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941Y1 -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 Google Patents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941Y1
KR200244941Y1 KR2020000036210U KR20000036210U KR200244941Y1 KR 200244941 Y1 KR200244941 Y1 KR 200244941Y1 KR 2020000036210 U KR2020000036210 U KR 2020000036210U KR 20000036210 U KR20000036210 U KR 20000036210U KR 200244941 Y1 KR200244941 Y1 KR 200244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fishing
battery
bobb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기
Original Assignee
박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기 filed Critical 박형기
Priority to KR202000003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941Y1/ko

Links

Abstract

밤낚시에 사용하는 낚시찌의 구성은 도 1에서 보듯이 찌몸통(102)과, 찌몸통(102)의 상부에 부착되는 찌톱(101), 하부에 부착되는 찌다리(103), 찌날라리(104)로 이루어지고 찌톱(101)의 상단에는 발광체(201)를 부착하여 그 불빛으로 어신(고기가 미끼를 취할 경우 낚시찌가 상하로 움직임)을 낚시인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기존의 전기발광 낚시찌는 발광체의 점멸 시 찌몸통을 분리하여 전지의 방향을 역으로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LED의 각(-), (+)단자에 에나멜선을 2개를 접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발광체의 점멸 방법을 몸통의 회전만으로 할 수 있게 하여 한번 전지를 삽입하면 그 전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찌몸통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발광 낚시찌이며, 찌톱(101)은 전도성이 우수한 카본을 전선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 하며, 재료 또한 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ONE-TOUCH LED FLOAT}
우리 나라의 낚시인구는 약 5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들이 가장 많이 낚시를 즐기는 계절은 여름휴가철 밤낚시이며 이때에는 반드시 발광체 낚시찌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발광 낚시찌의 단점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 적인 전기발광 낚시찌를 사용함으로서 이들의 여가활동을 보다 즐겁고 편리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밤낚시에 사용하는 전기발광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밤낚시 때는 어신을 감지하기 위해 찌톱의 상단에 발광체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에 사용되는 발광체는 프라스틱 튜브안에 화학약품을 담아 이 화학약품이 작용함에 따라 빛이 발광하는 케미라이트를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케미라이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빛이 점차 약해지므로 시인성이 떨어지고, 일회용으로서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하루 사용량도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3-4개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500만 낚시인구가 사용하고 버려진 케미라이트의 수는 어마어마할 것이며, 또 이렇게 버려진 케미라이트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프라스틱튜브가 부식되면 화학약품이 자연에 노출되어 수질 및 토양에 환경오염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최근에 만들어진 낚시찌가 찌톱(101)에 LED(201)를 부착하고 찌 자체에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발광하는 전기발광 낚시찌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기발광 낚시찌의 구조는 도 2를 참조 설명한다.
찌톱(101)의 끝에 LED(201)를 부착하고 그 (-), (+)극에 에나멜선을 각각 납땜으로 접합하여 그 에나멜선(203)은 카본대(202)에 부착하여 내려와 연결캡(204)속의 각(-)단자(205), (+)단자(206)에 연결되며 카본대(202)는 연결캡(204)에 납땜으로 부착된다.
연결캡(204)의 내부를 살펴보면 가장 안쪽에 (-)단자(205)가 있고 그 외부는 절연체(207)가 둘러 쌓여 있고 그 위에 (+)단자(206)가 스프링형태로 부착된다.
찌몸통(102)의 재료는 목재등 여러 가지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전지를 삽입하기 위해 비어있고 그 상부는 고무패킹(211)이 부착되어 전지를 고정한다. 찌를 사용할 때에는 고무패킹을 찌톱(101)의 연결캡(204)에 삽입 고정하여 일체화하여 사용한다.
도4를 통하여 전지를 살펴보면 몸통((+)전극(402))길이 약30mm, (-)전극(401)길이 약5mm, 직경 약 4mm로서 3V전압의 초소형 리튬전지이다.
한편, LED(201)를 점등할 때에는 찌몸통(102)과 찌톱(101)을 분리하여 전지(210)를 빼서 (-)극(401)을 위로하여 찌몸통(102)의 고무패킹(211)에 삽입한 후 연결캡(204)을 닫는다. 소등할 때에는 찌몸통(102) 과 찌톱(101)을 분리한 후 전지를 꺼내어 방향을 반대로 삽입하여 다시 닫는다. 낚시를 하다가 어두워져서, 점등을 하는 과정을 보면 1. 낚시찌에 묻은 물기를 수건 등으로 제거하고, 2 찌몸통(102)과 찌톱(101)을 분리한 후, 3 전지(210)를 빼서, 4 역 방향으로 찌몸통(102)에 삽입한 후, 5 다시 찌몸통(102)과 찌톱(101)을 끼워 맞춘다. 이렇듯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은 4-5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다. 또 낚시찌는 항상 물에 젖어있는 상태이므로 연결캡(204)을 분리하였을 때에 물기나 습기가 낚시찌 안으로 스며들기 쉬우며 이를 건조시키지 않고 방치하면 그 내부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가 오래동안 그 안에 머물면서 각 접촉단자들이 부식하게 되고 찌몸통(102)에 변형을 일으키는 등 찌의 수명이 단축되며, 낚시찌의 부력에도 변화가 생기게 되며, 연약한 찌톱(101)에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는 위험에 노출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발광 낚시찌에서의 점등, 소등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몸통의 회전만으로 점등, 소등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성을 부여하고, 또 그 제작과정에 있어 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대를 찌톱으로 사용하여, 그 찌톱을 하나의 전선으로 이용하므로 공정도 단순화 하며 찌톱의 무게도 최소화 할뿐아니라 재료 또한 절약할 수 있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볼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 낚시찌의 구성도
도 2는 기존 전기발광 낚시찌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발광 낚시찌의 단면도
도 4는 전지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캡과 내부캡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발광 낚시찌의 설명도인데 그 구성은 최상부의 발광체(LED)(301)와 카본대(202)로 이루어진 찌톱(101), 내부캡(209)이 내장되어 있는 나무소재로 이루어진 찌몸통(102), 그리고 연결캡(204)이 부착되는 찌다리(103)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찌톱(101)의 하나의 전선으로 사용하여 발광체(LED)(301)에 부착되는 에나멜선이 1개라는 점 , 그리고 찌몸통(102)내부의 내부캡(209), 그리고 연결캡(204)에서 설명된다.내부캡(209)의 가장 안쪽에 (-)단자(205)가 원형파이프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그 둘레를 절연체(207)가 쌓여 있어 (+)단자(206)의 접촉을 방지한다. 그 (-)단자(205)의 상부에는 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대인 찌톱(101)이 내부로 들어와 고정되어 전선역활을 하며 동시에 전지(210)의 (-)극(401)이 들어와 접촉된다. 찌톱(101)의 상부에는 LED(301)가 부착되는데 LED(301)의 (-)극이 찌톱(101)에 연결되며 (+)극에는 에나멜선(203)이 납땜으로 접착되어 찌톱(101)에 부착되어 내려와 내부캡(209)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206)에 부착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찌톱(101)과 에나멜선(203)위로 도료를 도포하여 피복을 입힌다. (+)단자(206)는 기존의 그것과는 달리 직접 전지(210)의 (+)극(402)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도 5 에서와 같이 내부캡(209)에 고정된다. 찌다리(102)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캡(204)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단자스위치(302)가 추가로 설치되어 전지(210)를 연결캡(204)에 삽입하였을 때에 항상 전지(210) 의 (+)극(402)가 접촉되게 한다. 연결캡(204)에 전지(210)의 (-)극(401)을 위로한 채 삽입하고 연결캡(204)과 내부캡(209)을 끼워서 맞추면 제대로 낚시찌의 모습이 갖추어 지는데, 이때 전지(210)의 (-)극(401)이 (-)극단자(205)의 속으로 들어가 항상 접촉되어 있고, 전지(210)의 (+)극(402)은 (+)극스위치(302)에만 접촉되어 있고 (+)극단자(206)에 접촉되지 않게 한다.
발광체에 점등을 할 때에는 찌몸통(102)을 회전하여 연결캡(204)에 고정되어 있는 (+)극 스위치(302)와, 내부캡(209)에 고정되어 있는 (+)극단자(206)를 접하게 하며, 반대로 소등하고자 할 때에는 역시 찌몸통(102)을 회전하여 (+)극 스위치(302)와 (+)극단자(206)를 떨어지게 하면 된다. 기존의 전기발광낚시찌에서 점등 과정을 보면 1. 찌몸통(102)과 찌톱(101)을 분리하여, 2 전지(210)를 빼서 3 역 방향으로 다시 삽입하고, 4 찌몸통(102)과 찌톱(101)을 다시 결합시키는 4단계의 과정을 거치고, 소등 과정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발광 낚시찌는 단 한번의 과정으로 점등과 소등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발광 낚시찌는 단 한번의 과정으로 점등과 소등을 가능하게 하여, 대단한 편리성을 부여하였으며, 낚시도중의 물 묻은 찌몸통과 찌톱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낚시찌의 내부로 물이나 습기가 침투할 위험이 없으므로 낚시찌 내부의 금속단자들이 부식되지 않아 내구 연한을 늘릴 수 있으며, 또 밤이나 낮이나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게 하였다. 그리고 제작과정에서도 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대를 또하나의 전선으로 이용하므로써 전선1개를 줄여 제작공정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찌톱의 무게가 적을수록 좋은 것이 특성인 우수한 찌톱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

  1. 전지를 삽입하였을 때에 전지가 각 전극에 동시에 접촉되지 않고 전지의 일극이 항상 일극단자에 접촉되어 있고, 타극은 별도의 스위치장치에 항상 접촉되어 있으며 별도의 스위치를 부가하여 이 스위치가 타극단자에 접촉 또는 분리할 수 있어 몸통의 회전만으로도 발광체의 점등, 소등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KR2020000036210U 2000-12-22 2000-12-22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KR200244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10U KR200244941Y1 (ko) 2000-12-22 2000-12-22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10U KR200244941Y1 (ko) 2000-12-22 2000-12-22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941Y1 true KR200244941Y1 (ko) 2001-09-25

Family

ID=7306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210U KR200244941Y1 (ko) 2000-12-22 2000-12-22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9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11B1 (ko) * 2007-03-19 2008-07-17 이기영 낚시찌
KR200454522Y1 (ko) * 2007-08-17 2011-07-11 지영근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11B1 (ko) * 2007-03-19 2008-07-17 이기영 낚시찌
KR200454522Y1 (ko) * 2007-08-17 2011-07-11 지영근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655A (en) Illuminable fishing float
US6405475B1 (en) Lighted fishing rod
KR200244941Y1 (ko) 원터치 전기발광 낚시찌
US6715229B2 (en) Fishing float having light displaying members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200279449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낚시찌
JP3100739U (ja) 穂先ライト
CN218278363U (zh) 一种钓具用发光装置
CN220186683U (zh) 一种便于收纳的荧光棒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0288560Y1 (ko) 전기발광 낚시찌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200311163Y1 (ko) 전기발광 낚시찌
KR200194967Y1 (ko) 광섬유 낚시찌
JPH11103739A (ja) 浮き用電子ライト
CN218819836U (zh) 一种可换色的钓具用发光装置
KR820000843Y1 (ko) 밤 낚시질용 전자 낚시찌
KR200361576Y1 (ko) 전기 발광 낚시찌
KR920003759Y1 (ko) 전등을 착설한 낚시용 뜰채
KR200279392Y1 (ko) 원터치로 점등이 가능한 찌 몸통
CN209546677U (zh) 一种变色浮漂配件
CN201557471U (zh) 能显示咬钩的发光鱼漂
KR950010252Y1 (ko) 투명글라스의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