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995Y1 - 행거 - Google Patents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995Y1
KR200244995Y1 KR2020010015668U KR20010015668U KR200244995Y1 KR 200244995 Y1 KR200244995 Y1 KR 200244995Y1 KR 2020010015668 U KR2020010015668 U KR 2020010015668U KR 20010015668 U KR20010015668 U KR 20010015668U KR 200244995 Y1 KR200244995 Y1 KR 200244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es
rod
stag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구
Original Assignee
박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구 filed Critical 박병구
Priority to KR2020010015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99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의복등을 걸어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면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측부에는 의복등을 걸수 있도록 1단걸이봉이 구비된 걸이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걸이공간부는 샷다로서 선택적으로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 먼지등으로 부터 보관된 의복을 보호하게 되며, 상기 의복 걸이공간부 하측부에는 서랍식 수납장을 구비하여 의복등을 접은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것임과 동시에 양측부의 지지프레임상을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상하 길이조절되는 2단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다량의 의복이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것이며, 2단걸이봉상에는 좌우길이조절되는 바지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바지등의 긴 의복을 걸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2단걸이봉 상측에는 비닐커버가 하측부에 구비되는 지붕이 선택적으로 착탈 구비되어 의복등을 씌운 형태로 보호하면서 보관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행거{Hanger}
본 고안은 각종 의복등을 걸어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면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측부에는 의복등을 걸수있도록 1단걸이봉이 구비된 걸이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걸이공간부는 샷다로서 선택적으로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 먼지등으로 부터 보관된 의복을 보호하게 되며, 상기 의복 걸이공간부 하측부에는 서랍식 수납장을 구비하여 의복등을 접은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것임과 동시에 양측부의 지지프레임상을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상하 길이조절되는 2단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다량의 의복이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것이며, 2단걸이봉상에는 좌우길이조절되는 바지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바지등의 긴 의복을 걸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2단걸이봉 상측에는 비닐커버가 하측부에 구비되는 지붕이 선택적으로 착탈 구비되어 의복등을 씌운 형태로 보호하면서 보관하게 되는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행거는 옷을 옷걸이에 걸은 상태에서 그 옷걸이를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 소품가구의 일종이다.
상기의 행거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에는 받침대가 놓여지게 되고 이 받침대의 양측으로는 일정길이의 세로지지대가 세워지게 되는 것이면서 이 세로지지대의 상측부에는 옷등을 걸게 되는 가로지지대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행거는 옷등을 걸수 있게만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의복을 접어 보관하기란 불가능한 것이었으며, 이 걸게 되는 의복도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먼지등으로 부터 피해를 입을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음과 동시에 미관상 노출된 옷걸림 상태를 매번 점검해야 하는 즉 옷을 걸거나 뺄때마다 옷걸림 상태의 정돈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걸수 있는 의복수도 소량에 한정되는 것이면서 접어 보관할수 있는 의복, 롱코트 및 바지등의 긴 의복등을 함께 보관할수 없어 별도의 보관장소에 보관할수 밖에 없는 등의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면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측부에는 의복등을 걸수 있도록 1단걸이봉이 구비된 걸이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걸이공간부는 샷다로서 선택적으로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 먼지등으로 부터 보관된 의복을 보호하게 되며, 상기 의복 걸이공간부 하측부에는 서랍식 수납장을 구비하여 의복등을 접은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것임과 동시에 양측부의 지지프레임상을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상하 길이조절되는 2단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다량의 의복이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것이며, 2단걸이봉상에는 좌우길이조절되는 바지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바지등의 긴 의복을 걸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2단걸이봉 상측에는 비닐커버가 하측부에 구비되는 지붕이 선택적으로 착탈 구비되어 의복등을 씌운 형태로 보호하면서 보관하게 되는 행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의 1단조절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가 2단조절되고 지붕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가 2단조절되고 지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몸체 110 ; 캐스터 120 ; 서랍식 수납장
130 ; 보관박스 200 ; 측벽프레임 210 ; 걸이공간부
220 ; 가이드레일 230 ; 1단걸이봉 240 ; 고정프레임
300 ; 샷다 310 ; 자성체 400 ; 지지프레임
410 ; 가이드봉 420,510 ; 길이조절부재 500 ; 2단걸이봉
520 ; 바지걸이봉 600 ; 지붕 610 ; 착탈부재
620 ; 경첩부 630 ; 지붕형상유지부재 640 ; 비닐커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하면부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다수의 캐스터가 구비되며 전측부에는 의복을 접은 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일정용량의 서랍식 수납장이 구비됨과 동시에 수납장의 후측부에는 일정크기의 보관박스가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부로 의복등의 걸이공간부가 형성 될수 있도록 하부몸체 양측부에 하측 일정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양측벽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 양측벽부 내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일정형태의 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되는 측벽프레임과, 상기 하부몸체의 보관박스내에 일측부가 삽입 보관되어지고 타측부는 측벽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이송되어 의복 걸이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샷다와, 상기 측벽프레임의 내측 상부 중앙에 양측단이 각각 지지되고 걸이공간부상에 의복을 걸수있도록 구비되는 1단걸이봉과, 상기 측벽프레임 각각의 외측 세로중심선상에 구비됨과 동시에 내측부의 가이드홈상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봉이 삽입 안내 지지되고 이 가이드봉의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일정형태의 길이조절부재가 상측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길이 조절가능토록 지지된 가이드봉의 상측단에 양측 하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승 길이조절시 또 다른 의복을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2단걸이봉과; 상기 2단걸이봉의 양측 내부의 가이드홈에 각각 일측부가 삽입 지지됨과 동시에 양측 일정부위에 구비된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좌우길이조절되면서 바지등을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지걸이봉과, 상기 2단걸이봉상에 착탈부재로서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의복등을 씌워 보호할수 있게 되는 비닐커버부가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분리시에는 회전절첩 보관될수 있도록 가로 중심선상을 따라 경첩부가 형성되는 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의 1단조절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가 2단조절되고 지붕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가 2단조절되고 지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부에는 일정크기와 형상을 이루는 하부몸체가 구비되고, 이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걸이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양측벽을 형성하게되는 측벽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되는 샷다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길이 조절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2단걸이봉과, 상기 2단걸이봉상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길이조절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지걸이봉과, 상기 2단걸이봉상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지붕으로 구성된다.
100은 하부몸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바닥과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360。 자유회전되는 바퀴형태의 캐스터(110)가 하측 일정부위에 다수 구비되며, 전측부에는 각종 물품 및 의복등을 접은 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2개의 서랍식 수납장(120)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식 수납장(120)의 후측부에는 하기에 설명될 샷다(300)가 보관될수 있도록 되는 보관박스(130)가 일정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200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측부로 의복등의 걸이공간부(210)를 형성하게 되는 측벽프레임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양측부에 하측 일정부위가 각각 체결부재로서 체결 결합됨과 동시에 상측으로는 일정높이의 양측벽부를 형성하면서 최상측부는 상호 고정프레임(240)으로서 지지되며, 상기 걸이공간부(210)를 형성하는 양측벽부의 내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일정형태의 가이드레일(220)이 각각 구비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후측 하단부는 하부몸체(100)의 보관박스(130) 내측 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200)의 상측 중앙에는 가이드레일(220)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양측부가 각각 고정 지지되어 의복등을 걸게 되는 1단걸이봉(23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300은 상기 1단걸이봉(230)에 걸림된 의복을 보호토로 걸이공간부(210)상을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하게 되는 샷다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들어 올리는 힘과 당겨 내리는 힘에 의해 걸이공간부(210)가 개폐될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20)상에 부설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0)상에 부설된 샷다(300)의 일측부는 하부몸체(100)의 보관박스(130)내에 삽입 보관되는데, 이때 보관되는 샷다 (300)길이는 걸이공간부(210)를 개방하여 의복을 걸을수 있는 상태와 걸은 후에는 닫을수 있는 상태의 길이를 포함하는 보관 및 인출 길이를 가지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샷다(300)의 타측단부에는 사용자의 들어올림 개방과 내림폐쇄가 원활히 이루어 질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함과 동시에 내림폐쇄시에는 어느정도 샷다의 걸림력이 유지될수 있도록 하부몸체상의 일정부위에는 자성체(310)가 구비되고, 밀어 올림 개방시에는 자성체(310) 결합력의 해제력만을 가하면 자연당김 올라가 보관박스(130)내로 감김 보관될수 있도록 보관박스(130)내에 보관된 샷다(300)의 일측단부는 스프링력으로서 회전감김되어 어느정도 당겨 올리는 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샷다(300)의 개폐방식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창문용 블라인더 방식인 와이어를 당기어 개폐하는 방식과, 정역모터를 보관박스(130) 내에 구비하여 자동 개폐하는 방식을 선택 적용할수 있는 것임을 밝혀 두는 바이며, 이러한 와이어 및 정역모터를 이용한 개폐방식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400은 상기 측벽프레임(200) 각각의 외측 세로중심선상에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내측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상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봉(410)이 삽입 안내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봉(410)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길이조절된 후 멈춤 고정될수 있도록 되는 조절볼트식의 길이조절부재(420)가 지지프레임(400)의 상측부 상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500은 상기 1단걸이봉(230)의 상측부로 구비되어 상승길이조절시 의복을 걸수 있도록 되는 2단걸이봉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상하길이 조절 가능토록 구비된 가이드봉(410)의 상측단에 양측 하부가 각각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2단걸이봉(500)의 내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 상부에는 각각 나비너트식의 길이조절부재(51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2단걸이봉(500)의 양측부로는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일측단부가 가이드홈상에 각각 삽입 지지되고 길이조절부재(510)로서 각각 좌우측으로 길이조절되는 바지걸이봉(52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바지걸이봉(520)은 롱코트 및 바지등과 같이 긴 의복을 걸어 보관할때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바지걸이봉(520)의 길이조절부재(510)와 2단걸이봉(500)의 길이조절부재(420)는 도면중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돌리어 조임멈춤/풀림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가이드봉(410)과 바지걸이봉(520)상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다음 각각 지지프레임(400)과 2단걸이봉(500)상에 핀체결을 이루어 길이조절될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600은 상기 2단걸이봉(5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2단걸이봉(500)상에 선택적인 착탈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일정형태의 착탈부재(610)가 구비되고, 분리시에는 회전절첩되어 보관될수 있도록 가로 중심선상을 따라 경첩부(620)가 형성되는 구성이며, 상기 2단걸이봉(500)상에 착탈부재(610)로서 체결되어 구비될시에는 지붕(600)의 임의적인 회전절첩이 방지될수 있도록 지붕형상유지부재(630)가 내측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지붕(600)의 하측부로는 2단걸이봉(500)상에 걸린 의복을 씌운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비닐커버(64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붕(600)은 2단걸이봉(500)이 상승조절되어 의복등을 걸을수 있는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나, 이는 도1에서와 같이 2단걸이봉(500)이 하향길이조절된 상태에서도 선택 구비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기능성 행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샷다(300)를 개방한 상태에서 1단걸이봉(230)상에 옷을 걸어 보관한 후 샷다(30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1단걸이봉(230)상에 걸림된 옷은 샷다(300)로 밀폐되어 보관됨으로서 먼지등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임과 동시에 옷걸림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옷걸림의 정돈 작업없이도 미관상 정돈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각종 물품이나 악세사리 및 의복등을 접어서 보관할시에는 하부몸체(100)의 서랍식 수납장(120)에 선택적으로 보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지등을 걸을 시에는 하향조절된 2단걸이봉(500)상의 바지걸이봉(520)을 각각 좌우측으로 늘린 다음 길이조절부재(510)로서 멈춤고정 하고 바지등을 걸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의복이 보관된 상태인 본 고안의 행거 하측부에는 캐스터(110)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편리하게 위치 이동시킬수 있는 것이며, 이후 더 많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시에는 지지프레임(400)상의 가이드봉(410)을 상승시켜 길이조절 함과 동시에 길이조절부재(420)로서 멈춤 고정한 다음 2단걸이봉(500)상에 더욱 많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2단걸이봉(500)의 상측에는 지붕형상유지부재(630)에 의해 회전절첩방지된 상태의 지붕(600)이 착탈부재(610)를 매개체로 구비된 후 지붕(600)의 비닐커버(640)는 2단걸이봉(500)에 걸림 보관된 의복을 씌운형태로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지붕(600)을 구비하지 않을시에는 지붕(600)에서 착탈부재(610)와 지붕형상유지부재(630)를 각각 분리하고 경첩부(62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절첩시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면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측부에는 의복등을 걸수 있도록 1단걸이봉이 구비된 걸이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걸이공간부는 샷다로서 선택적으로 개폐할수 있도록 하여 먼지등으로 부터 보관된 의복을 보호하게 되며, 상기 의복 걸이공간부 하측부에는 서랍식 수납장을 구비하여 의복등을 접은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 것임과 동시에 양측부의 지지프레임상을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상하 길이조절되는 2단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다량의 의복이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것이며, 2단걸이봉상에는 좌우길이조절되는 바지걸이봉을 구비함으로서 바지등의 긴 의복을 걸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2단걸이봉 상측에는 비닐커버가 하측부에 구비되는 지붕이 선택적으로 착탈 구비되어 의복등을 씌운 형태로 보호하면서 보관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하면부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다수의 캐스터(110)가 구비되며 전측부에는 의복을 접은 상태로 보관할수 있도록 일정용량의 서랍식 수납장(120)이 구비됨과 동시에 이 서랍식 수납장(120)의 후측부에는 일정크기의 보관박스(130)가 형성되는 하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0)의 상측부로 의복등의 걸이공간부(210)가 형성 될수 있도록 하부몸체(100) 양측부에 하측 일정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양측벽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 양측벽부 내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일정형태의 가이드레일(220)이 각각 구비되는 측벽프레임(200)과; 상기 하부몸체(100)의 보관박스(130)내에 일측부가 삽입 보관되어지고 타측부는 측벽프레임(200)의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안내이송되어 의복 걸이공간부(210)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샷다(300)와; 상기 측벽프레임(200)의 내측 상부 중앙에 양측단이 각각 지지되고 걸이공간부(210)상에 의복을 걸수있도록 구비되는 1단걸이봉(230)과; 상기 측벽프레임(200) 각각의 외측 세로중심선상에 구비됨과 동시에 내측부의 가이드홈상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봉(410)이 삽입 안내 지지되고 이 가이드봉(410)의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일정형태의 길이조절부재(420)가 상측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00)과; 상기 지지프레임(400)상에 길이 조절가능토록 지지된 가이드봉(410)의 상측단에 양측 하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승 길이조절시 또 다른 의복을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2단걸이봉(500)과; 상기 2단걸이봉(500)의 양측 내부의 가이드홈에 각각 일측부가 삽입 지지됨과 동시에 양측 일정부위에 구비된 길이조절부재(510)에 의해 좌우길이조절되면서 바지등을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지걸이봉(520)과; 상기 2단걸이봉(500)상에 착탈부재(610)로서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의복등을 씌워 보호할수 있게 되는 비닐커버(640)가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분리시에는 회전절첩 보관될수 있도록 가로 중심선상을 따라 경첩부(620)가 형성되는 지붕(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KR2020010015668U 2001-05-28 2001-05-28 행거 KR200244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68U KR200244995Y1 (ko) 2001-05-28 2001-05-28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68U KR200244995Y1 (ko) 2001-05-28 2001-05-28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995Y1 true KR200244995Y1 (ko) 2001-10-15

Family

ID=7306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668U KR200244995Y1 (ko) 2001-05-28 2001-05-28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57Y1 (ko) 2008-11-07 2012-04-19 이재전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57Y1 (ko) 2008-11-07 2012-04-19 이재전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5826A (en) Garment bag having telescoping rod
JP2014533524A (ja) 衣料品の格納及び取出用携帯装置
US20030108254A1 (en) Laundry apparatus
US5143214A (en) Hanging garment storage bag
KR200458234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0244995Y1 (ko) 행거
US4625873A (en) Garment rack
US2109141A (en) Garment hanger and folder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CN213849127U (zh) 一种可调节空间的旅行箱
JP3026915U (ja) 衣服整理家具
JP2009247398A (ja) クローゼット
CN210672385U (zh) 一种行李箱
US20230092112A1 (en) Hangetic
CN218008776U (zh) 一种内部空间可调节衣柜
US10856656B2 (en) Foldable collapsible packing organizer
US2080645A (en) Hand luggage
KR200237132Y1 (ko) 포스트를 이용한 간이수납장
CN212139640U (zh) 旅行箱
KR200263054Y1 (ko) 조립식 물품 보관대
KR200431618Y1 (ko) 옷 걸이봉이 구비된 포장상자
CN209555586U (zh) 一种可折叠落地晾衣架
JP2007061591A (ja) 収納ボックス
US1949626A (en) Wardrobe case
JP3061816U (ja) 洗濯ハンガ―入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