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056Y1 -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056Y1
KR200243056Y1 KR2020010015448U KR20010015448U KR200243056Y1 KR 200243056 Y1 KR200243056 Y1 KR 200243056Y1 KR 2020010015448 U KR2020010015448 U KR 2020010015448U KR 20010015448 U KR20010015448 U KR 20010015448U KR 200243056 Y1 KR200243056 Y1 KR 200243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particle
particle siz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경 김
Original Assignee
원 경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경 김 filed Critical 원 경 김
Priority to KR2020010015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056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장의 여과층(지)을 설정된 기준치에 맞는 최적의 여과 상태로 유지할 수 있 도록 한 입도(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수장에는 여과층의 상.하부에서 각각의 독립된 라인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로부터 여과층 상.하부에서의 물 속에 함유된 입자 크기별 변화 및 여과(휠터)의 효율 변화, 압력 변화 등의 다양한 변화 요인들을 분석 관리하면서 여과조의 기능이나 효율 저하를 해소하는 역세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분석치를 산출하기 위한 물 입자 분석수단을 설치하고, 그 물 입자 분석수단으로부터 나오는 물 입자 결과치가 기준치에 합당한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컴퓨터로 하여금 정수장의 역세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수 있게 하여, 여과층을 항시 규정치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물 입자 분석수단에는 바탕값 조절(제어)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물 입자 분석수단에 대한 정밀 작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바탕값을 제공할 수 있게 하여, 항시 여과층을 깨끗하게 관리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Reverse Washing Control Appartus using Particle Counter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본 고안은 입도(자) 계수기(Particle Count)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정수장의 여과조(지)로부터 입수되는 여과층 통과전의 물과 통과 후의 물로부터 입자 크기별 변화 및 휠터의 여과 효율 변화, 압력 변화 등을 입도 계수기와 압력검출센서로서 정밀하게 측정후, 이 결과 치에 의거 여과조에 구비된 역 세척장치를 가동하여 여과층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하고, 또한 입자 계수기의 정밀성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물의 바탕 값을 제공하는 바탕값 제어장치를 구비한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에 관 한 것이다.
일 반적으로 정수장에는 여과조 내에 설치된 여과층의 청소와 아울러 정리 작업을 위한 역 세척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역 세척 장치의 구동은 여과조 내의 물의 오염이 확인되는 경우에 만 구동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 여과조 내의 수질 오염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을 보면, 여과조 내의 물(수질)에 대한 손실수두, 탁도 및 시간으로 결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탁도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 시에는 이미 사고 발생후 역 세척장치를 구동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을 뿐 만아니라 여과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입자의 크기별 여과 효율에 대한 감시효율이 불 가능하여 물의 오염(탁도)에 대한 정밀성의 측정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정수장 물의 오염에 대한 정밀성의 측정이 결여되는 경우 물에 함유된 수인성 병원성 세균이 그대로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주게되는 폐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전.후의 물로부터 입자 크기별 변화, 입자별 여과 효율, 압력차이에 대한 여러가지의 변화 요인들을 측정하여, 여과조의 오염발생에 대한 사고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여 최소화하고, 이로인하여 항시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한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바탕값을 조절(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입자별 여과 효율 등을 측정하는 기기에 대한 작동의 정밀성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한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 세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 세척 제어장치는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다수개로 구획된 여과실를 구비하고, 그 여과실의 내부에는 수원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原水)를 식수로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이 설치된 여과조와, 그 여과조에 설비되어 수질의 오염 요인이 발생시 여과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역세척 장치를 구비한 정수장에 있어서, 각 여과실들의 여과층의 상 하부에서 각각의 독립된 라인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로부터 여과층 상하부에서의 입자크기 변화 및 입자별 여과 효율을 분석하면서 상기 역세척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분석 치를 산출하기 위한 물 입자 분석수단; 및 상기 물 입자 분석수단과 역 세척장치와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여 그 물 입자 분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분석치의 결과를 관리하면서 상기 역세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유발하기 위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에서 물 입자 분석수단은 일단은 상기 여과조의 여과층의 상하부에개구되게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조의 외부로 연장되게 배설(配設)되어 입자 계수기와 연락되게 연결됨에 의해 여과조의 물을 입자 계수기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소경의 유동 라인들; 및 상기 유동 라인들과 각각 접속되어 그 유동 라인들을 통하여 유동되는 여과 전.후의 물로부터 입자크기 및 휠터 효율을 측정하여 여과조 내의 물의 오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입자 계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역 세척 제어 장치에는 여과조의 여과층 상.하부에서의 압력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컴퓨터 측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역세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유발하기 위한 압력검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수단의 입도 분석수단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게 상기 입도 분석수단과 연락되게 배치되어 상기 입도 분석수단의 물 입자 분석 값에 대한 정밀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물의 바탕값(Blank)을 조절하는 바탕값 조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은 상기 여과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상기 입도 분석수단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순환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를 개방시 상기 여과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제1, 제2휠터를 통해 소정의 입자크기(1.0μ)로 조절하여 제1탱크 내에 저류후 개방되는 제2밸브를 통해 제1흡입관으로서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되게 하면서 상기 입자 계수기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바탕값 전 처리 수단; 및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를 통하여 상기 전 처리수단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 처리 수단에의한 상기 입자 계수기의 세정작업 종료 후 1차로 입자 조절된 물의 입자를 제3휠터로서 0.45~0.1μ의 크기로 2차 조절하여 제2탱크에 저류후 제2흡입관으로서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입자 계수기의 내부로 순환되게하면서 그 입자 계수기의 물 오염에 대한 정밀도 측정 여부를 알수 있게 하기 위한 바탕값 후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여과조의 오염 원인을 여러가지의 요소들로부터 정밀하게 측정하여, 오염 발생에 대한 사고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여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항시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물의 바탕값을 조절(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입자별 여과 효율 등을 측정하는 기기에 대한 작동의 정밀성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물의 오염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실 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에 사용된 바탕값 제어 장치(Blank & Calibration)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수장 20 : 여과조
60 : 역 세척장치 100 : 역 세척 제어장치
200 : 입자 분석수단 400 : 제어수단
600 : 바탕값 제어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입도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 세척 제어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면부호(10)은 정수장을 그리고 도면부호(100)은 그 정수장(10)에 설치된 역 세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정수장(10)은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여과조(20), 그 여과조(20)로부터 여과되어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음용가능하게 소독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저장조(40),상기 저장조(40)내의 물의 일부를 끌어올려 저장하는 역 세척 조(80) 및 상기 여과조(20)의 오염 요인이 있을시 상기 세척조(80)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조(20)내의 여과층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역세척 장치(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정수장(10)에는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입수되는 물의 입자 크기나 입자별 여과 효율 변화 등을 수시로 측정하여 감시하면서 상기 역세척장치(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세척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대별하면, 상기 여과조(20)과 연락되게 접속된 입자 분석수단(200), 상기 입자 분석수단(Particle Count & Analyzer)(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입자 분석 결과 치에 따라 상기 역세척장치(60)을 작동하기 위한 신호(제어모듈)를 상기 역 세척 장치(60)측으로 전송하는 제어수단(4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입자 분석 수단(200)측으로는 그 입자 분석수단(200)이 정밀하게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바탕값(Blank)을 얻는 바탕값 조절(제어) 수단(6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정수장(10)및 역 세척 제어장치(100)에 대한 상세 구성 및 작용은 도 2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호수,강물 등의 원수(原水)로부터 유입되는 물(상등수)은 침전조(12)를 통하여 전 처리 작업을 실시한 후 다수개의 여과실들(21a~21c)이 구획 형성된 여과조 (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조(20)의 내부에는 각 여과실들(21a~21c)의 내부로 수용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22)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깨끗하게 여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여과조(20)의 각 여과실들(21a~21c)의 상기 여과층(22)으로부터 여과된 물은 관들을 통하여 저장조(40)측으로 배수하여 상기 저장조(40)내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저장조(40)의 내부로 저장되는 정수된 물은 다시 2차로 소독처리를 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저장조(40)내에 저장된 정수된 물의 일부는 펌프(P1)에 의해 상기 저장조(40)의 상부에 배치된 역세척 수조(80)의 내부로 끌어올려 저장하게 되며, 상기 여과조(20)내부의 오염 요인이 확인되면 관에 부착된 밸브 개방과 함께 펌프(P2)로 이루어진 역 세척장치(60)을 가동하여 상기 역세척 수조(80)의 물을 상기 여과조(20)의 내부로 압송함으로써 상기 여과조(20)의 내부의 오염 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정수장(10)에는 여과전.후의 물로부터 입자 크기별 변화 및 입자별 여과 효율, 압력에 대한 변화 여부를 측정하여 여과조의 오염 발생에 대한 사고 요인을 사전에 최소화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역세척 제어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 세척 제어장치(100)은 각 여과실들(21a~21c)의 여과층(22)의 상 하부에서 각각의 독립된 라인들(201a,202a,203a)(201b,202b,203c)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로부터 여과층(22)의 상.하부에서의 입자크기 변화 및 입자별 여과 효율을 분석하면서 상기 역 세척 장치(6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분석 치를 산출하기위한 물 입자 분석수단(200), 각 여과실들(21a~21c)의 여과층(22)의 상.하부에서 압력 변화 여부를 검출하면서 상기 역 세척 장치(6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압력(수위)검출센서(300a,30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 입자 분석수단(200)은 상기 각 여과실들(21a~21c)의 여과층(22)의 상.하부에서 상기 여과조(20)의 외부로 연장되게 배설(配設)되어 상기 여과층(22)에 의한 여과 전.후의 물을 후술하는 입자 계수기(210)측으로 유동 되도록 하고자 어느 일단은 각 여과실들(21a~21c)의 내부로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입자 계수기(210)측으로 연락되게 설치 한 소경의 이송 라인들(201a~203a) (201b~203b), 상기 이송라인들(201a~203a)(201b~203b)과 각각 접속되어 그 이송라인들(201a~203a)(201b~203b)을 통하여 유동되는 여과 전.후의 물로부터 입자 크기 (μ) 및 휠터 효율(%)을 측정하여 상기 여과조(20)내의 물의 오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입자 검출센서들(212a,212b)가 일체로 구비된 입자 계수기(210)로 이루어져 있다. 물에 함유된 입자 크기 등을 계수하기 위한 입자 검출센서들(21a,212b)를 갖는 상기 입자 계수기(210)은 일반적인 것 이므로 이에대한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입자 계수기(210)의 기능에 대해서 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자 계수기(210)은 상기 입자 검출센서들(21a,212b)이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입자 계수기(210)측으로 상기 유동 라인들(201a~203a)(201b ~203b)를 통하여 유동되는 물에 함유된 입자 크기를 검출한 것을 계수(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입자 계수기(210)은 상기 여과실들(21a~21c)의 여과층(22)의 상.하부에 설치된 각 한쌍 씩의 유동 라인들(201a,201b)(202a,202b)(203a,203b)로부터 이송되는 물의 입자 크기를 계수하게 된다. 즉, 상기 입자 계수기(210)은 각각의 유동라인(201a,201b) 또는 (202a,202b) 또는 (203a,203b)들을 통하여 유동되게하는여과 전의 물과 여과 후의 물에 함유된 입자 크기(μ)나 휠터 효율(%)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 원래 규정된 규정값 이상이 나타 나게되면 후술하는 제어장치(400)에 의하여 역세척 장치(60)을 작동 시키기 위한 제어 모듈을 보내게 된다.
예컨대 상기 입자 계수기(210)가 각 여과실들(21a,21b,21c)의 여과층(22)위에서 상기 유동 라인(201a,202a,203a)을 통하여 유입된 여과 전의 물에 함유된 입자별 크기에 대한 계수와, 상기 각 여과실들(21a,21b,21c)의 여과 층(22)의 하부에서 상기 이송라인들(201b,202b,203b)를 통하여 유입된 여과 후의 물에 함유된 입자 크기별 계수 결과 상기 여과층(22)을 통과한 후의 물로부터 검출되지 않아야 할 규정치 이상 크기의 입자들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상기 입자 계수기(210)에 의해 각 여과실들(21a,21b,21c)의 여과층(22)의 상부에서 유동 라인(201a,202a,203a)을 통하여 유입된 여과전의 물과 상기 여과층(22)의 하부에서 유동라인들(201b,202b,203b)을 통하여 유입된 여과 후의 물로부터 계수된 여과 효율(여과효율% = 여과층 상부의 물 - 여과층 하부의 물/여과층 상부의 물 X 100)이 규정치 이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400)을 통해 역 세척장치(60)를 가동하여 상기 여과층(22)를 청소하거나 정리 정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되게 한다.
상기에서 입자 계수기(210)은 유동라인들(201a~203a)와 (201b~203b)를 통하여 동시에 유입되는 물의 입자를 계수할 수 있으며, 또 한쌍 씩의 유동 라인들 (201a,201b) 또는 (202a,202b) 또는 (203a,203b)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면서 계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유동 라인들(201a,201b)를 통하여 유입되는물 입자의 계수 시에는 상기 유동라인(202a,202b)(203a,203b)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모두 차단되는데, 이들의 차단은 밸브 등의 설치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만약 상기 유동라인 들(202a,202b)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입자 등을 측정하는 경우 다른 유동 라인들(201a,201b)(203a,203b)의 유동로는 차단되는데, 이러한 물 입자의 계수는 상기 유동라인들(201a~203a)(201b~203b)중 어느의 것을 먼저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된 유동라인들(201a~203a)(201b~203b)의 직경은 상기 여과조(20)의 물을 상기 입자 계수기(210)측으로 유동되게 할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또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상기 유동라인들(201a~203a)(201b~203b)를 통하여 상기 입자 계수기(210)에 제공되었던 물은 미량이므로 그대로 방출해도 무방하나, 다시 여과조(2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수위)검출센서(300a,300b)는 상기 여과조(20)의 여과층(22)의 상.하부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직접 상기 제어수단(400)의 컴퓨터(420)측으로 케이블(301a,301b)를 통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420)로 하여금 역세척 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유발하게 한다. 즉, 상기 여과조(20)의 여과층(22)의 상.하부에 위치된 압력(수위)검출센서(300a,300b)로부터 검출되는 압력차이가 큰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420)로 하여금 역세척 장치(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유발하게 한다.
상기 유동 라인들(201a,201b)(202a,202b)(203a,203b)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입자 계수기(210)가 계수하는 과정이나 상기 압력검출센서들(300a,300b)로부터 압력변화의 검출 과정은 상기 제어수단(400)을 구성하는 컴퓨터(420)의 모니터(44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라인들 (201a,201b)(202a,202b)(203a,203b)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입자별 크기 및 휠터에 대한 효율이나, 상기 여과조(20)의 상.하부의 압력이 규정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440)을 통해서 일직선 상의 파형으로 나타나게 되고, 만약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는 경우 정상적인 직선 파형에서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불 규칙한 곡선 파형으로 변하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여과조에 이상이 있음을 쉽게 알수가 있고, 이러한 파형의 변화로 부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역세척 작동 개시를 하는 신호를 그 역 세척장치(60)에 보낼수가 있다.
상기에서 입자 계수기(210)로부터 계수되는 입자별 크기변화 및 휠터 효율변화 그리고 상기 압력검출센서들(300a,300b)로부터 압력의 이상 변화 검출은 모두 상기 여과층(22)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발생되는 문제이다. 예컨대, 상기 여과층(22)에 이물질 등이 끼므로 인해서 여과 능력이나 효율이 약화되는 경우 휠터 효율변화 및 수위가 상승되는 압력의 이상이 있게 되고, 상기 여과층(22)에 규정치 이상의 홀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여과층(22)에 의한 여과능력이 약화되어 물에 함유된 입자 크기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어 신호를 받게되는 역 세척장치는 상기 여과조(20)내의 여과층(22)을 향하여 강한 물을 분사하여 그 여과조(20)의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되게 유도함으로써, 상기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층(22)에 뚫려 있던 홀은 와류 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메꾸워지게 하면서 균일 층을 이루게 하고, 반면에 이물질은 여과층(22)으로부터 탈리되게 하면서 깨끗히 소제되게 한다. 이러한역 세척장치의 작동은 입자별 크기변화, 휠터 효율변화 및 압력의 이상 변화 중 어느 하나 만이 규정치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즉시 실시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자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에 사용된 바탕값 제어 장치(Blank & Calibration)의 구성도로서, 이에 대한 것은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같이 설명한다.
바탕값 조절수단(600)은 입자 계수기(200)로 유동되는 물의 순환이 가능하게 상기 입자 계수기(200)과 연락되게 배치되어 상기 입자 계수기(210)의 물 입자 계수 값에 대한 정밀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물의 바탕값(Blank)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즉,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600)은 여과조(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입자 계수기(210)로 유동시키기 위한 순환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6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순환라인(610)에는 그 순환라인(610)을 통하여 유동되는 물의 입자를 규정된 입자의 크기로 조절하여 바탕값을 얻기 위한 전처리 수단(620)과 후처리 수단(640)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바탕값 조절수단(600)을 이루는 상기 전 처리수단(620)은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상기 유동라인들(201b~ 203b)을 통하여 상기 순환라인(610)쪽으로 유동되는 물의 입자를 1차적으로 소정의 입자 크기로 조절 후 상기 입자 계수기(210)쪽으로 순환 시키면서 그 입자 계수기(210)의 검출센서들(212a,212b)의 내부를, 계수 시에 사용되었던 물이나 이 물질 등이 묻어 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세척하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 처리수단(620)은 순환라인(610)에 상호 연락되게 설치된 제1밸브(V1), 제1, 제2휠터들(622,624), 제1흡입관(628)이구비된 제1탱크(626), 제2밸브(V2)로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후 처리수단(640)은 상기 전 처리수단(620)에 의하여 1차로 물의 입자 크기가 조절된 물로부터 상기 입자 계수기(210)가 정밀하게 작동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바탕 값을 얻기 위한 것으로, 상기 후 처리수단(640)은 상기 순환라인(610)에서 상기 전처리 수단(620)과 연락되게 설치된 제3밸브(V3), 제2흡입관(646)을 갖는 제2탱크(642), 제3휠터(644)로 이루어 져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라인(610)에 설치된 제1밸브(V1)를 개방시 상기 여과조(20)로부터 상기 이송라인들(201b~203b)을 유동하는 물은 같은 순환라인(610)에 설치된 제1, 제2휠터들(622,624)를 통해 소정의 입자크기(1.0μ)로 여과된후 - 상기 제1, 제2휠터들(622,624)의 메쉬는 물의 입자를 1.0μ의 크기로 여과되게 이루어져 있다 - 상기 제1,제2휠터들(622,624)과 연락되게 설치된 제1탱크(626)내에 저류 후 그 제1탱크(626)의 제1흡입관(628)에 의하여 개방된 제2밸브(V2)를 통해 상기 입자 계수기(210)의 내부로 유동되게 하면서 상기 입자 계수기(210)의 검출센서들 (212a,212b)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한다. 이 전처리 작업은 수분 동안 반복하여 실시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전처리 수단(620)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후처리수단(640)의 제3밸브(V3)의 잠금으로 인해 상기 순환 라인(610)을 통하여 순환되는 물은 상기 후처리수단(640)측으로 유동됨은 없게 된다.
상기 후 처리수단(640)의 순환시에는 상기 전 처리수단(620)의 작동은 중단된다. 상기 후 처리수단(640)을 가동함에는 상기 제3밸브(V3)를 개방하여 상기 제1탱크(626)내에 저장되어 있던 1.0μ크기의 입자로 조절된 물은 상기 제2탱크(642)와 상기 제3휠터(644)를 경유후 다시 상기 제2탱크(642)의 내부로 저장되게 하는데, 상기 순환라인(610)을 통과하는 사전에 입자 크기가 조절된 물은 제3휠터(644)를 경유하는 동안 다시 0.45~0.1μ의 크기로 여과되는 바탕 값을 얻게 한다. 상기 제3휠터(644)역시 전처리 수단(610)에서 기히 1.0μ크기의 입자로 조절된 물을 0.45~0.10μ의 크기로 여과할수 있는 크기의 메쉬를 갖는다. 상기 제2탱크(642)의 내부로 상기 제3휠터(644)에 의하여 0.45~0.1μ입자크기로 조절되어 저장된 물은 상기 제2흡입관(646)에의해 제2밸브(V3)를 통해 상기 입자 계수기(210)측으로 순환되게 하고, 상기 입자 계수기(210)로 부터는 그 입자 계수기(210)을 통과하는 0.45~0.1μ입자 크기로 조절된 물의 입자 크기를 계수하게 한다. 상기 입자 계수기 (210)로부터의 계수 값이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600)으로부터 얻어진 바탕값 (0.45~0.1μ)과 동일한 값이 되면 상기 입자 계수기(210)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여과조에 대한 물의 계수 값을 신뢰할수가 있다.
만약 상기 바탕 값과는 다른 수치로 나타나게 되면 상기 입자 계수기(210)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비나 교체를 하면 된다.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 (600)에 의한 상기 입자 계수기(210)의 정밀 작동 여부에 대한 시험은 특별히 정하여 진 것은 아니지만, 여과조의 오염 여부를 묻는 탁도 관리를 위해서는 가능한 수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600)으로부터 얻게되는 바탕 값에 대한 규정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여과조의 여과전.후의 물로부터 입자 크기변화, 입자별 여과 효율과 압력에 대한 변화 여부를 측정하여 여과조의 물에 대한 탁도를 검사할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여과조의 오염 발생에 대한 사고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여 최소화할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인하여 항시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물의 바탕값을 조절(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여과조의 입도를 측정하는 입자 분석기에 대한 정밀성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보다 때끗한 수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개로 구획된 여과실를 구비하고, 그 여과실의 내부에는 수원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原水)를 식수로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이 설치된 여과조와, 그 여과조에 설비되어 수질의 오염 요인이 발생시 여과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역세척 장치를 구비한 정수장에 있어서,
    각 여과실들의 여과층의 상 하부에서 각각의 독립된 라인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로부터 여과층 상하부에서의 입자크기 변화, 입자별 여과 효율 변화 여부를 분석하면서 상기 역세척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분석 치를 산출하기 위한 물 입자 분석수단; 및
    상기 물 입자 분석수단과 역 세척장치와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여 그 물 입자 분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분석치의 결과를 관리하면서 상기 역세척 장치의 동작 제어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입자 분석수단은 일단은 상기 여과조의 여과층의 상.하부에 개구되게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조의 외부로 연장되게 배설(配設)하여 입자 계수기와 연락되게 연결됨에 의해 여과조의 물을 입자 계수기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소경의 유동 라인들; 및
    상기 유동 라인들과 각각 접속되어 그 유동 라인들을 통하여 유동되는 여과전.후의 물로부터 입자크기 및 휠터 효율을 측정하여 여과조 내의 물의 오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입자 계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 세척 제어 장치에는 여과조의 여과층 상.하부에서의 압력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컴퓨터 측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역세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유발하도록 된 압력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입도 분석수단으로 유동되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게 상기 입도 분석수단과 연락되게 배치되어 상기 입도 분석수단의 물 입자 분석 값에 대한 정밀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물의 바탕값(Blank)을 얻기 위한 바탕값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값 조절수단은 상기 여과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상기 입도 분석수단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순환로를 형성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를 개방시 상기 여과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제1, 제2휠터를 통해 소정의 입자크기(1.0μ)로 조절하여 제1탱크 내에 저류후 개방되는 제2밸브를 통해 제1흡입관으로서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되게 하면서 상기 입자 계수기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바탕값 전 처리 수단; 및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를 통하여 상기 전 처리수단과 연락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 처리 수단에의한 상기 입자 계수기 내의 세정 작업 종료 후 1차로 입자 조절된 물의 입자를 제3휠터로서 0.45~0.1μ의 크기로 2차 조절하여 제2탱크에 저장 후 제2흡입관으로서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입자 계수기의 내부로 순환되게 하여 그 입자 계수기로부터 여과조의 물 오염에 대한 정밀도 측정 여부를 알수 있게 하기 위한 바탕값 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KR2020010015448U 2001-05-25 2001-05-25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KR200243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48U KR200243056Y1 (ko) 2001-05-25 2001-05-25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48U KR200243056Y1 (ko) 2001-05-25 2001-05-25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898A Division KR100462357B1 (ko) 2001-05-25 2001-05-25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056Y1 true KR200243056Y1 (ko) 2001-10-15

Family

ID=7310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48U KR200243056Y1 (ko) 2001-05-25 2001-05-25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0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4887B1 (en) Filt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9409110B2 (en) Method of maintaining water quality in a process stream
US6077435A (en) Filt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2172981B1 (ko) 스마트 하폐수 처리 운영시스템
KR100979096B1 (ko) 간헐폭기식 공기세정방식을 이용한 막분리 공정의 최적운전제어시스템 및 방법
DE102011114912B4 (de)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Reinstwasser
CN106706946B (zh) 海水水样自动分配及反冲洗装置
JPWO2018179494A1 (ja) 水質測定装置
CN106932260A (zh) 海水水样自动过滤及反冲洗装置
KR100462357B1 (ko)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JP2012200631A (ja) 分離膜のファウリングの評価方法及び膜分離設備の運転方法
KR200243056Y1 (ko) 입도 계수기를 이용한 정수장의 역세척 제어장치
JP3680452B2 (ja) 膜処理システムの異常検知方法および制御方法
JP3807552B2 (ja) 膜ろ過装置の膜損傷検知方法および装置
KR20130127831A (ko) 유량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US5498328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sampling filter backwash fluid
JP4591702B2 (ja) 膜処理装置及び膜損傷検知方法
Johnson et al. Issues of operational integrity in membrane drinking water plants
JP7222055B1 (ja) 膜濾過機及び膜濾過機の洗浄方法
JP2015231607A (ja) 膜濾過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KR102438222B1 (ko) 측정기연동 멀티채널 샘플링 필터링 장치
KR100292676B1 (ko) 어류 사육수조의 여과수 공급 라인과 장치 및 방법
KR101168895B1 (ko) 배출되는 담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해수담수화 방법
CN117263321A (zh) 一种水处理装置及监测方法
JP2004329980A (ja) 膜破断検出装置及び膜破断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