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323Y1 -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323Y1
KR200244323Y1 KR2020010014323U KR20010014323U KR200244323Y1 KR 200244323 Y1 KR200244323 Y1 KR 200244323Y1 KR 2020010014323 U KR2020010014323 U KR 2020010014323U KR 20010014323 U KR20010014323 U KR 20010014323U KR 200244323 Y1 KR200244323 Y1 KR 200244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rganic
parts
mixer
eart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동
서영준
Original Assignee
허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명준 filed Critical 허명준
Priority to KR2020010014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323Y1/ko

Links

Landscapes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농·수산물폐기물, 하·폐수슬러지, 도축장폐기물, 식품가공 공장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 이탄, 톱밥, 왕겨 등의 팽윤제를 주입하여 혼화기에서 혼화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면서 알칼리토금속 분말이나 이를 소성한 분말을 공급한 다음 무기산을 공급하여 중성으로 중화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병원성 미생물 부패 및 변패성 미생물과 잡초의 씨앗을 사멸시킨다. 또한, 악취 발생물질을 알칼리토금속 분말이나 이를 소성한 분말에 흡착 제거 하므로써 위생적인 처리공정이다.
특이한 사항은 팽윤제의 소모량이 재래적인 공정에 비해서 1/4∼1/5정도로 감소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퇴비판내 비용의 절반 이하로 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면서 유기미네랄이 풍부한 양질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이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material}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농·수산물폐기물, 하·폐수슬러지, 도축장폐기물, 식품가공 공장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알칼리토금속(alkaline earth metal) 광물분말, 무기산(無機酸), 팽윤제(bulking agent) 등을 이용하여 경제적이면서 위생적인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유기성 폐기물은 대부분 함수율이 높아서, 특히 하절기에 부패 및 변패가 쉽고 심한 악취를 발생한다. 또한, 파리 등의 해충과 쥐등이 서식하므로 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과거에는 극소수 일부만 퇴비화 및 사료화를 하였고 대부분 폐기물 매립장에 매립처분하였는데, 고농도 침출수의 배출 및 악취발생, 파리, 쥐 등의 서식과 같은 여타 문제점이 야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매립지 반입금지 방침이 결정되었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의 별도 처리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의 처리방법으로는 퇴비화, 사료화, 혐기성소화에 의한 메탄가스(methane gas) 발생에 의한 에너지화, 소각처리, 하수병합처리 등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상기 혐기성소화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에 의한 에너지화, 소각처리, 하수병합처리 등은 전혀 자원화가 되지 않으며 처리 비용도 높아 거의 현실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식용유와 같은 액상의 불포화지방산의 농도가 높아 혐기성소화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에 의한 에너지화, 하·폐수병합처리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서 미생물 균체인 오니가 응집하여 덩어리를 형성하므로써 처리를 불가능하게 한다. 사료화의 경우는 사료비 절감효과가 있어 소, 돼지, 오리, 닭 등의 가축에 급여하였으나, 소의 경우에는 광우병과 구제역등의 질병을 야기시킬 수 있어 법적으로 급여사육을 금지하고 있으며 돼지 역시 구제역 등 질병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육이 금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오리, 닭의 경우도 바이러스성 병원균에 의한 폐사율이 높아 여러 축산 농가에서 기피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등과 같이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은 팽윤제(수분조절제)로 톱밥, 왕겨 등을 사용하였으나 구입 가격이 높아 전혀 경제성이 없으며, 처리공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심하였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경우에는 염분(NaCl) 농도가 높아 농작물의 염해 현상과 토양의 입단구조를 단립화하여 사토화하기 때문에 퇴비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팽윤제의 비용절감 및 악취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10709호, 제1998-048486호, 제1999-046522호, 제1999-069483호, 제2000-030257호, 제2000-033746호 등에서는 생석회, 소석회, 돌로마이트 (dolomite) 등을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등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에 주입시켜 물과 가수분해시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해 60∼100℃의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유기성 폐기물 중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되게 한다. 또한, 생석회, 소석회, 돌로마이트 등의 분말은 악취유발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하여 악취발생이 거의 없게 된다. 그래서, 짧은 시간에 양질의 퇴비가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첫째, 함수율 82∼85wt%, 25℃인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생석회를 주입하여가수분해 반응열에 의해서 100℃까지 온도를 올리는데는 음식물쓰레기 100부에 생석회 50부 이상 주입해야 하므로 유기물 함량이 퇴비 기준법의 기준치 25% 이하가 되기때문에 다른 유기질 부재료를 혼합해야 한다.
둘째, 생석회나 돌로마이트는 물과 가수분해 반응을 하면 소석회(消石灰)로 되면서 pH가 12이상 완충영역(Buffer zone)의 강알칼리 물질로 되기 때문에 어떠한 미생물도 생육할 수 없다. 따라서, 부숙공정에서 부숙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생유기물 상태로 존재하므로 작물에 시비하였을때 호기성 미생물 생육이 활발하여 토양의 산소농도를 저감시켜 작물의 부피가 고갈되어 작물이 죽기때문에 퇴비가 될 수 없다.
세째, pH가 9∼10이상의 강알칼리 상태에서는 어떠한 식물도 자랄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나 돌로마이트로 처리하였을 때는 pH가 12이상 완충영역의 물질로 되기 때문에 토양에 다량으로 시비할 수 없다.
넷째, 식물은 물론이고 미생물의 미네랄 섭취는 구연산, 주석산, 부식산, 풀브산(fulvic acid) 등과 같은 킬레이트(chelate)성 유기산과 착염을 형성한 상태에서 쉽게 흡수할 수 있다. 퇴비화 공정의 부숙공정에서 부식산, 풀브산 등과 같은 부식물질(Humic substance) 생성에 의해 킬레이트성 유기미네랄(organic minerals)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기존 특허에서는 pH가 높아 미생물의 생육이 되지 않아 부숙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순수한 광물질로 존재하기 때문에 칼슘, 칼륨, 아연, 마그네슘 등과 같은 필수 미네랄의 흡수효율이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기 위해서 유기성 폐기물에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등의 알칼리토금속광물의 분말이나 이를 소성한 분말인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혼합교반한 후, 황산(H2SO4), 염화수소(HCl), 질산(HNO3) 등의 무기산을 공급하여 pH를 7전후로 조정하면서 중화 반응열에 의해 100℃ 이상에서 상당량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병원성미생물, 부패 및 변패성 미생물 등 유해성 미생물은 물론 잡초의 씨앗을 사멸처리한 후, 이탄, 톱밥, 왕겨 등의 팽윤제를 적당량 혼합한 후 부숙조로 이송하여 고온 발효공정을 생략하고 중온성 부식화 미생물에 의해 짧은 시간에 양질의 비료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기성 폐기물은 특히 하절기에는 쉽게 부패 및 변패되어 심한 악취발생과 파리, 쥐 등이 서식하므로 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등은 함수율이 높기 때문에 팽윤제의 소모량이 많아 퇴비 판매비용의 2∼3배 정도의 처리 비용이 소요됨으로써 경제성이 없다.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와 같은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폐기물의 경우 퇴비 판매가의 절반 이하의 비용으로 처리하여 우선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 처리공정에서 악취발생, 파리등 해충의 서식을 최대로 억제하여 위생적이면서 킬레이트 유기성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면서 양이온교환가(CEC; Cation Exchange Capacity) 및 부식화도(Humification grade)가 높은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도1은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농·수산물폐기물, 하·폐수슬러지, 도축장폐기물, 식품가공 공장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퇴비화하는 개략적인 처리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조 2: 저장조 교반기
3: 이송펌프 4: 탈염장치
5: 정류기 6: 혼화기
7: 혼화기 교반기 8: 이송벨트 컨베이어
9: 흡입 송풍기 10: 배기 송풍기
11: 부숙조 12: 로터리믹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사용되는 조제의 양을 나타내는 부는 중량부를 말한다.
유기성 폐기물은 퇴비화 처리장에 반입되면 우선 비닐(vinyl)봉투, 대형 이물질 등이 분리·제거된 다음, 파쇄기에 의해 파쇄처리된 후 유기성 폐기물 저장조(1)에 저장되고 저장조 교반기(2)에 의해 일정 성분으로 균질화 된다.
저장조(1)의 유기성 폐기물은 이송펌프(3)에 의해 혼화기(6)로 일정량 이송할 때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염분 함량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은 이미 개발된 대한민국특허 공개 제2000-0470080호의 탈염장치(4)에 의해 탈염처리된 후, 혼화기(6)에 일정량 주입되고, 염분 함량이 낮은 유기성 폐기물은 바로 혼화기(6)에 일정량 주입된다.
다음, 유기성 폐기물 100부에 톱밥, 왕겨, 이탄, 부엽토 등의 팽윤제를 5∼10부정도 주입하면서 혼화기 교반기(7)로 교반한다. 그 다음, 알칼리토금속 광물 분말이나 이를 소성한 분말을 10∼30부 정도 주입한다.
이 때 소성된 알칼리토금속 중 산화칼슘(CaO) 성분이 다량 함유된 경우에는 물과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
CaO(s)+H2O(l) → Ca(OH)2(s) ΔH25℃=15.583Kcal/g.mol
다음, 황산, 염화수소, 질산 등의 무기산을 주입하여 pH가 중성인 7 전후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때는 알칼리토금속과 반응하여 100℃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당량의 수분이 증발한다. 알칼리토금속과 황산이 반응시 표준 반응열은 다음과 같다.
Ca(OH)2(s)+ H2SO4(s) → CaSO4(s)+ 2H2O(l) ΔH25℃=49.3Kcal/g.mol
CaCO3(s)+H2SO4(s) → CaSO4(s)+C02(g)+H2O(l) ΔH25℃=22.4Kcal/g.mol
MgCO3(s)+H2SO4(s) → MgSO4(s)+C02(g)+H2O(l) ΔH25℃=8.0Kcal/g.mol
이상과 같은 반응열에 의해서 90∼100℃에서 2시간 정도 반응을 하여 유해 병원성 미생물과 잡초씨앗 등이 사멸 처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혼화기(6)에서 고온 중화 처리된 것은 이송 벨트 컨베이어(8)로 배출하여 부숙조(11)로 이송된다. 부숙조(11)에서는 로터리믹서(12)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면서 토양부식화 미생물에 의해 10∼15일정도 단기간에 부숙시킨 다음 퇴비 저장창고 등으로 이송되었다가 포장된 후 판매된다.
[실시예1]
음식물쓰레기 200부에 생석회(CaO) 60부를 혼합교반 하였을 때, 온도는 21℃에서 15분 후 60℃까지 상승하였으며 여기에 98% 황산 29부를 주입 pH를 7∼8로 조정 후 95∼100℃에서 2시간 정도 지난 후 배출량은 255부로 수분 증발은 34부가 되었다. 이를 5일 정도 교반 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2]
음식물쓰레기 200부에 생석회 20부를 혼합교반을 하였을 때, 온도는 21℃에서 15분 후 40℃가 되었으며, 황산 28부를 주입하였을 때 온도는 93℃까지 상승하였고 이때 pH는 7.5이었으며 2시간 정도 지난 후 이를 배출하여 일정기간 교반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3]
탈염한 음식물쓰레기 200부에 부엽토 141.7부를 혼합한 후 생석회 20부를 혼합하여 15분간 교반 하였을 때, 온도는 21℃에서 38℃까지 상승하였으며, 여기에 pH7로 조정하기 위해 황산 28부를 주입하였을 때 온도는 100℃까지 상승하였고 이때 배출량은 261부로 수분 증발은 1.7부정도였다. 이를 일정기간 교반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4]
탈염한 음식물쓰레기 100부, 돈분 100부에 이탄 15부를 혼합한 후, 생석회 20부를 혼합하여 15분간 교반하였을 때, 온도는 20℃에서 38℃까지 상승 하였으며 여기에 pH7로 조정하기 위해 황산 28부를 가했을 때 온도는 93℃까지 상승하였고 2시간 정도 교반한 후 배출하여 일정기간 교반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5]
탈염한 음식물쓰레기 100부, 돈분 100부에 이탄 10부, 톱밥 10부를 혼합한후 생석회 20부를 혼합하여 15분간 교반하였을 때, 온도는 20℃에서 38℃까지 상승 하였으며 이를 pH7로 조정하기 위해 황산 28부를 주입하였을 때 온도는 93℃까지 상승하였고 2시간 정도 교반 후 배출하여 일정기간 교반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6]
탈염한 음식물쓰레기 100부, 돈분 100부에 이탄 10부, 톱밥 10부를 혼합한 후 탄산칼슘(CaCO3) 10부, 마그네사이트 5부, 인광석 5부를 주입하였을 때 온도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여기에 황산을 40부 주입한 결과 30분 교반 후 온도는 80℃였으며, pH는 6.2이었다. 이를 배출하여 일정기간 교반부숙한 결과 퇴비성분 시험성적표는 표1의 내용과 같다.
표1. 생산퇴비의 분석표
구분 퇴비규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함수율 - 36 35 34 34 34 32
pH - 8.0 7.6 7.2 7.4 7.5 7.2
유기물 25이상 19.07 28 33.87 31.2 40.2 40.2
C/N비 50이하 11.5 11.0 10.2 10.6 10.8 10.8
NaCl(%) 1이하 0.53 0.57 0.03 0.04 0.03 0.03
AS(mg/kg) 50이하 불검출 불검출 0.02 0.04 0.02 0.02
cd(mg/kg) 5이하 0.29 0.28 0.26 0.29 0.30 0.32
Hg(mg/kg) 2이하 0.01 0.01 0.01 0.01 0.01 0.01
Pb(mg/kg) 150이하 0.29 0.28 2.25 1.20 1.56 1.53
Cr(mg/kg) 500이하 0.26 0.28 1.81 1.80 1.92 1.90
[실시예7]
상기 실시예 1∼6에서 생산된 퇴비를 상추, 딸기, 배추에 시비테스트한 결과, 실시예 3∼6은 아주 양호한 성장을 하였으며, 실시예 2도 그런대로 양호하였으나 실시예 1은 성장속도가 약간 떨어지는 편이었다.
대부분 유기성폐기물은 함수율이 높아 수분조절 및 팽윤제로 톱밥, 왕겨 등을 사용하였는데 톱밥, 왕겨의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퇴비 판매비용의 2∼3배 정도 소요되어 전혀 경제성이 없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염분 농도가 높아 작물에 염해 현상을 야기시켜 성장을 둔화시키거나 심하면 고사한다.
또한, 토양의 SAR(Sodium Adsorption Ratio) 값 높아 토양의 Ca++, Mg++와 치환되면서 토양의 입단구조를 단립화시켜 배수가 불량하면서 토양에 산소공급이 어려운 불량 토양이 되어 경작이 어려워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처리비용을 퇴비판매비 이하로 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 Ca, Mg등을 공급하여 SAR 값을 저하시키는 토양 개량효과를 가져오면서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므로써 과거 퇴비생산 방법에 비해 일거삼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농·수산물폐기물, 하·폐수슬러지, 도축장폐기물, 식품가공 공장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 알칼리토금속이 함유된 광물의 분말이나 이를 소성한 분말과 팽윤제로서 이탄, 톱밥, 왕겨 등 건조 유기물을 주입하여 혼화기(6)에서 혼화기 교반기(7)에 의해 교반하면서 H2SO4, HNO3, HCl 등의 무기산을 공급하여 pH7로 중화시켜 부숙조(11)에서 원활한 부숙화가 이루어져 퇴비를 생산하기 위하여, 저장조 교반기(2)를 구비한 저장조(1), 탈염장치(4)를 구비한 정류기(5), 혼화기 교반기(7)와 배기송풍기(10)를 구비한 혼화기(6), 로터리믹서(12)를 구비한 부숙조(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20010014323U 2001-05-16 2001-05-16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0244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23U KR200244323Y1 (ko) 2001-05-16 2001-05-16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23U KR200244323Y1 (ko) 2001-05-16 2001-05-16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323Y1 true KR200244323Y1 (ko) 2001-10-15

Family

ID=7310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323U KR200244323Y1 (ko) 2001-05-16 2001-05-16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3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43B1 (ko) 2007-03-21 2007-11-28 주식회사 한성엔이티 유기성 축산분뇨의 자원화방법 및 그 장치
KR101233268B1 (ko) * 2009-09-28 2013-0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액비를 포함하는 항생제 분해제
KR101388089B1 (ko) * 2011-02-28 2014-04-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니실린계 항생제 분해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43B1 (ko) 2007-03-21 2007-11-28 주식회사 한성엔이티 유기성 축산분뇨의 자원화방법 및 그 장치
KR101233268B1 (ko) * 2009-09-28 2013-0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액비를 포함하는 항생제 분해제
KR101388089B1 (ko) * 2011-02-28 2014-04-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니실린계 항생제 분해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obhany Insight into the recovery of nutrients from organic solid waste through biochemical conversion processes for fertilizer production: A review
US6793704B2 (en)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from organic waste includ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42050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2931680B1 (en) Organic fertilizer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0960166B1 (ko) 유기질이 함유된 축산 배설물 및 폐기물의 발효 처리방법
CN1468203A (zh) 处理含氨有机废物的方法
CA2413371C (en)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from organic waste includ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Muchovej et al. Future directions of by-products and wastes in agriculture
KR10071464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KR200244323Y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US20170297962A1 (en) Organic fertilizer from anaerobic digestate and stabilized liquid fish product
KR100366394B1 (ko) 양식장 오염 퇴적물의 살균화 방법을 이용한 유기질비료제조방법
Badawi Composting farm waste for production o f high quality organic fertilizer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R100451856B1 (ko) 축산분뇨의 퇴비화방법
KR19990006257A (ko) 음식쓰레기와 Fly ash를 수분조절재로 이용한 비료제조방법 및 수도용 완효성 생력적 복합토양개량제(RGO)
KR19980076071A (ko) Fly ash를 수분 조절재로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과 수도용 완효성 노동력 절감형 비료
JP2619073B2 (ja) 糞尿の有機肥料化処理剤と処理方法
JP2002201087A (ja) 有機質ごみを原料とする肥料の製造方法
PL210311B1 (pl) Sposób otrzymywania nawozu z osadów powstałych w biologicznych oczyszczalniach ścieków
CN106810346A (zh) 一种含腐植酸螯合物的生物有机肥
DASANAYAKE PRODUCTION OF A LIQUID FERTILIZER USING SEA TRASH FISH AND MOLASSES
KR20220125820A (ko) 수산부산물 폐수와 천연소재를 이용한 유기농자재 제조 방법
Mani Manure For Vegetable Production
HagaI I-Review
CN106810345A (zh) 一种含双酸螯合物的生物有机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