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249Y1 -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 Google Patents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249Y1
KR200243249Y1 KR2020010014990U KR20010014990U KR200243249Y1 KR 200243249 Y1 KR200243249 Y1 KR 200243249Y1 KR 2020010014990 U KR2020010014990 U KR 2020010014990U KR 20010014990 U KR20010014990 U KR 20010014990U KR 200243249 Y1 KR200243249 Y1 KR 200243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gas container
level
ga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미
Original Assignee
김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미 filed Critical 김철미
Priority to KR2020010014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24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하기 간편한 수준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가스를 이용하여 불꽃을 만드는 라이타의 외면에 다수의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 형성되는 점화부(100)보다 폭이 넓으며 양측면은 평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가스용기(200)와;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제 1지시선(33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눈금부(300)와; 상기 가스용기(20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지시선(33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다수의 제 2지시선(4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사선눈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그 요지로 하는 것으로 휴대하기 간편한 라이타에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라이타의 기능과 수준기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the lighter having the function of level meter}
본 고안은 수준기의 기능을 하게 되는 라이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상가스를 연료로 하는 라이타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휴대하기 간편한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라이타는 액상가스를 용기통에 주입하여 불꽃을 생성시키고 있으며 반투명성의 용기재질로서 내부의 액상가스의 유동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라이타는 라이타 본래의 불꽃을 생성시킨다는 기능을 위해 제작되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라이타의 파지부는 곡면으로 성형되어져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라이타에 곧게 세워질 수 있도록 양측면부를 평탄하게 형성시키고 다수의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라이타의 기능뿐 아니라 간편한 수준기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관한 것을 제시한다.
수준기는 수평부를 갖는 기구에 부착시킴으로서 간편하게 수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서 안출된 종래기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 출원번호 93-7371호의 수준기로 겸용 사용되게 한 드라이버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수준기로 겸용 사용되게 한 드라이버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드라이버 손잡이(1)의 일측면에 수포관(3)이 내입될 수있는 깊이의 요함부(2)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수준기용 수포관(3)을 내입하고 겉표면에 투명의 보호캡(4)을 접착수단으로 부착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로 겸용 사용되게 한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드라이브는 수포관을 드라이브 손잡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설시킨 것으로 휴대하기가 간편치 못하고 그 활용면에서도 사용빈도가 높지 않다는 점에서 이용가치가 극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목적 기능을 하는 수준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품자체에 충진되는 액체가스가 구비된 라이타를 수포관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수포관이 필요치않으며 휴대하기 간편한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수준기로 겸용 사용되게 한 드라이브의 분리사시도.
도 2 - 일반적인 라이타의 외관을 보여주는 모습도.
도 3 -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에 대한 정면도와 배면도.
도 5 -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사시도.
도 6 -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사용예시도.
도 7 -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사선눈금부에 대한 정면도.
도 8 -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배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점화부 200 : 가스용기
210: 지지격막 215 : 관통홀
300 : 수평눈금부 330 : 제 1지시선
400 : 사선눈금부 440 : 제 2지시선
500 : 액상가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형성되는 점화부보다 폭이 넓으며 양측면은 평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가스용기와; 상기 가스용기의 정면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지시선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눈금부와; 상기 가스용기의 배면에는 상기 수평눈금부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다수의 지시선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사선눈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는 쉽게 휴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라이타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으로그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라이타의 외관을 보여주는 모습도로서 점화부와 용기로 구성되어져 불꽃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라이타 용기의 정면부는 측면에 비해 폭이 넓으며 편평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측면부는 곡면을 이루게 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가스용기(200)와 상기 가스용기(200)의 상부에 점화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과 배면에는 각각 수평눈금부(300)와 사선눈금부(40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가스용기(200)의 내부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지지격막(210)이 형성되어지며 액상가스(500)가 충진되어져 있다. 상기 액상가스(500)는 상기 가스용기(20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부에 액상가스(500)가 충진되고 그 상면에 점화부(100)가 형성되는 가스용기(2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 4는 상기 가스용기(200)에 대한 정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가스용기의 정면에는수평눈금부(300)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사선눈금부(4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용기(200)의 횡방향 폭은 상기 점화부(1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양측면부는 에지부를 제외하고는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하여 지면에 세워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에 형성되는 수평눈금부(3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용기의 정면부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제 1지시선(330)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지시선(330)은 상기 가스용기(200)의 표면에 대해 내부로 음각되도록 하며 용이한 식별을 위해 상기 가스용기와 는 상이한 색을 가지는 도료등으로 표시를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지시선(330)을 형성시킴에 있어 상기 가스용기(200)의 표면에 음각을 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가스용기의 표면에 도료를 칠하거나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스용기(2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사선눈금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선눈금부(400)를 45°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2지시선(440)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사선눈금부(400)에 형성되는 제 2지시선(440)은 등간격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평눈금부(300)에서와 같이 가스용기(200)의 표면에 대해 음각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 2지시선(440)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식별가능한 색을 입히도록 한다.
상기 사선눈금부(400)에 형성되는 제 2지시선(440)의 경사각은 45°각도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지시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에 대한 사시도이며,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과 배면에는 수평눈금부(300)와 사선눈금부(400)가 구비되어져 있어 매끄러운 면을 가지는 물체상에 놓아 수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라이타는 일회용 라이타 혹은 충전이 가능한 라이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타는 그 특성상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가스용기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가스는 소모되어져 그 양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용기(200)의 중앙부에는 지지격막(210)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가스용기(200)가 외부충격등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액상가스(500)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지지격막(210)에 의해 원활한 액체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격막(210)에 관통홀(215)을 다수개 종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액상가스(500)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도 액상가스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의 사용예시도로서 45°각도를 가지는 물체의 수평을 확인하는 것(a)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편 비이(b)는 상기 지지격막에 관통홀이 없을 경우에 있어서 45°각도를 가지는 물체의 수평을 확인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는 보다 넓은 유면을 형성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수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7은 상기 가스용기(200)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사선눈금부(400)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선눈금부(400)는 상기 지지격막(210)을 기준으로 하여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져 있다.
즉, 일측은 45°각도의 제 2지시선(4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타측은 이보다 완만하거나 급한 경사를 이루는 제 2지시선(4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필요에 따라 두곳중 어느한쪽 지시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 혹은 배면에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등간격의 다수의 눈금(49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일회용 라이타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정횟수이상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가스용기(200)내부에 충진된 액상가스(500)는 소모되어 라이타의 기능과 수준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가스용기(200)의 측면에 눈금(490)을 형성시킴으로서 길이측정용 자로서 활용할 수 도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휴대하기 간편한 라이타에 수준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라이타의 외면에 수평및 사선의 지시선을 형성시킴으로서 제품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액상가스(500)가 충진되어져 있는 라이타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되는 점화부(100)보다 폭이 넓으며 양측면은 평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가스용기(200)와;
    상기 가스용기(200)의 정면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제 1지시선(33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눈금부(300)와;
    상기 가스용기(20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지시선(33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다수의 제 2지시선(4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사선눈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200)는,
    내부중앙에 형성되는 지지격막(210)에 다수의 관통홀(215)이 형성되어져 액상가스(500)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200)는,
    폭이 넓은 편평한 면에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490)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KR2020010014990U 2001-05-22 2001-05-22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KR200243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990U KR200243249Y1 (ko) 2001-05-22 2001-05-22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990U KR200243249Y1 (ko) 2001-05-22 2001-05-22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249Y1 true KR200243249Y1 (ko) 2001-10-15

Family

ID=7310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990U KR200243249Y1 (ko) 2001-05-22 2001-05-22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2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556B (zh) 水准仪
EP2316000B1 (en) Spirit level having horizontal bubble vial with improved bubble visibility
AU2005236455B2 (en) Dark-banded vial for use with level
US7134217B2 (en) Printing device including stud finder for installing gem electrical outlet box
US6907840B1 (en) Football first down indicator system
HK1046164B (zh) 配有多種感應及報告效能的數碼指南針
US20130340270A1 (en) Bubble Level
WO2005052501A3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range finder
WO2007059053A3 (en) Slope level
USD488729S1 (en) Multi-purpose hand tool that includes tape measure, chalk line, level, angle replicator, and plumb bob in side compartment
US11002542B1 (en) Laser level with a measurement display window
KR200243249Y1 (ko) 수준기 기능을 하는 라이타
KR100648410B1 (ko)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US20190014847A1 (en) Three-dimensional electric field sensor in hard hats
USD400453S (en) Multifunction layout tool
US20050247789A1 (en) Locating and tracing tool
JP4543118B1 (ja) 傾斜角表示器
US20080155847A1 (en) Corner Gauge
JP2002039752A (ja) 水準器
JPH08219702A (ja) ピンホールのある巻尺
DE50015085D1 (de) Zeigerinstrument
FR2847035A1 (fr) Equerre multifonction
KR200180002Y1 (ko) 다목적 계측대
US2836900A (en) Magnetized angle measuring levels
KR100644107B1 (ko)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