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040Y1 -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Google Patents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3040Y1 KR200243040Y1 KR2020010014982U KR20010014982U KR200243040Y1 KR 200243040 Y1 KR200243040 Y1 KR 200243040Y1 KR 2020010014982 U KR2020010014982 U KR 2020010014982U KR 20010014982 U KR20010014982 U KR 20010014982U KR 200243040 Y1 KR200243040 Y1 KR 2002430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glasses
- hat
- cover
- hole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글라스가 모자에 내장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 손으로 선글라스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선글라스의 사용이 편리하며, 선글라스의 승강시 안면의 윤곽을 따라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안면부에 걸리는 일이 없이 눈높이에 맞춰 선글라스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모자의 전면에 선글라스를 내장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글라스를 하방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머리와 얼굴을 햇빛으로부터 가리는 기능을 하며, 선글라스는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수욕장, 낚시터, 유원지, 야외운동장 등 그늘이 없는 곳에서 안면에 비춰지는 강렬한 햇빛이나 자외선을 차단하여 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넓은 차양이 있는 차광모자나 , 일반모자를 착용함과 아울러 선글라스를 착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선글라스가 부설된 모자가 국내외에 다수 선출원된바 있으나, 종래에는 모자본체나 차양에 설치되는 선글라스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먼지가 선글라스의 오염이 쉽고 외관상으로도 복잡하게 보여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고안자로 등재되고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0-25563호로 선출원된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는 모자의 차양과 모자본체(캡부분)의 사이에 공간을 두어 그 사이를 통하여 선글라스가 모자 속으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 제안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모자는 선글라스의 좌우 양측단이 모자본체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두 손을 사용하여 선글라스를 모자 속에 내장시키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선글라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쪽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선글라스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됨으로 이마, 미간 등 안면의 돌출부분에 선글라스가 걸리는 현상도 있어 사용시 불편한 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글라스가 모자에 내장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한손으로 선글라스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선글라스의 승강시 안면의 윤곽을 따라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안면에 걸리는 없이 선글라스를 착용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선글라스가 내장되는 모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자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모자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자본체 20; 차양 21; 공간 30; 선글라스
31; 연장부 32; 구멍 40; 커버 41; 슬릿
42; 결속단추 50; 가이드 51; 수직공 52; 요철
60; 슬라이더 61; 스프링 62; 끼움공 70; 손잡이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모자의 차양(20)과 모자본체(10)와의 사이에 공간(21)을 두어 그 사이를 통하여 선글라스(30)가 모자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선글라스(30)를 내장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공간(21)은 상기 차양(20)의 후단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선글라스(30)의 중앙상단에는 상향으로 연장한 연장부(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31)의 상단에는 구멍(3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공간(21)이 가려지도록 상기 모자본체(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차양(20)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을 모자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젼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슬릿(41)을 형성한 커버(40)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공(51)의 양쪽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52)이 형성되어 슬릿(41)과 수직공(51)이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40)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이드(50)와, 양측면에 스프링(61)이 구비되고 중앙에 끼움공(6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1)이 상기 요철(52)에 탄지되도록 상기 가이드(5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60)와, 핀형태의 손잡이(70)로 구성하여, 상기 선글라스(30)를 상기 커버(40)에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70)의 후단을 슬릿(41)과 상기 끼움공(62)과 수직공(51)을 통하여 상기 연장부(31)의 구멍(32)에 일체로 결합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선글라스가 내장되는 모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자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모자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본 고안은 차광모자에 선글라스(30)를 적용한 것이나, 차양(20)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캡타입(cap type) 모자는 물론 차양(20)을 구비하지 않는 각종 모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같이, 모자본체(10)는 통상의 차광모자를 나타낸 것으로,차양(20)의 후단부를 절개하여 모자본체(10)와 차양(20)과의 사이에 공간(21)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선글라스(30)의 연장부(31)는 선글라스(30)의 중앙상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부(31)의 상단에는 추후 설명될 손잡이(70)의 후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32)을 형성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커버(4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프라스틱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글라스(30)를 내장하는 기능 외에도 선글라스(30)를 안내하는 기본 골격이 됨으로 선글라스(30)가 안면의 윤곽을 따라 자연스럽게 착용되도록 그 전면의 수직방향을 적절히 만곡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4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릿(41)을 형성하였는바, 결국 슬릿(41)은 커버(40)의 만곡정도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기를 갖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제조된 커버(40)는 상기 공간(21)이 가려지도록 모자본체(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차양(20)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을 모자의 양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40)의 양단을 모자본체(10)에 일체로 부착시킬 수 도 있으나, 모자본체(10)의 세탁과 선글라스(30)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하여 커버(40)의 양단부에 결속단추(42)를 구비하여 커버(40)를 착탈가능하게 모자본체(1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40)의 상단부는 모자의 종류에 따라 개방시키거나 모자본체(10)에 봉착하여 밀폐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50)는 플라스틱재로서 슬릿(41)의 곡률과 기울기와 일치되도록 대략 막대형상으로 제조되는바, 그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공(51)의 양쪽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52)이 형성되어 손잡이(70)에 의하여 슬릿(41)을 이동시키면 선글라스(30)가 다단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가이드(50)는 슬라이더(6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슬릿(41)과 수직공(51)을 대치시킨 상태로 커버(40)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더(60)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에 판형 또는 철사로 된 스프링(61)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손잡이(70)의 후단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손잡공(62)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더(60)는 스프링(61)이 요철(52)에 탄지되도록 하고 손잡이(70)의 조정에 의하여 수직공(51)을 따라 다단계로 승강되도록 가이드(5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70)는 핀형태로써, 상기 선글라스(30)를 상기 커버(40)에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70)의 후단을 슬릿(41)과 상기 끼움공(62)과 수직공(51)을 통하여 상기 연장부(31)의 구멍(32)에 일체로 결합됨으로 손잡이(70)의 조정에 의하여 선글라스(30)가 승강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자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커버(40)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70)를 잡고 끝가지 올리면 선글라스(30)가 공간(21)을 통하여 커버(40)에 완전히 내장되어 모자의 기능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70)를 하방으로 내리면 슬라이더(60)가 가이드(50)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선글라스(30)가 공간(21)을 통과하여 하강됨으로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슬라이더(60)의 스프링(61)이 가이드(50)의 요철(52)에 탄지되어 있으므로 임의위치에 선글라스(30)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으며, 선글라스(30)가 승강할 때 선회됨으로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면부와 걸림없어 선글라스(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선글라스(30)가 모자에 내장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손으로 선글라스(30)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선글라스(30)의 사용이 편리하며, 선글라스(30)의 승강시 안면의 윤곽을 따라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안면부에 걸리는 일이 없이 눈높이에 맞춰 선글라스(30)를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 모자의 차양(20)과 모자본체(10)와의 사이에 공간(21)을 두어 그 사이를 통하여 선글라스(30)가 모자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선글라스(30)를 내장하는 모자에 있어서,상기 공간(21)은 상기 차양(20)의 후단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선글라스(30)의 중앙상단에는 상향으로 연장한 연장부(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31)의 상단에는 구멍(3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공간(21)이 가려지도록 상기 모자본체(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차양(20)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을 모자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젼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슬릿(41)을 형성한 커버(40)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공(51)의 양쪽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52)이 형성되어 슬릿(41)과 수직공(51)이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40)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이드(50)와, 양측면에 스프링(61)이 구비되고 중앙에 끼움공(6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1)이 상기 요철(52)에 탄지되도록 상기 가이드(5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60)와, 핀형태의 손잡이(70)로 구성하여, 상기 선글라스(30)를 상기 커버(40)에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70)의 후단을 슬릿(41)과 상기 끼움공(62)과 수직공(51)을 통하여 상기 연장부(31)의 구멍(32)에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의 상하방향을 만곡시켜 상기 슬릿(41)이 후방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글라스(30)가 승강하면서 선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의 양단부에 결속단추(42)를 구비하여 커버(40)를 착탈가능하게 모자본체(10)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4982U KR200243040Y1 (ko) | 2001-05-22 | 2001-05-22 |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4982U KR200243040Y1 (ko) | 2001-05-22 | 2001-05-22 |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3040Y1 true KR200243040Y1 (ko) | 2001-10-15 |
Family
ID=7310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4982U KR200243040Y1 (ko) | 2001-05-22 | 2001-05-22 |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3040Y1 (ko) |
-
2001
- 2001-05-22 KR KR2020010014982U patent/KR2002430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34807A (en) | Sunglasses having detachable absorber strip | |
US20100095977A1 (en) | Hair band with retractable eye wear and removable decorative cover | |
KR200231946Y1 (ko) | 자외선 차단용 모자 | |
KR19990046036A (ko) | 자외선차단용모자 | |
US20050132461A1 (en) | Hat with shade panel | |
KR200243040Y1 (ko) | 선글라스가 내장된 모자 | |
JP3798806B1 (ja) | 眼鏡付き帽子 | |
KR200335692Y1 (ko) | 투명 차양이 구비된 모자 | |
KR200363387Y1 (ko) |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 |
KR200401249Y1 (ko) | 모자 챙 | |
KR100612777B1 (ko) | 선글라스 수납공간이 형성된 선글라스 장착형 모자 | |
KR200437354Y1 (ko) | 수영모자 | |
KR200164111Y1 (ko) | 자외선차단용차양모 | |
KR200324583Y1 (ko) | 꺽임이 가능한 모자 챙 | |
KR200363370Y1 (ko) |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 |
JP3122469U (ja) | 遮光眼鏡を有するサンバイザ | |
KR200299298Y1 (ko) | 모자부착용 선글라스 | |
KR200282296Y1 (ko) | 선글라스가 부설된 모자 | |
KR200221373Y1 (ko) |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 |
KR20130010605A (ko) |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 |
KR200363347Y1 (ko) | 모자 장착용 선글라스의 이동구조 | |
CN211633757U (zh) | 隆鼻罩 | |
KR100538114B1 (ko) |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 |
WO2007053860A1 (en) | An accessory for a peak | |
KR200217451Y1 (ko) | 모자챙의 길이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