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86Y1 - 스플리터 단자반 - Google Patents

스플리터 단자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86Y1
KR200243586Y1 KR2020010012668U KR20010012668U KR200243586Y1 KR 200243586 Y1 KR200243586 Y1 KR 200243586Y1 KR 2020010012668 U KR2020010012668 U KR 2020010012668U KR 20010012668 U KR20010012668 U KR 20010012668U KR 200243586 Y1 KR200243586 Y1 KR 200243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ver
splitter
block
termina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근
이주영
주성혁
최경용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8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플리터 단자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배선반에 사용되는 스플리터 단자반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플리터 단자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플리터 잭 및 전선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플리터 단자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배선반에 나사등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1)와, 상기한 지지대(1)에 회전축(2)과 회전공(3)으로 결합되고 지지 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52)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블록 베이스(4)와, 상기한 블록 베이스(4)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IDC 블록 하우징(52)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커버(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플리터 단자반{Splitter terminal board}
본 고안은 스플리터 단자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배선반에 사용되는 스플리터 단자반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플리터 단자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선로(ADSL)등과 같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주배선반으로부터 광신호를 분배하여 다수의 단말기등을 접속/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주배선반에는 전화국등과 같은 건물에서 ATM 교환기와 랙 그리고 DSALM(회선 접속 다중 장치; 주배선반) 사이에 보이스와 데이터를 분류 전송하기 위해, 스플리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스플리터의 설치 상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플랜지(50)가 형성되어 주배선반(미 도시)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ㄷ'자형의 케이스(51)와, 상기한 케이스(5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52)과, 상기한 IDC 블록 하우징(52)의 저면에서 끼움 결합되는 스플리터(5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주배선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51)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52)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한 IDC 블록 하우징(52)의 상면에는 다수의 전선(ATM등에 연결되는 전선)(미 도시)을 연결하고, 그 저면에는 상기한 스플리터잭(53)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64회선용 스플리터일 경우에는 상기한 케이스(51) 내부 공간에 비교적 큰 64회선용 IDC 블록 하우징(52)을 설치하고, 여기에 다수의 스플리터 잭(53)을 삽입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배선반에 케이스를 고정하고 IDC 블록 하우징이 여기에 고정된 스플리터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한 IDC 블록 하우징에 다수의 전선을 연결한 후 IDC 블록 하우징의 저면에 스플리터 잭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특히,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한 스플리터 잭 및 전선의 취출, 결합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IDC 블록 하우징이 케이스 내부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스플리터 잭을 하부에서 교환, 수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고, 특히 매우 많은 수의 전선, 스플리터 잭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 손을 집어넣어 전선 교체, 스플리터 잭 교체등의 유지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플리터 잭 및 전선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플리터 단자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배선반에 나사등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에 회전축과 회전공으로 결합되고 지지 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블록 베이스와, 상기한 블록 베이스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IDC 블록 하우징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블록 베이스를 도시한 저면도.
도3은 도1의 조립 측면도,
도4a는 도3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4b는 도3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로 블록 베이스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일반적인 스플리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지대 2: 회전축
3: 회전공 4: 블럭 베이스
5: 커버 6: 지지 아암
7: 걸림부 8: 차폐벽
9: 곡면부 10: 걸림단
11: 종단부 12: 결합부
52: IDC 블럭 하우징 53: 스플리터 잭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블럭 베이스의 저면도와 조립 측면도로서, 주배선반에 나사등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1)와, 상기한 지지대(1)에 회전축(2)과 회전공(3)으로 결합되고 지지 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52)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블록 베이스(4)와, 상기한 블록 베이스(4)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IDC 블록 하우징(52)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커버(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 수단은 상기한 지지대(1)의 양단에서 돌출된 지지 아암(6)과, 상기한 지지 아암(6)에 걸려서 블록 베이스(4)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블록 베이스(4)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커버(5)의 양측면 및 배면에는 IDC 블럭 하우징(52)을 덮어서 외부와 차단되도록 차폐벽(8)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지지대(1)와 블록 베이스(4)의 사이에는 상기한 블록 베이스(4)를 소정 각도 만큼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각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한 IDC블럭 하우징(52)의 저면에 스플리터잭(53)등을 연결할 때 작업자가 저면을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회전각 제한 수단은 커버(5)의 지지대(1)측에 형성된 곡면부(9)와,상기한 곡면부(9)의 종단이 커버(5) 회전 시 걸리도록 지지대(1)에 형성된 걸림단(10)과, 상기한 커버(5)의 회전 시 지지대(1)의 전면에 밀착되어 회전 제한하도록 형성된 커버(5)의 종단부(1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블럭 베이스(4)는 다수의 IDC 블럭 하우징(52)이 결합되도록 결합부(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지지대(1)를 주배전반에 다수 순차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블럭 베이스(4)에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52)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바, 이 상태에서 전선 및 스플리터 잭(53)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커버(5)를 열게 된다.
커버(5)가 열리게 되면 상기한 IDC 블럭 하우징(52)이 노출되는 바, 상기한 IDC 블럭 하우징(52)의 상면에 전선을 연결하고, 그 저면에 스플리터잭(53)을 연결하게 된다.
즉, 도3의 상태에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4a와 같이 커버(5)를 열게 되고, 다시 상기한 스플리터 잭(53)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도4b와 같이 블럭 베이스(4)를 상면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블럭 베이스(4)를 들어 올리게 되면, 작업자가 IDC 블럭 하우징(52)의 저면을 수평 상태일 때 보다 쉽게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한 스플리터 잭(53)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블럭 베이스(4)를 회전시키게 되면, IDC 블럭 하우징(52)의 상면에 연결된 전선 및 스플리터 잭(53)에 연결된 전선등이 당겨지게 되는 바, 상기한 회전 각도를 제한해야 한다.
즉, 상기한 블럭 베이스(4)가 회전되어도 상기한 전선등이 과다한 힘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커버(5)의 종단부(11)가 지지대(1)에 걸리게 됨과 아울러 커버(5)의 곡면부(9)와 지지대(1)의 걸림단(10)이 마찰됨으로써, 블럭 베이스(4)의 과다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럭 베이스(4)를 상면으로 회전시키면서 IDC 블록 하우징(52)에 전선 및 스플리터 잭(53)을 연결하게 되면, 비교적 복잡한 장소에 주배전반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IDC 블록 하우징(52)의 연결 부분을 작업자가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 및 스플리터 잭(53)의 연결/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블럭 베이스(4)의 회전 각도는 대략 ±30도 전후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IDC 블록 하우징에 전선 및 스플리터 잭을 결합/분리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IDC 블록 하우징이 설치되는 블럭 베이스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커버로 이를 간헐 차폐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주배전반에 설치되는 스플리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주배선반에 나사등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에 회전축과 회전공으로 결합되고 지지 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다수의 IDC 블록 하우징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블록 베이스와, 상기한 블록 베이스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IDC 블록 하우징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단자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 수단은 상기한 지지대의 양단에서 돌출된 지지 아암과, 상기한 지지 아암에 걸려서 블록 베이스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블록 베이스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단자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의 양측면 및 배면에는 IDC 블럭을 덮어서 외부와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폐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단자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와 블록 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한 블록 베이스를 소정 각도 만큼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각 제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단자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각 제한 수단은 커버의 지지대측에 형성된 곡면부와, 상기한 곡면부의 종단이 커버 회전 시 걸리도록 지지대에 형성된 걸림단과, 상기한 커버의 회전 시 지지대의 전면에 밀착되어 회전 제한하도록 형성된 커버의 종단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단자반.
KR2020010012668U 2001-05-02 2001-05-02 스플리터 단자반 KR200243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68U KR200243586Y1 (ko) 2001-05-02 2001-05-02 스플리터 단자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668U KR200243586Y1 (ko) 2001-05-02 2001-05-02 스플리터 단자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669A Division KR100440051B1 (ko) 2001-05-02 2001-05-02 스플리터 단자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86Y1 true KR200243586Y1 (ko) 2001-10-12

Family

ID=7310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668U KR200243586Y1 (ko) 2001-05-02 2001-05-02 스플리터 단자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66A (en) Indoor XDSL splitter assembly
US6028928A (en) Telephone subscriber line module
US4932051A (en) Telephone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5637011A (en) Wire termination device
US5600716A (en) Customer-accessible test port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US8139761B2 (en) Network interface device, apparatus, and methods
US7589277B2 (en) Multimedia patching box
US20020044646A1 (en) Tool-less wall-mount distributed filter housing
US6500020B2 (en) Top loading customer bridge
AU3682499A (en) Patch panel and interlocking module
KR970001618B1 (ko) 원격 통신 아웃렛
US6893280B2 (en) Toggle typ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s
US20010005652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CA2589705A1 (en) Voip adapter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KR200243586Y1 (ko) 스플리터 단자반
KR100440051B1 (ko) 스플리터 단자반
US20090060168A1 (en) Network interface
US4861287A (en) Telephone network multiple transmission line interface
JP4894087B2 (ja) 構内交換機
JP3332862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の基地局ユニット
US7499526B2 (en) Termination module including subscriber bridge having burglar alarm connections
US6126488A (en) Network interface device retrofit module for selective pairs on a 66-type block
KR200282516Y1 (ko) 음성 아날로그신호/ 데이터 디지털 신호 통합 배선방식에 적합한 키스톤형 월잭
KR200354610Y1 (ko) 보호기 단자반과의 분리 결합이 용이한 커넥터형 잭 보호기
JP2004229361A (ja) 情報配線システムおよび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