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996Y1 - 조립식 규준틀 - Google Patents

조립식 규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96Y1
KR200243996Y1 KR2020010013439U KR20010013439U KR200243996Y1 KR 200243996 Y1 KR200243996 Y1 KR 200243996Y1 KR 2020010013439 U KR2020010013439 U KR 2020010013439U KR 20010013439 U KR20010013439 U KR 20010013439U KR 200243996 Y1 KR200243996 Y1 KR 200243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creed
connecting rod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영
Original Assignee
안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영 filed Critical 안수영
Priority to KR2020010013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96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탈면의 위치와 기울기, 도로의 폭과 높이 등을 나타내는 토공의 기준이 되는 규준틀에 관한 것으로서,현장에서 조립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규준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규준틀 설치시 말뚝(11)을 지면에 수직으로 타입 고정시키고 연결봉(22)을 나선형으로 돌려 결합 고정시킨후, 규준판(33) 및 비탈규준판(77)은 측량높이와 비탈기울기에 맞춰서 말뚝(11)또는 연결봉(22)에 결합 고정시키며, 규준틀 설치를 함에 적은 인원으로 짧은 시간안에 설치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규준틀{Assembling system batter board}
본 고안은 비탈면의 위치와 기울기, 도로의 폭과 높이 등을 나타내는 토공의 기준이 되는 규준틀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조립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규준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준틀을 설치하기 위해선 각목 및 판재를 준비하여 모양과 크기에 맞춰 자른후, 각목말뚝(1)과 판재규준판(3)을 제작하고 여기에 도료를 칠하고 말린후에, 측량기사와 측부가 현장에서 각목말뚝(1)에다 판재규준판(3)을 측량높이 및 각도에 맞춰 못(5)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상기의 규준틀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규준틀 설치전에 각목말뚝(1)과 판재규준판(3)을 제작함에, 노임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규준틀 설치시 동원되는 인력의 낭비가 많고, 규준틀 설치후 작은 수정에도 못(5)을 뽑고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등 번거러움이 많다.
또한, 최초 규준틀 설치후 장비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규준틀 및 규준틀의 설치위치가 훼손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재설치시 기존 규준틀이 파손되기 쉽다. 그리고, 공사가 마무리되고 다른 현장에서 기존 규준틀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운점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규준틀 설치시 각목 및 판재 등으로 규준틀 설치에 필요한 물품들을 제작해야되는 번거러움 없이, 현장에서 측량높이와 비탈기울기에 맞춰서, 이미 제작 된 것을 누구나 쉽게 조립함으로서 공사기간의 단축 및 인건비의 절감과 함께 다른 현장에서도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조립식 규준틀의 특징이다.
도 1의 (가)(나)는 종래 규준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규준틀 설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의 (가)(나)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절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각목말뚝 3. 판재규준판
5. 못 11. 말뚝
22. 연결봉 33. 규준판
34. 배면규준판 44. 고정클립
45. 신축성고정클립 55. 고정나사
76. 회전식규준판고정부 77. 비탈규준판
88. 회전축
본 고안에 따르면, 규준틀 설치시 말뚝(11)을 지면에 수직으로 타입 고정시키고 연결봉(22)을 나선형으로 돌려 결합 고정시킨후, 규준판(33)및 비탈규준판(77)은 측량높이와 비탈기울기에 맞춰서 말뚝(11)또는 연결봉(22)에 결합 고정시키며, 규준틀 설치를 함에 적은 인원으로 짧은 시간안에 설치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규준틀을 설치완료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규준틀을 설치함에 먼저 측량을 한후 정확한 위치에 말뚝(11)을 지면과 수직으로 타입 고정시킨후 연결봉(22)을 나선형으로 돌려 말뚝(11)과 결합 고정시키고, 연결봉(22)과 규준판(33)을 조립함에 도 3은 도 2의 (가)를 X-X로 부분단면한 것이며,측량높이에 맞춰 규준판(33)의 높이를 조정한후 고정클립(44)을연결봉(22)에 감싼후 고정나사(55)로 고정시키면 정면의 규준판(33)은 설치완료되고, 양면 규준판 설치를 할 경우, 배면규준판(34)은 신축성고정클립(45)의 신축성에 의해 연결봉(22)에 수직으로 밀어주기만 해도 고정된다.
측량높이의 변화로 수정이 필요할시에는 고정나사(55)를 조금풀고 수정한후 고정나사(55)를 조여주기만하면 쉽게 수정할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나)를 Y-Y로 부분단면한 것이며, 상기의 규준틀 설치방법에선 연결봉(22)과 규준판(33)이 수직을 이루는 반면, 비탈규준틀은 비탈면의 기울기가 각기 다르므로 비탈규준판(77)을 연결봉(22) 및 말뚝(11)에 결합고정시킴에 비탈기울기에 맞춰서 조립할 수 있도록 회전식규준판고정부(76)를 두어 회전축(88)을 중심으로 비탈각도에 맞춰 회동 자유롭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비탈규준틀 설치시에는 말뚝(11)을 지면과 수직으로 타입 고정시킨후 비탈기울기 및 높이에 맞춰 연결봉(22)을 말뚝(11)과 결합 고정시키고, 비탈규준판(77)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비탈의 기울기만큼 비탈규준판(77)은 기울여져 있으나 회전식규준판고정부(76)는 연결봉(22)과 수직을 이루므로 고정클립(44)을 연결봉(22)에 감싼후 고정나사(55)로 회전식규준판고정부(76)와 고정시켜주면 비탈규준틀 설치가 마무리 된다.
도 5의 (가)는 말뚝(11)과 연결봉(22)의 절개도이며, 도 5의 (나)는 높이의 연장시 연결봉(22)과 연결봉(22)의 절개도인데 측량후 요구하는 높이 만큼 연결봉(22)을 늘려가면 필요한 높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규준틀 설치시 단순조립형태이므로 적은 인력으로 누구나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다른 현장에서의 재활용도가 높으며, 설치후 수정이 필요할시 조립형태이므로 짧은 시간과 적은 노력으로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모든 건설현장의 규준틀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규준틀 설치전 각목말뚝(1) 및 판재규준판(3)을 직접 제작해야 되는 번거러움과 과도한 노임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규준틀 설치시에도 설치인력과 설치시간을 단축시킴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규준틀 설치후에는 유지보수에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고 공사가 마무리되어도 다른 현장에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조립식 규준틀의 특징이다.

Claims (1)

  1. 상기 조립식 규준틀에는 말뚝(11)과 연결봉(22)을 나선형으로 돌려 조립하고 규준판(33)은 고정클립(44)에 고정나사(55)를 조임으로 조립완료되며, 비탈규준판(77)은 비탈면의 기울기에 따라 회동 자유로운 회전식규준판고정부(76)와 고정클립(44)에 고정나사(55)를 조임으로 조립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규준틀.
KR2020010013439U 2001-05-09 2001-05-09 조립식 규준틀 KR200243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439U KR200243996Y1 (ko) 2001-05-09 2001-05-09 조립식 규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439U KR200243996Y1 (ko) 2001-05-09 2001-05-09 조립식 규준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931A Division KR20010069946A (ko) 2001-05-22 2001-05-22 조립식 규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996Y1 true KR20024399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439U KR200243996Y1 (ko) 2001-05-09 2001-05-09 조립식 규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72B1 (ko) * 2001-10-23 2004-03-09 방병민 성토 법면 시공용 조립식 규준틀
KR100442721B1 (ko) * 2002-06-11 2004-08-02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KR100457130B1 (ko) * 2002-06-24 2004-11-16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 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72B1 (ko) * 2001-10-23 2004-03-09 방병민 성토 법면 시공용 조립식 규준틀
KR100442721B1 (ko) * 2002-06-11 2004-08-02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KR100457130B1 (ko) * 2002-06-24 2004-11-16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 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89987A (en) Coupling device for building structures
EP0982450B1 (en) Ready-mixed concrete placing method and formwork unit used for the method
US5407182A (en) Spacing jig
CA2085936A1 (en) Device for mounting glass facade elements
KR200243996Y1 (ko) 조립식 규준틀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20010069946A (ko) 조립식 규준틀
KR102165226B1 (ko) 방음벽 지주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2376457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구조물
KR200386274Y1 (ko) 펜스
KR200275936Y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JP2877794B1 (ja) 根太材とフローリング材との結合金具、フローリング材の敷設方法、及び床構造
JPS5814783Y2 (ja) 二重窓の窓枠構造
JP2001011991A (ja) 型枠用パネルおよび型枠
KR101759549B1 (ko) 말뚝을 이용한 데크용 기둥 기초
KR200200356Y1 (ko) 조립식 주택 구조물
CN216393585U (zh) 一种沙发底座装置及沙发系统
KR200349935Y1 (ko) 스틸-폼
JP2002356853A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セット治具
KR100449139B1 (ko) 콘볼트 세트
KR200278392Y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JP2601262Y2 (ja) 組み立てフェンス
KR200207579Y1 (ko) 플랜지를 갖는 가로등주의 수직조정용 고무 밑판
KR100442721B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KR100457130B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 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