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60Y1 -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 Google Patents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760Y1
KR200242760Y1 KR2020010003939U KR20010003939U KR200242760Y1 KR 200242760 Y1 KR200242760 Y1 KR 200242760Y1 KR 2020010003939 U KR2020010003939 U KR 2020010003939U KR 20010003939 U KR20010003939 U KR 20010003939U KR 200242760 Y1 KR200242760 Y1 KR 200242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lectric stove
support tube
directions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3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76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받침대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의 정·역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지지관(10); 상기 지지관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전열히터전구가 구비되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수단(30); 상기 지지관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구비되어 발열수단의 열을 외부로 더욱 발산되도록 하는 방열판(41,41a); 상기 방열판의 전방에는 보호망이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지지관의 정·역회전에 의해 실내 사방을 덥게하는 제1 방열부(40)와 제2 방열부(40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전기스토브에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함은 물론 풍향조절기에 의해서도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또한 펜을 이용하여 열을 전방으로 불어주어 더욱 효과적인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ELECTRIC STOVE OF EMISSION FOUR SIDES FOR HEAT}
본 고안은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전기스토브에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함은 물론 풍향조절기에 의해서도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또한 펜을 이용하여 열을 전방으로 불어주어 더욱 효과적인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난로(煖爐,Stove)는 실내를 덥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난로는 사용 연료나 연통의 유무(有無)의 형식에 따라 반사식·대류식과 이것을 절충한 반사대류식이 있으며, 또 최근에는 적외선 난로가 보급되고 있고 이것은 반사형에서 나오는 복사열이 풍부한 난로이다. 이때 상기 난로의 종류로는 석유난로·가스난로·전기난로·석탄난로·연탄난로 등이 있다. 상기 난로중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기난로는 스위치 하나로 간단히 조작될 뿐만 아니라 연료가 필요 없기 때문에 냄새나 연기·가스도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도 안전하여 이상적인 난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병실이나 진료실, 고급주택용으로는 적합함은 물론 단시간의 손님 접대용이라든지 아침·저녁의 단시간용으로 알맞다.
상기와 같은 난로중 종래의 전기난로는 방열부에서 열이 발산되어 실내를 덥게 하도록 구성된 것이나, 상기 방열부는 열이 전방으로만 발생되게 하나만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방열부가 회전된다 하여도 전방 180도 방향 안으로만 열이 발산되어 후방에 있는 사람은 열을 전달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의 사방을 덥게 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전기스토브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난로는 바람을 불어주는 팬이 구비되지 않아 주변에만 열을 전달시키고 멀리 떨어진 곳에는 열을 전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전기스토브에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하나의 전기스토브만으로도 실내 전체를 덥게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방열부가 회전되지 않아도 풍향조절기의 작동에 의해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펜을 이용하여 열을 전방 멀리있는 곳까지 불어주어 더욱 효과적인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를 덥게하는 전기스토브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의 정·역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전열히터전구가 구비되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수단; 상기 지지관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구비되어 발열수단의 열을 외부로 더욱 발산되도록 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전방에는 보호망이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지지관의 정·역회전에 의해 실내 사방을 덥게하는 방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
시도.
도 2 는 상기 도 1 전기스토브의 부분 종단면도.
도 3 은 상기 도 1 전기스토브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
시도.
도 5 는 상기 도 2 전기스토브의 부분 종단면도.
도 6 은 상기 도 2 전기스토브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스토브 10: 지지관
20: 모터 21: 정역모터
22: 팬 30: 발열수단
40: 제1 방열부 40a: 제2 방열부
41,41a: 방열판 50,50a: 풍향조절기51,51a:풍향조절판 52: 실린더53,53a: 링크
본 고안에 적용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지면에 놓여지게 받침대(2)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받침대(2)의 외부에는 선택적으로 누르는 조작버튼(4)과 내부에는 전기스토브(1)를 제어하는 제어부(3)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2)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관(10)이 축설되는 것으로, 이 받침대(2)의 내부에는 정·역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23)의 축이 회전하여 받침대(2)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21)의 상단에는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팬(22)이 구비된다.
부호 30은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수단이다. 이때 상기 발열수단(30)은 상기 지지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발열수단(30)의 양단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전열히터전구(31,31a) 구비된다.
상기 전열히터전구(31,31a)의 내부에는 가스가 내장되어 자체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10)의 상부 양단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구비되어 발열수단(30)의 열을 외부로 더욱 발산되도록 하는 발열판(41,41a)이 구비된다.
부호 50,50a는 상기 방열판(41,41a)의 중앙 적소에 구비되어 전열히터전구(31,31a)의 열을 선택적으로 방향을 바꾸어주는 풍향조절기(50,50a)이다. 이때 상기 풍향조절기(50,50a)는 실린더(52)의 구동과 링크(53,53a)의 작동에 의해 풍향조절판(51,51a)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열판(41,41a)의 전방에는 보호망(42,42a)이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지지관(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실내 사방을 덥게하는 제1 및 제2 방열부(40,40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전기스토브(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조작버튼(4)을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3)는 각 부품을 구동시켜 상기 전기스토브(1)에 의해 실내를 덥게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3)는 발열수단(30)에 신호를 보내 발열수단(30)의 양측에 구비된 전열히터전구(31)(31a)를 동작시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열히터전구(31)(31a)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판(41)(41a)에 반사되어 대기중에 열을 넓게 방출시켜 실내를 덥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제1 및 제2 방열부(40)(40a)를 지지관(10)을 중심으로 180도씩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실내 360도 전체를 덥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4)을 눌러 제어부(3)에 의해 정·역모터(2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정·역모터(21)와 연결된 감속기(23)의 축이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린 지지관(10)을 받침대(2)의 상부에서 정·역회전시켜 실내 전체를 덥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전기스토브(1)는 멀리 떨어진 곳까지 열을 전달시켜 실내를 덥힐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즉,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팬(22)이 회전하면서 발생된 바람은 지지관(10)의 내부 상부쪽으로 이동하고, 이 바람은 전열히터전구(31)를 지나치면서 온풍으로 바뀌는 동시에 멀리 있는 곳까지 온풍을 보내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제1 및 제2 방열부(40)(40a)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풍향조절기(50)(50a)의 작동에 의해 실내 전체를 덥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실린더(52)의 작동과 이와 연결된 링크(53)(53a)의 굴절에 의해 풍향조절판(51)(51a)이 상하좌우로 일정 간격만큼 작동되면 발열수단(30)에서 발생된 열은 풍향조절판(51)(51a)이 작동되는 각도로 온풍을 전방으로 방출하여 실내를 덥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스토브(1)의 모델이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모델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전기스토브에서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하나의 전기스토브만으로도 실내 전체를 덥게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방열부가 회전되지 않아도 풍향조절기의 작동에 의해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며, 펜을 이용하여 열을 전방으로 불어주어 더욱 효과적인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실내를 덥게하는 전기스토브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의 정·역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지지관(1);
    상기 지지관(1)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전열히터전구가 구비되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수단(30);
    상기 지지관(1)의 상부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구비되어 제1 및 제2 방열부(40)(40a)의 열을 외부로 더욱 발산되도록 하는 방열판(41)(41a);
    상기 방열판(41)(41a)의 전방에는 보호망이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지지관의 정·역회전에 의해 실내 사방을 덥게하는 방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1)의 내부에는 모터(20)와 팬(22)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20)의 구동과 팬(2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발열수단(30)을 거치면서 열풍이 발생되는 동시에 외부로 발산되어 실내를 덥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20010003939U 2001-02-16 2001-02-16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KR200242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9U KR200242760Y1 (ko) 2001-02-16 2001-02-16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9U KR200242760Y1 (ko) 2001-02-16 2001-02-16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760Y1 true KR200242760Y1 (ko) 2001-09-25

Family

ID=7306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39U KR200242760Y1 (ko) 2001-02-16 2001-02-16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34A (ko) * 2018-04-13 2019-10-23 이창엽 선풍기형 양방향 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34A (ko) * 2018-04-13 2019-10-23 이창엽 선풍기형 양방향 히터
KR102122881B1 (ko) * 2018-04-13 2020-06-15 이창엽 선풍기형 양방향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986B2 (en) Heater
EP1796434A3 (en) Electric cooker having a composite heat source
CN204201834U (zh) 舞台灯具散热系统及应用该系统的舞台灯
US20150168012A1 (en) Heater having a floating heat exchanger
CN104315476A (zh) 舞台灯具散热系统及应用该系统的舞台灯及其散热方法
WO2010012142A1 (zh) 一种能使室内空气循环的辐射型电暖器
US7013080B1 (en) Space heater with area light source
KR200242760Y1 (ko) 열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전기스토브
CN109611939A (zh) 墙暖供热装置
ATE472924T1 (de) Licht und wärmestrahler
CN101132687A (zh) 大功率电子元器件散热装置
KR20190061993A (ko) 개선된 온풍기용 팬
CN204358828U (zh) 多功能取暖器
CN208952202U (zh) 温度可调式供暖设备
CN201233055Y (zh) 吸顶式电暖器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JP2005273947A (ja) 遠赤外線放射機
KR200307051Y1 (ko) 전기난로
KR200349630Y1 (ko) 선풍기 겸용 온풍기
KR100889808B1 (ko) 전기 온풍장치
KR200233471Y1 (ko) 근적외선 복사열히터
JP2005055141A (ja) 空気調和機
KR20100080656A (ko) 대류난방이 가능한 복사열히터
KR200276035Y1 (ko) 공기순환 환풍기가 부착된 전기난로
KR200273775Y1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