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400Y1 -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400Y1
KR200243400Y1 KR2020010013793U KR20010013793U KR200243400Y1 KR 200243400 Y1 KR200243400 Y1 KR 200243400Y1 KR 2020010013793 U KR2020010013793 U KR 2020010013793U KR 20010013793 U KR20010013793 U KR 20010013793U KR 200243400 Y1 KR200243400 Y1 KR 20024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row
plate
furrows
shaf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두
Original Assignee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400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내기를 한 논에서 고랑을 성형하기 위한 고랑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논에 고랑을 성형하는 깊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정확한 고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내기를 한 논에 배수를 위하여 고랑을 성형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태풍이나 장마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수확시 배수가 안되므로 콤바인의 이동이 어렵고 베어진 벼를 건조시킬 수 없어서 수확이 감소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랑 성형판(40)의 전방이 힌지축(41)으로 연결되며, 동력축(50)에 베벨기어(51)를 통하여 회전판(52)을 회전시키면 회전판(52)의 링크(53)가 고랑 성형판(40)에 연결된 이송가이드(56)의 회전판(54)과 연결되고, 이송가이드(56)의 상측이 안내축(55)에 삽입되어 고랑 성형기(4)가 진행하면서 상,하측으로 연속해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 이동장치(2)를 설치하여 고랑 성형판이 연속해서 움직이면서 진행되므로 고랑의 흙을 다져 견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The machine making furrow at rice field}
본 고안은 모내기를 한 논에서 고랑을 성형하기 위한 고랑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논에 고랑을 성형하는 깊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정확한 고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에 모내기를 한 후에 모가 어느 정도 성장하기까지는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생육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수확량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수확기에 가깝게 되면 물을 빼주어야만 하나, 수확기에 많은 강수량으로 인하여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태풍이 발생되면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벼가 넘어지게 되므로 물에 잠겨서 싹이 트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모내기를 한 후 방제작업을 하거나 풀을 제거하는 작업에 의하여 사람이 고랑을 왕래하므로 발자국에 의하여 일정한 깊이의 고랑이 울퉁불퉁해져서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논에 넓은 간격을 두고 인력으로 고랑을성형시키게 되나 인력의 소모가 크고, 모사이의 모든 고랑을 성형할 수 없어서 배수를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또한 수확시 논에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콤바인의 이동이 어렵고, 베어진 벼를 건조시키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0191229호(출원번호 20-2000-006262호)의 논의 고랑 성형기는 모사이의 고랑을 간편하게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고랑 성형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성형된 고랑이 쉽게 무너지는 결점이 있으므로 물을 배수 및 용이하게 공급하는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동력을 이용하여 전진하면서 고랑 성형판이 상,하 또는 좌,우로 빠르게 이동되어 모사이의 고랑을 견고하게 성형하여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고랑 성형판의 전방이 힌지축으로 연결되며, 동력축에 베벨기어를 통하여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회전판의 링크가 고랑 성형판에 연결된 이송가이드의 회전판과 연결되고, 이송가이드의 상측이 안내축에 삽입되어 고랑 성형기가 진행하면서 상,하측으로 연속해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 이동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상,하 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상,하 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상,하 이동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좌,우 이동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좌,우 이동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좌,우 이동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상,하 이동장치
3 : 좌,우 이동장치 4 : 고랑 성형기
5 : 연결축 6 : 감속기
7 : 바퀴축 8 : 날개
9 : 보호카바 10 : 손잡이
12 : 핸들 14 : 보호구
40 : 고랑 성형판 41 : 힌지축
50 : 동력축 51, 60 : 베벨기어
52, 54 : 회전판 53 : 링크
55 : 안내축 56 : 이송가이드
61 : 회전축 62 : 캠
63 : 접촉판 64, 65 : 인장스프링
본 고안은 엔진(1)의 동력을 연결축(5)의 내부에 있는 동력축(50)을 통하여감속기(6)에 전달하도록 하며, 감속기(6)에서 감속된 동력은 바퀴축(7)에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바퀴축(7)의 외측에는 T자형의 날개(8)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진행시 논바닥의 흙을 밟아 후방에서 고랑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다.
바퀴축(7)의 외측에는 보호카바(9)를 설치하여 바퀴축(7)과 날개(8)를 보호하도록 하며, 일측은 감속기(6)에 고정하고 반대편은 고정대(22)로 조절판(16)에 고정한다.
연결축(5)의 중앙에는 손잡이(10)의 회전각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축(5)의 양측으로 조절판(16)을 고정하고 사용자가 손잡이(10)와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보울트와 너트를 풀어 분리한 후 조절판(16)을 회전시키면 회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로 손잡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10)의 일부분에는 속도조절기(11)를 설치하여 엔진(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축(5)의 하측에는 고랑 성형기(4)를 설치하여 논의 모 사이에 고랑을 성형하는 것으로
양측으로 고랑 성형판(40)를 성형하고 전방으로 삼각형 형상을 하고 힌지축(41)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고랑 성형판(40)의 중간부분에는 상,하 이동장치(2)나 좌,우 이동장치(3)를 설치하여 고랑 성형판(40)이 연속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 이동장치(2)는 동력축(50)에서 한쌍의 베벨기어(51)를 통하여 동력이 배출되어 회전판(52)을 회전시키도록 하며, 회전판(52)에는 하측의 이송가이드(56)에 연결된 회전판(54)과 링크(53)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송가이드(56)의 하측은 고랑 성형판(40)에 상측은 안내축(55)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랑 성형판(40)를 연속해서 상,하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좌,우 이동장치(3)는 동력축(50)에서 한쌍의 베벨기어(51)를 통하여 동력이 배출되어 한쌍의 베벨기어(60)를 통하여 하측의 회전축(61)을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축(61)의 하측선단에 캠(62)을 설치하여 양측의 접촉판(63)이 캠(62)의 회전을 따라서 고랑 성형판(40)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랑 성형판(40)의 캠(62)이 설치된 상측과 하측에는 고랑 성형판(40)을 인장력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64, 65)을 각각 설치한다.
감속기(6)의 상측에는 연결손잡이(37)를 설치하여 이동시 한 손으로 잡아들어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논에서 모 사이에 고랑을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엔진(1)의 동력으로 감속기(6)에서 감속시켜 바퀴축(7)의 회전으로 전진하도록 하면 바퀴축(7)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고랑 성형기(4)가 고랑을 성형하는 것으로
날개(8)가 모 사이의 고랑을 파면서 전진하게 되면 고랑 성형기(4)의 후방에서 고랑의 흙을 양측으로 이동시켜 고랑을 성형시키게 된다.
이때 동력축(50)의 회전력은 한쌍의 베벨기어(51)를 통하여 회전판(52)을회전시키게 되므로 링크(53)를 통하여 하측의 회전판(54)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송가이드(56)는 링크(53)의 이동을 따라서 상,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가이드(56)가 설치된 고랑 성형판(40)은 상,하측으로 연속해서 이동하게 되며, 이송가이드(56)는 안내축(55)의 내부에서 상,하측의 이송이 안내된다.
결국 상,하 이동장치(2)를 통하여 고랑 성형기(4)가 진행하면서 상,하측으로 연속해서 왕복 이동되므로 고랑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성형된 고랑에 고랑 성형판(40)이 연속해서 두드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질은 상태의 흙이 고랑을 성형한 후에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랑을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좌,우 이동장치(3)에 의하여 베벨기어(51)를 통하여 배출되는 동력이 한쌍의 베벨기어(60)를 통하여 회전축(61)을 회전시키면 하측의 캠(62)이 회전되면서 양측에 접촉된 접촉판(63)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캠(62)이 설치된 고랑 성형판(40)의 양측으로 인장스프링(64, 65)이 설치되어 있어서 접촉판(63)을 당기고 있게 되므로 캠(62)의 회전을 통하여 도 5 와 같이 가장 넓은 폭(H)에서 도 6 과 같이 가장 좁은 폭(h)에 이르기까지 좌,우측으로 연속해서 이동하면서 고랑 성형판(40)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좌,우 이동장치(3)는 고랑 성형판(40)을 좌,우로 연속해서 이동시켜 고랑 성형기(4)를 통하여 성형되는 고랑을 연속해서 다지는 역할을 하여 견고한 고랑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하 이동장치(2)와 좌,우 이동장치(3)를 통하여 고랑 성형기(4)의 고랑 성형판(4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해서 이동시키면서 고랑을 성형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랑 성형기를 사용하여 논에 모내기를 한 후 고랑을 성형할 때 상,하 또는 좌,우로 고랑 성형판이 움직이도록 하여 성형된 고랑의 흙을 다져주어 견고하게 성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1)의 동력을 연결축(5)의 내부에서 감속기(6)에 전달하여 바퀴축(7)이 회전되면서 진행할 때 연결축(5)의 중간에서 손잡이(10)가 설치되고 하측으로 고랑 성형판(40)이 연결된 고랑 성형기(4)로 이루어진 논의 고랑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고랑 성형판(40)의 전방이 힌지축(41)으로 연결되며, 동력축(50)에 베벨기어(51)를 통하여 회전판(52)을 회전시키면 회전판(52)의 링크(53)가 고랑 성형판(40)에 연결된 이송가이드(56)의 회전판(54)과 연결되고, 이송가이드(56)의 상측이 안내축(55)에 삽입되어 고랑 성형기(4)가 진행하면서 상,하측으로 연속해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 이동장치(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장치(2)는 베벨기어(51)의 일측에 설치된 베벨기어(60)의 하측으로 설치된 회전축(61)의 선단으로 캠(62)을 설치하고, 캠(62)의 양측으로 접촉판(63)을 설치하여 고랑 성형판(40)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며, 고랑 성형판(40)의 양측으로 인장스프링(64, 65)을 설치한 좌,우 이동장치(3)를 통하여 고랑 성형기(4)가 진행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KR2020010013793U 2001-05-11 2001-05-11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KR200243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793U KR200243400Y1 (ko) 2001-05-11 2001-05-11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793U KR200243400Y1 (ko) 2001-05-11 2001-05-11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400Y1 true KR200243400Y1 (ko) 2001-10-15

Family

ID=7310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793U KR200243400Y1 (ko) 2001-05-11 2001-05-11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4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91857B (zh) 一种水田中耕除草机
CN205249765U (zh) 一种马铃薯全膜双垄沟播种机
CN111684876A (zh) 一种新型水田多行除草松土装置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208924587U (zh) 一种破土表柴胡套作精量播种机
CN107950131B (zh) 一种双旋耕按比例分层施肥宽苗幅精量播种机
KR200243400Y1 (ko)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
CN113115614A (zh) 一种烟苗种植打塘移栽机
CN210491583U (zh) 一种水田中耕除草机
KR200191229Y1 (ko) 논의 고랑 성형기
CN2039101U (zh) 施肥机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2496226Y (zh) 化肥深施器
CN2673066Y (zh) 一种化肥施播机
CN110741755B (zh) 一种适应性强且结构简单的播种机
CN109906699A (zh) 一种多功能松土机
CN112673774A (zh) 一种农业用插秧装置
KR200280343Y1 (ko) 고랑성형기 겸용 복토기
CN219248517U (zh) 一种农业机械翻土机
CN220368999U (zh) 一种大棚蔬菜种植用松土装置
CN215421534U (zh) 一种农业机械化自动耕种设备
CN211210444U (zh) 一种农业机械用开沟装置
CN218998774U (zh) 一种农机具悬挂装置
CN111903259B (zh) 一种农业机械施肥装置
KR200368669Y1 (ko) 다목적 제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