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07Y1 -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 Google Patents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07Y1
KR200244407Y1 KR2020010008826U KR20010008826U KR200244407Y1 KR 200244407 Y1 KR200244407 Y1 KR 200244407Y1 KR 2020010008826 U KR2020010008826 U KR 2020010008826U KR 20010008826 U KR20010008826 U KR 20010008826U KR 200244407 Y1 KR200244407 Y1 KR 200244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drive shaft
water
frame
sl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수
Original Assignee
원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수 filed Critical 원종수
Priority to KR202001000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07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에 사용하는 웨어수문에 관한 것으로 수로 또는 저수지 개구부 벽면에 고정시키는 박스형 프레임(1)과 게이트(2)가 밀착되는 위치에 각각의 금속재질의 프레임 시트(8)와 게이트 시트(9)를 고정시키고, 프레임(1)과 게이트(2)를 지속적으로 밀착시켜주어 물의 누설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2쌍의 로울러웨지(4), 게이트(2)가 프레임(1)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스톱퍼(6)로 구성된 웨어수문에 있어서, 웨어수문 작동 시 게이트(2)의 상하좌우 흔들림이 없고 물의 흐름에 전혀 저항 이 없으면서 쓰레기와 같은 협잡물의 걸림이 전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웨어수문을 작동시키는 구동축(3a)을 게이트(2)중심에서 개구부를 벗어난 위치에 편심으로 이동시키고, 게이트(2)의 중심 양쪽에 여러 개의 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 프레임에 고정된 수평축(3b)에 게이트(2)에 고정된 핀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를 부착시키고. 이 수평축(3b)이 구동축(3a)에 의해서만 회전 할 수 있도록 워엄과 워엄 기어로서 구동축(3a)과 수평축(3b)을 연결시킴으로서 구동축(3a)이 편심이 되어 있어도 웨어수문이 부드럽고 적은 힘으로도 개폐가 용이하고, 물의 통과 시 개구부 에는 어떠한 저항 및 걸림이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심구동형 웨어수문{Weir Gate for Eccentric Drive}
본 고안은 상하수도에 처리에 사용되는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통로를 제어하는 게이트(2)에 핀잭(7)을 고정시키고, 프레임(1)수평축(3b)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10)를 편심으로 이동된 구동축(3a)과 연결된 워엄 기어박스(11)를 통해 회전토록 하고. 이 피니언 기어(10)가 핀잭(7)에 고정된 핀을 밀어 올림으로서 게이트(2)의 이동이 부드럽고, 워엄 감속을 통한 회전방식이므로 작은 조작 힘으로도 웨어수문의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구동축(3a)이 개구부를 벗어난 위치에 있으므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으며. 쓰레기 같은 협잡물 등의 걸림이 없어 구동축(3a)의 회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아 그많큼 웨어수문 의 내구성이 한층 더 향상되어 수명이 더 길어지는 것이다. 또한 구동축(3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방식이 되기 때문에 게이트(2)의 이동범위 와는 관계없이 구동부의 이동높이도 일정하게 되어 설치면적이 기존 수문 구동부 보다 현저히 작은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설비중 에서 물의 차단 및 유량조절 기능을 가진 수문과 물의 월류 및 유량조절 기능을 가진 웨어수문이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웨어수문은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 에서의 상등수를 회수시키는 시설에 설치된다. 이와같은 용도의 웨어수문은 사용하고 남은 물의 재활용과 수처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웨어수문의 수명연장과 다른 설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웨어수문은 도 1,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문의 프레임(1)을 180도 회전시키고 게이트(2)를 수문작동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있고, 프레임(1)과 게이트(2) 각각에 메탈시트(8)(9)를 장착하였고, 이 메탈시트를 서로밀착시키겠끔 2쌍의 로울러웨지(4)를 장착하였다. 또한 게이트(2)가 닫힘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6)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웨어수문은 게이트(2)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축(3a)이 게이트(2)중심에 고정되있고 그 구동축(3a)은 개구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항상 유체의 흐름에 저항을 받아 게이트(2) 이동시 진동이 발생되고, 협잡물등이 걸리게 되어 게이트(2)의 이동만큼 구동축(3a)도 따라 이동됨으로 구동축(3a)에 걸린 협잡물이 구동부에 끼이게 되어 구동부의 주된 고장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과 같은 종래의 핀잭 웨어수문도 게이트(2)의 이동만큼 핀잭(7)도 따라 이동되고, 이 웨어수문 역시 개구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저항을 받고, 협잡물이 끼이게 되어 도 1, 도2에 도시된 웨어수문과 더불어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게이트에 핀잭(7)을 고정시키고 , 이 핀잭(7)을 개구부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편심 구동축(3a)과 연결된 피니언기어(10)가 물고 밀어주게 하여 게이트가 이동되게끔 함으로서 유체가 통과하는 개구부에는 어떠한 저항과 걸림을 없애, 이로 인한 웨어수문의 내구성 향상과 수명연장이 되도록 성능을 한차원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웨어수문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 의 A-A' 선 측면도.
도3은 종래의 핀잭 웨어수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도4 의 B-B' 선 측면도.
도6은 도4 의 C-C'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게이트
3a : 구동축 3b : 수평축
4 : 로울러 웨지 5 : 힌 지
6 : 스톱퍼 7 : 핀 잭
8 : 프레임 시트 9 : 게이트 시트
10 : 피니언 기어 11 : 워엄기어 박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은 물의 흐름을 막고, 열어주는 게이트(2)와 이게이트가 일정한 범위에서만 이동하게 하는 프레임(1), 프레임(1)과 게이트(2)를 항상 밀착시키게 하여 물의 누설을 최소화하는 로울러웨지(4)가 있으며, 게이트(2)를 이동시키게 하는 구동축(3a)을 유체의 흐름에 저항이 없고, 협잡물의 걸림이 없도록 개구부를 벗어난 위치에 이동시킨 것이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예시도면 도 4와 도 5,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편심구동형 웨어수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으로 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으로 본 단면도로서 웨에수문에 장착된 워엄기어 및 구동축(3a), 피니언기어(7)의 배치상태와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 도 3에서 설명한 웨어수문에서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과 동일한 구성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번호를 나타낸다.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수로 또는 저수지 벽면에 고정시키는 프레임(1)과 게이트(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프레임(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과 게이트(2)를 항상 밀착시키도록 로울러웨지(4)를 상.하 각각의 쌍으로서 부착하여 게이트(2)가 균형 있게 밀착되도록 하였다.
유체의 흐름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게이트(2)를 이동시키는 구동축(3a)을 개구부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 구동축(3a)이 게이트(2)를 움직이게 할수 있도록 게이트(2)에 여러개의 핀을 고정시킨 핀잭(7)을 게이트(2)에 부착 시킨 후 프레임(1) 양쪽에 수평축(3b)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부착하고, 그 수평축(3b)에 핀잭(7)을 걸어 올릴수 있는 피니언기어(10)를 게이트(2)가 수평으로상승되도록 게이트(2)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각각 부착 시켰다. 또한 직각 방향인 수평축(3b)과 구동축(3a)을 연결 시키도록 워엄 과 워엄기어로서 조합 시켰으며, 이는 게이트(2)의 자체중량으로 게이트가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개구부를 벗어나 설치된 구동축(3a)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면 이 구동축(3a)은 워엄과 연결되어 워엄기어를 회전시키고, 이 워엄기어와 연결된 수평축(3b)이 회전되면서 수평축(3b)에 부착된 피니언기어(10)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0)의 이빨은 핀잭(7)의 핀을 걸고 회전하게되고 이에따라 핀이 부착된 핀잭(7)이 움직이게 되므로 핀잭(7)과 고정된 게이트(2)가 같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의 통로를 열어 주거나 차단해주는 게이트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축을 물의 통로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물의 저항으로 생기는 구동축의 흔들림이 없어지게 되고, 또한 구동축과 연결된 게이트의 흔들림도 없게 되어 게이트 와 게이트 시트마모가 현저히 줄어 들수 있으며, 또한 구동축에 협잡물등의 걸림이 없어 구동부의 고장원인이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가 있다.
또한. 구동축의 회전은 제자리에서만 이루어 지므로 게이트의 이동범위에 따라 구동축도 따라 이동하는 종래의 웨어수문 보다는 구동부의 설치면적이 현저히줄어드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동축을 개구부에서 이동시킴으로 해서 웨어게이트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설치면적의 축소와 작은 힘으로도의 개폐가 가능해져, 종래의 웨어수문보다는 금전적인 이익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Claims (1)

  1.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게이트(2)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축(3a)을 물의 통로인 개구부에서 벗어나게 하고, 이 편심된 구동축(3a)을 웜과 웜기어의 조합으로서 연결하게 하며, 프레임(1)에 고정된 수평축(3b)에 피니언기어(10)를 부착시키고, 게이트(2)에 고정된 핀잭(10)의 핀을 핀니언기어가 물고 밀어내게 하여 게이트(2)가 움직이게 하는 조립형태로서 구조화한 것이 특징인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KR2020010008826U 2001-03-29 2001-03-29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KR200244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826U KR200244407Y1 (ko) 2001-03-29 2001-03-29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826U KR200244407Y1 (ko) 2001-03-29 2001-03-29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07Y1 true KR200244407Y1 (ko) 2001-10-10

Family

ID=7309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826U KR200244407Y1 (ko) 2001-03-29 2001-03-29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74B1 (ko) 2013-07-15 2013-09-24 황동언 웨어용 가동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74B1 (ko) 2013-07-15 2013-09-24 황동언 웨어용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226B1 (ko)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JP5333872B2 (ja) 水門
KR20070055462A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0244407Y1 (ko) 편심구동형 웨어수문
KR20090097825A (ko) 다단 전도식 수문장치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0753623B1 (ko) 역수방지 밸브장치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100573812B1 (ko) 롤러 위치 변경형 수문
KR101199345B1 (ko) 횡형 수문장치
JP3228869B2 (ja) 水門の堆積物除去装置
JP3425695B2 (ja) 管渠用フラップゲート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185979Y1 (ko) 러버시트 수문
KR20030091893A (ko) 로타리 제진기
KR200341020Y1 (ko) 로타리 제진기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JP3171211U (ja) 水門
KR200361667Y1 (ko) 자동수문 개폐장치
KR200199882Y1 (ko) 도어형 자동 수문 장치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KR20050097099A (ko) 슬라이드형 수문
KR200359070Y1 (ko) 역류방지용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