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98Y1 -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98Y1
KR200244498Y1 KR2020010016179U KR20010016179U KR200244498Y1 KR 200244498 Y1 KR200244498 Y1 KR 200244498Y1 KR 2020010016179 U KR2020010016179 U KR 2020010016179U KR 20010016179 U KR20010016179 U KR 20010016179U KR 200244498 Y1 KR200244498 Y1 KR 20024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vehicle
display
switch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기
Original Assignee
박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록 filed Critical 박상록
Priority to KR2020010016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9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부에 설치된 스위치와, 자동차의 앞유리창 또는 뒷유리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채워져 상기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안전벨트의 착용유무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자가 안전벨트 미착용을 운전전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서 안전벨트 착용유무가 쉽게 인지되어 안전벨트 미착용의 단속이 손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safety belt on-off display}
본 고안은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부에 설치된 스위치와, 자동차의 앞유리창 또는 뒷유리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채워져 상기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안전벨트의 착용유무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란 주로 항공기 ·자동차 등 고속으로 달리는 교통기관의 좌석에 장치한 띠를 의미한다.
좌석벨트라고도 하며 승무원 ·승객이 충돌이나 급브레이크, 또는 진동 ·동요가 있을 때 좌석에서 튕겨져 나오거나 실내에 있는 돌기물에 부딛쳐서 부상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래는 상하동요가 심한 비행기, 그 중에서도 공중회전 등의 곡예비행을 하는 소형기 ·전투기 등에서 조종사를 좌석에 묶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자동차 도로가 정비됨에 따라 자동차가 고속화되어 교통사고 사망자 중 운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띠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보통 건강한 성인 남자가 전신으로 지탱할 수 있는 힘은 몸무게의 2~3배인데, 자동차가 시속 40km 정도의 속도로 달리다가 전주와 같은 것에 충돌했을 경우에는 몸무게의 16배나 되는 충격을 받게 되므로, 사상의 가능성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띠는 고속운전 때만이 아니라, 저속운전을 할 경우에도 필요하게 되어, 50 G 이상의 감속도에 따른 가중, 즉 몸무게의 약 30배가 되는 힘에도 견딜 수 있게 설계된다.
일반 자동차용 안전띠는 천으로 되어 있는데, 간단히 끼웠다 벗었다 할 수 있는 버클이 달려 있다. 가장 간단한 구조의 것은 2점식인데, 띠의 양끝이 차체의 2개소에 고정되어 있고, 3점식은 운전자의 허리와 어깨를 거치게 되어 있으며, 띠의 끝이 차체의 3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또, 경주용 자동차에는 4점식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풀하네스식이라고도 한다. 경주용 자동차일 경우에는, 안전띠를 장착하지 않으면 출전할 수 없게 되어 있는 때가 많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부각되어 안전벨트의 착용을 법제화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벨트에 있어서는 안전벨트의 착용유무에 관한 외부표시장치가 없어 운전자가 안전벨트 미착용을 인지하지 못하고 운전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통단속 경찰관의 입장에서는 자동차의 어두운 실내를 확인하면서 일일이 안전벨트의 착용유무를 단속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유무가 외부로 표시되는 장치인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 20 : 제어부
30 : 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부에 설치된 스위치와, 자동차의 앞유리창 또는 뒷유리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채워져 상기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안전벨트의 착용유무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벨트 미착용을 운전전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서 안전벨트 착용유무가 쉽게 인지되어 안전벨트 미착용의 단속이 손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의 회로도이다.
도1에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부에 설치된 스위치(10)와, 디스플레이부(30)와, 제어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0)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부에 내설되어 안전벨트 착탈시 전기신호를 발하게 된다.
상기 전기신호는 상기 제어부(20)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전기신호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유무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부(30)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유무를 외부에 인식가능한 신호로 출력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통상 LCD, 액정디스플레이, 다이오드패널, 램프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자동차의 앞유리 또는 뒷유리창에 설치되어 내부 및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에는 스피커 또는 부저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스피커나 부저를 통하여 안전벨트 유무를 운전자에게 경고시키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자가 안전벨트 미착용을 운전전 인식할수 있고, 외부에서 안전벨트 착용유무가 쉽게 인지되어 안전벨트 미착용의 단속이 손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부에 설치된 스위치(10)와;
    자동차의 앞유리창 또는 뒷유리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자동차의 안전벨트가 채워져 상기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안전벨트의 착용유무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부(20)로 구성되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KR2020010016179U 2001-05-31 2001-05-31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KR20024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79U KR200244498Y1 (ko) 2001-05-31 2001-05-31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79U KR200244498Y1 (ko) 2001-05-31 2001-05-31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98Y1 true KR200244498Y1 (ko) 2001-10-17

Family

ID=7313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179U KR200244498Y1 (ko) 2001-05-31 2001-05-31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168B1 (en) Seat belt system
WO2005082120A3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improved turn notification capabilities
JP2007503633A (ja) 事故に関するデータを提供する自動車用装置
US2824293A (en) Safety devices
ES2295845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automovil y procedimiento para la comunicacion del estado de un dispositivo de seguridad de un automovil.
KR200244498Y1 (ko)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지시기
KR101345537B1 (ko) 안전벨트 착용 현시 장치
US11548434B2 (en) Automobile safety light system and methods of use
JPH11321562A (ja)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CN101885321B (zh) 一种安全带佩戴智能提醒装置
US20090009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safe driving
CN108583502A (zh) 一种车辆安全装置
JP2006315683A (ja) ベルト張力の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KR20040053982A (ko) 승객용 안전벨트 경고시스템 및 그 경고방법
KR960002532Y1 (ko) 안전벨트착용 경보장치
KR970005980A (ko) 차량에서의 안전 벨트 착용 경보 시스템
KR100190457B1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Md Zain et al. Implementation of Seat Belt Monitoring and Alert System for Car Safety
WO2013080001A1 (en) A safety interlock for the operation of a vehicle whereby the throttle is disabled unless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are properly safety belted
KR0158960B1 (ko) 택시의 승차인원 표시장치
CN211223353U (zh) 机动车驾驶员安全保护装置
KR20070076801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감지장치
CN2880603Y (zh) 车内语音主动提醒扣好安全带的装置
KR20080039563A (ko) 차량의 안전벨트 경고 장치와 그 방법
KR1998002451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