상판에 결속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와, 전방향으로 45°내외의 상향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시킬 수 있는 기울기 조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대 겸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을 책상상판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고안의 정면도 이고, 도3은 본고안의 측면도로서 (가)는 상판의 기울기를 45°내외로 경사지게 한 상태이며 (나)는 상판이 경사없이 책상상판과 평형을 이룬 상태이고, 도4는 본고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참고도 이다.
상기상판(10)은 가로 40내지70Cm, 세로 30내지 50Cm크기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널빤지로 하부 소정위치에는 가로를 연하여 일정높이로 걸림턱(11)이 구성되며, 하단부는 고정대(31)에 상단부는 지지대(32)에 각각 힌지(40,41)식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기울기조절장치(30)는 지지대(32)와 고정대(31), 고정홈(33)으로 구성되며, 지지대(32)는 사각형상의 널빤지로 일측은 상판(10) 상단부에 힌지(41)식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대(31)의 고정홈(33)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서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 시켜준다. 지지대(32)를 고정홈(33)에 끼우지 않고 힌지(40,41)를 중심축으로하여 상판(10)과 평형을 이루도록 펼치면 도3(나)와 같이 상판(10)을 경사없이 바닥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고정대(31)는 밑면은 책상 상판(50)과 접하며 윗면의 전방부는 상판(10) 하단부와 힌지(40)식으로 연결되고 후방부 소정위치에는 가로로 형성된 고정홈(33)이 수 개 형성되어 지지대(32)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일측방에 고정장치(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고정장치(20)는 고정대(31)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ㄷ자 형상을 하는 고정틀(21)과 고정나사(22)로 구성된다. 고정틀(21)은 책상상판(50)에 끼울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하며, 하부 소정위치에 너트(24)와 볼트(23)로 구성된 고정나사(22)를 구비하여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서 책상상판(50)에 착탈시킬 수 있다.
상판(10) 하부의 걸림턱(11)은 책 또는 노트를 올려 놓을 경우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주며 상판(10)은 바닥면과 45°내외의 상향기울기로 부착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않은 곧게 편 자세로 의자에 앉아 상판(10)위에 팔을 올려놓을 경우 팔꿈치가 약 45°내외로 굽혀 지면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해주고, 눈과 책과의 거리를 30Cm내외로 유지 시켜주며 시선과 책 지면이 직각으로 마주하도록 해주어 허리를 굽히거나 고개를 숙이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독서 및 필기를 할 수 있게 하여준다.
고정장치(20)는 고정나사(22), 즉 볼트(23)와 너트(24)로 책상상판(50)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필기작업등에 의한 상판(10)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없도록 해준다.
한편 본고안은 상기 상판(10) 상단부에 선반(52)을 연장 구성하여 책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집게(51)를 구성하여 책을 일정높이로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으며, 학생용 책상 등에 적용시킬 경우 책상과 필기대 겸용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책상 상판(50)의 일부는 종래의 형태와 같이 바닥면과 수평면으로 구성하고, 일부분은 45°내외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시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안은 책상 상판(50)과 45°내외의 상향 경사각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로 책상위의 책 지면을 관찰할 때 상체를 곧게 세운 자세 에서도 눈과 책 지면과의 거리가 30Cm내외로 유지되며 시선이 90°각도로 지면과 마주하기 용이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고개를 숙이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 없이 곧은자세로 책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종래 방법은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굽혀 책상상판(50)에 상체를 의지한채 허리를 굽힌 자세로 하게 되는데 본고안은 팔을 올려 놓는 상판(10)이 45°의 상향 기울기를 형성하고 있어 팔을 상판(10)에 올려 놓을 때 팔꿈치가 45°굽혀지면서 놓여지게 되어 상체를 굽히지 않고 편안하게 필기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독서 및 필기를 허리의 굽힘이나 고개를 숙이지 않고 상체를 곧게 세운자세로 할 수 있어 허리의 굽힘이나 복부의 압박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요통, 소화불량, 피로감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필기대 및 독서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32)를 접어 상판(10)이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므로서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시 등 상판(10)의 평면구성이 요구될 때에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사무용 또는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독서대에 있어서,
    책상상판(50)에 끼우는 ㄷ자형고정틀(21)과 나사조임식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너트(24)와 볼트(23)가 구비되며 상판(10)이 올려지는 고정대(31)가 연결 부착된 고정장치(20)와, 가로 40내지 70Cm, 세로 30내지 50Cm크기의 널빤지 형상이며 일측끝단은 고정대(31) 상측면에, 반대측끝단은 지지대(32) 일측끝단에 각각 힌지(40,41)식으로 연결되고 고정대(31)가 연결된쪽의 상측면에는 가로를 연하여 걸림턱(11)이 형성된 상판(10)과, 상판(10) 일측끝단에 힌지식(41)으로 연결되어 접거나 세워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32)와 지지대(32)를 세울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홈(33)이 형성된 고정대(31)를 구비한 기울기조절장치(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대 겸용 독서대.
  2.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판(50)의 일측부분은 종래와 같이 바닥면과 평면상으로 구성하고, 타측부분에는 적정 크기의 상판(10)을 앞쪽은 책상상판(50)에 힌지(40)식으로 설치하고 상판(10) 뒤쪽은 지지대(32)와 힌지(41)식으로 연결하여 지지대(32)와 상판(10)이 직각이 되도록 지지대(32)를 세울 때 상판(10)이 전방향으로 45°내외의 상향기울기를 형성하게 되고 지지대(32)를 세우거나 접음에 따라 평면에서 45°내외의 경사면까지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1인용 책상상판에 평면과 일정각도의경사면이 같이 구성된 학생용 책상.
KR2020010012404U 2001-04-28 2001-04-28 필기대 겸용 독서대 KR200245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04U KR200245491Y1 (ko) 2001-04-28 2001-04-28 필기대 겸용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04U KR200245491Y1 (ko) 2001-04-28 2001-04-28 필기대 겸용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491Y1 true KR200245491Y1 (ko) 2001-10-12

Family

ID=7306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404U KR200245491Y1 (ko) 2001-04-28 2001-04-28 필기대 겸용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4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453A1 (ko) * 2011-06-29 2013-01-03 주식회사 제이씨텍 책상 부착형 자세교정용 완충쿠션
KR20160071969A (ko) * 2014-12-12 2016-06-22 김광원 밀림방지필기독서대
CN112471757A (zh) * 2020-11-26 2021-03-12 苏州好姿视矫正器材科技有限公司 读写套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453A1 (ko) * 2011-06-29 2013-01-03 주식회사 제이씨텍 책상 부착형 자세교정용 완충쿠션
KR20160071969A (ko) * 2014-12-12 2016-06-22 김광원 밀림방지필기독서대
KR101692038B1 (ko) 2014-12-12 2017-01-17 김광원 밀림방지필기독서대
CN112471757A (zh) * 2020-11-26 2021-03-12 苏州好姿视矫正器材科技有限公司 读写套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794B1 (en) Ergonomic computer workstation
US6945601B1 (en) Multi-stage backrest assembly
EP0601510B1 (en) Book holder for use with stand assemblies
US20180228279A1 (en) Height Adjustable Desk
US20110031785A1 (en) Chair arm transformable into a work surface
JPH06505177A (ja) 人間工学的に改良がなされた椅子または肘掛け椅子
US6347771B1 (en) Portable arm and mouse support for use with personal computers
CN101357025A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245491Y1 (ko) 필기대 겸용 독서대
TWI444558B (zh) 多用途支撐裝置
KR200437259Y1 (ko) 책상 부착용 독서대
KR200298215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200372603Y1 (ko) 독서대
WO2003043461A2 (en) A workstation comprising adjustable desk easel facilities
KR200176089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책상
KR200375592Y1 (ko) 책상 배받이
WO2019030591A1 (en) MULTIPURPOSE DESK ACCESSORY TO READ, WRITE AND USE A COMPUTER
KR20240066914A (ko) 독서대책상
CN201260504Y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US550289A (en) Albert l
KR102493375B1 (ko) 독서대
CN217695586U (zh) 学习桌
CN210988874U (zh) 隐藏折叠式桌面撑书架
CN201029590Y (zh) 背带式多功能阅读写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