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80Y1 -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80Y1
KR200245180Y1 KR2020010016565U KR20010016565U KR200245180Y1 KR 200245180 Y1 KR200245180 Y1 KR 200245180Y1 KR 2020010016565 U KR2020010016565 U KR 2020010016565U KR 20010016565 U KR20010016565 U KR 20010016565U KR 200245180 Y1 KR200245180 Y1 KR 200245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ad
leisure
rear suppor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영
Original Assignee
배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영 filed Critical 배기영
Priority to KR2020010016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80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를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제작된 레저용 의자의 후방측 다리를 출몰되게 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때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의 작동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작을 간단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한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관한 것으로,
즉, 접의자의 후방 지지다리의 확대부 하단 내측에 그 길이를 가감되게 직경이 작은 축소부를 삽입하되 이 축소부가 출몰되는 확대부의 입구측 외주면에 지지구를 부착하여 이 지지구의 하부측에 축소부의 출몰동작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는 힌지를 기점으로 캠의 원리와 같이 편심된 상태로 축소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정지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미세돌기를 가진 반달형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반달형 패드에 대응하여 스토퍼의 타측에 마련된 누름부의 내측에는 패드에 밀착력을 가하면서 복귀동작을 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이 개입설치 된 것이다.

Description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High and low control apparatus of collapsible and spread for leisure}
본 고안은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를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제작된 레저용 의자의 후방측 다리를 출몰되게 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때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의 작동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작을 간단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한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영이나 낚시 등 레저를 즐길 때 사용되는 의자는 휴대와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과 등받이 및 다리 등의 각 부위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접의자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근래에는 상기 절첩기능 외에 안락감을 높이기 위한 측면을 고려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접의자에 안락감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중 대표적인 요소로서 팔걸이를 부착하는 것과 등받이의 기립각도를 조절하는 것 및 다리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점들을 적용한 레저용 접의자의 일예로 도 1에서와 같이 본원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고안(출원번호:2001-2235)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상기 종래의 접의자는 정상에 위치한 힌지축(2)을 정점으로 산형으로 전개되는 전후방 지지다리(3a)(3b)와, 상기 전후방 지지다리(3a)(3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좌판을 가진 좌판프레임(1)과, 이 좌판프레임(1)의 후단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되 상기 힌지축(2)이 관통된 상태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장공(5')을 가진 팔걸이(5)의 후단에 중앙부위가 회정 가능하게 고정된 등받이(4)와, 상기 후방지지다리(3b)에 부착되어 좌판프레임(1)을 지지하면서 등받이(4)가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구(6)와, 이 지지구(6)에 장착되어 후방지지다리(3b)의 하단에 동축상으로 출몰되게 2중 구조로된 축소부(3b')를 구속하는 스토퍼(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의자는 전후방 지지다리(3a)(3b)의 정점에 설치된 힌지축(2)을 고정기점으로 하여 팔걸이(5)에 구비된 장공(5')의 범위내에서 팔걸이(5)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등받이(4)의 기립각도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게 되고, 후방 지지다리(3b)에 동축상으로 결합된 축소부(3b')는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7)의 구속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원하는 많큼 출몰되게 하여 사용자가 앉는 좌판프레임(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 것이다.
위의 기술에서 좌판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전후방 지지다리와 팔걸이에 의한 기립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등은 이미 보편화된 기술이며, 접의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기술은 후방 지지다리로부터 축소부를 선택적으로 출몰되게 할 때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의 작동에 따른 정확도와 편리성 및 내구성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가 하는점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토퍼의 작동구조에 대한 관점에서 볼 때,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지지구(6)에 구비된 스토퍼(7)를 스프링(8)의 탄성과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 레버식으로 동작되게 하되 그 헤드부(7')에 래치형 돌기(7')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상응하여 후방 지지다리(3b)에 동축상으로 결합된 축소부(3b')에는 길이 방향으로 래치홈(9)을 형성하여 이에 후방 지지다리(3b)의 관통부를 통해 삽탈되는 래치형 돌기(7')를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접의자에 앉을 때 가해지는 체중에 의해 후방 지지다리(3b)의 관로 내부로 축소부(3b')가 밀려들어 가지 앉도록 하는 정지력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관의 직경이 10mm 내외인 축소부(3b')에 래치홈(9)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매우 어려웠으며, 직경이 협소한 파이프에 래치홈을 따내는 과정에서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면서 사용중 축소부가 휘어지거나 변형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후방 지지다리(3b)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토퍼의 레버작동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스토퍼에 형성된 래치형 돌기가 임의로 래치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정지력을 상실하게 되어 후방 지지다리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레저용 접의자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저용 접의자의 후방 지지다리에 설치되어 출몰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작동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토퍼의 구조와 조작을 간편하게 하는 한편, 후방 지지다리와 이에 이중 구조로 결합되어 출몰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후방 지지다리에 의해 지탱되고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팔걸이에 연결되는 좌판프레임과 등받이를 갖춘 접의자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다리의 확대부 하단 내측에 그 길이를 가감되게 직경이 작은 축소부를 삽입하되 이 축소부가 출몰되는 확대부의 입구측 외주면에 지지구가 감싸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지지구의 하부측에 축소부의 출몰동작을 인위적인 조작으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는 힌지를 기점으로 캠의 원리와 같이 편심된 상태로 축소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정지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미세돌기를 가진 반달형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반달형 패드에 대응하여 스토퍼의 타측에 마련된 누름부의 내측에는 패드에 밀착력을 가하면서 복귀동작을 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이 개입설치 됨으로써, 스토퍼의 누름부를 인위적으로 눌러 스프링을 수축되게 한 상태에서만 축소부가 확대부로 몰입될 수 있도록 하여 후방 지지다리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고, 스토퍼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힌지를 축으로 보다 멀리 위치한 부분의 패드면이 축소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긴밀하고 정확한 정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저용 접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a 및 2b는 상기 종래의 접의자에 적용된 스토퍼를 발췌하여 그 록킹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레저용 접의자에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스토퍼를 발췌하여 그 록킹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스토퍼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좌판프레임 11 : 힌지축
12, 13 : 전후방 지지다리 13a : 확대부
13b : 축소부 14 : 등받이
15 : 팔걸이 20 : 스토퍼
21 : 반달형 패드 22 : 누름부
23 : 스프링 30 : 지지구
31 : 힌지
이하, 본 고안의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레저용 접의자에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고, 도 4a 및 4b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의 스토퍼를 발췌하여 그 록킹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상기 스토퍼를 발췌한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접의자는 힌지축(11)을 정점으로 전개되는 전후방 지지다리(12)(13)에 의해 지탱되고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팔걸이(15)에 연결되는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14)를 갖춘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접의자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다리(13)는 파이프의 직경이 큰 확대부(13a)와 이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축소부(13b)를 동축상에서 출몰되게 2중 구조로 결합하여 길이를 가감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축소부(13b)가 출몰되는 확대부(13a)의 입구측 외주면에는 축소부(13b)의 출몰동작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20)가 설치되는 지지구(3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0)는 지지구(30)에 고정된 힌지(31)를 기점으로 캠의 원리와 같이 편심된 상태로 축소부(13b)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정지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미세돌기를 가진 반달형 패드(21)를 구비하며, 상기 반달형 패드(21)에 대응하여 스토퍼(20)의 타측에 마련된 누름부(22)의 내측에는 패드(21)에 밀착력을 가하면서 복귀동작을 하도록 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23)이 개입설치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20)의 제한된 구역에 설치되는 반달형 패드(21)는 원형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밀착범위를 확장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분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후방 지지다리(13)의 확대부(13a)와 이에 동축상으로 결합된 축소부(13b)의 출몰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구(30)에 장착된 스토퍼(20)는, 이에 구비된 반달형 패드(21)의 외주면이 상기 축소부(13b)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 즉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31)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된 부위의 반달형 패드(21)의 표면이 축소부와 밀착되지 않은 상태가 출몰조작이 가능한 경우이다.
즉, 상기와 같이 후방 지지다리(3)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경우는 반달형 패드(21)와 축소부(13b)가 서로 구속하지 않는 상태로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0)에 구비된 누름부(22)를 눌러 스프링(23)의 탄성력을 상쇄시켜야만 가능하다.
만약, 스토퍼(20)에 구비된 누름부(22)의 누르는 힘을 제거한다면, 이 누름부(22)에 가해지던 힘과 상반되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게 되면서 상기 스토퍼(20)는 힌지(31)를 기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그 회전중심으로부터 점차 먼거리에 위치된 부위의 반달형 패드(21)의 표면이 후방 지지다리(13)의 축소부(13b)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후방 지지다리(13)의 확대부(13a)에 상기 축소부(13b)가 밀려 들어가지 않는 정지력을 제공하며, 이때 사람의 체중에 의해 확대부로부터 축소부로 하중이 가해짐에 비례하여 상기 스토퍼에 구비된 반달형 패드는 더욱 긴밀하게 축소부위 외주면에 밀착되어 경고한 정지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스토퍼(20)에 구비된 누름부(22)를 누르지 않은채 후방 지지다리(13)의 확대부(13a)와 축소부(13b)를 서로 연장되게 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반달형 패드(21)에 밀착되어 있던 축소부의 인출동작에 의해 반달형 패드의 위치가 저절로 변위되면서 힌지(31)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된 부위에 접촉됨으로써, 결국 후방 지지다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증가시켜 접의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토퍼는 접의자를 사용할 때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해 정지력을 제공하는 반면, 힘을 받지 않는 방향에 대해서는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시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후방 지지다리의 축소부에 별도의 정지수단을 형성하지 않은채 구조 역학적인 작용에 의해 정지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함은 물론 종래에 취약구조로 인하여 필요 이상으로 고강도인 소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에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캠의 원리와 같이 편심된 상태로 축소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반달형 패드를 설치하되 상기 반달형 패드에 대응하여 스토퍼의 타측에 마련된 누름부의 내측에는 패드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복귀동작을 하는 스프링을 개입설치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조작에 의해 스토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부를 인위적으로 눌러 스프링을 수축되게 한 상태에서만 축소부가 확대부로 몰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어동작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축소부의 취약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힌지축(11)을 정점으로 전개되는 전후방 지지다리(12)(13)에 의해 지탱되고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팔걸이(15)에 연결되는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14)를 갖춘 접의자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다리(13)에 구비된 확대부(13a)의 입구측 외주면에 축소부(13b)의 출몰동작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20)를 구비한 지지구(30)가 부착되고, 상기 스토퍼(20)에 힌지(31)를 기점으로 캠의 원리와 같이 편심된 상태로 축소부(13b)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정지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미세돌기를 가진 반달형 패드(21)가 구비되며, 상기 반달형 패드(21)에 대응하는 스토퍼(20)의 타측에 누름부(22)가 형성되어 있되 그 내측에 패드(21)에 밀착력을 가하면서 복귀동작을 하도록 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23)이 개입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의 제한된 구역에 설치되는 반달형 패드(21)가 원형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밀착범위를 확장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10016565U 2001-06-04 2001-06-04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45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65U KR200245180Y1 (ko) 2001-06-04 2001-06-04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65U KR200245180Y1 (ko) 2001-06-04 2001-06-04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180Y1 true KR200245180Y1 (ko) 2001-10-29

Family

ID=7306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565U KR200245180Y1 (ko) 2001-06-04 2001-06-04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039A (ko) * 2017-02-03 2019-10-10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접이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039A (ko) * 2017-02-03 2019-10-10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접이식 의자
KR102561815B1 (ko) 2017-02-03 2023-07-31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518B2 (ja) 椅 子
US6332646B1 (en) Foldable chair frame
FI104615B (fi) Järjestely nojatuoliin, jossa on säädettävä selkänoja
US4695093A (en) Work chair
CA1238569A (en) Seat furniture
KR101062059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JP2010528749A (ja) 揺動式バックレスト付椅子
US5015031A (en) Reclining chair
JP6400563B2 (ja) バウンサーまたは反動揺りかご、およびそのフレーム
US4167288A (en) TV Chair with double pillow case and two-step ottoman
KR200245180Y1 (ko)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5514141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を備える食卓椅子
JP4950486B2 (ja) 椅子
JP2004049717A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200284217Y1 (ko) 레저용 접의자의 높낮이 제어장치
CN111109911A (zh) 一种靠椅
JP2003310377A (ja) 椅子用ガススプリング
JP3100377B1 (ja) 椅 子
JP4596625B2 (ja) 椅子
US7125078B2 (en) Device for the adjustment of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in an articulation for a chair
KR200433827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102366702B1 (ko) 머리받침부가 틸팅되는 의자
JP2004049713A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JP5935320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