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488Y1 - 회전 댐퍼 - Google Patents

회전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88Y1
KR200242488Y1 KR2020010015882U KR20010015882U KR200242488Y1 KR 200242488 Y1 KR200242488 Y1 KR 200242488Y1 KR 2020010015882 U KR2020010015882 U KR 2020010015882U KR 20010015882 U KR20010015882 U KR 20010015882U KR 200242488 Y1 KR200242488 Y1 KR 200242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ry
rotating member
viscous fluid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2020010015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88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댐퍼에 관한 것으로,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부분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점성유체의 점성으로 회전비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고정부재(12)가 형성되고, 외벽(13)의 내측면에 걸림편(13a)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 지지축(14) 및 환형의 고정리브(11)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고정리브(11)의 내, 외측에 위치되는 제 1회전리브(33a) 및 제 2회전리브(33b)가 저면에 형성되며, 상부로는 고정축(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된 회전부재(30)와, 중앙에 이동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3a)에 결합되는 삽입홈(21)이 선단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캡(20)과, 상기 회전부재(30)에 형성된 고정축(31)에 끼워져 설치되는 피동치자(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제 2회전리브(33b)는 하우징(10)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그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홈(34)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리브(11)와 접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리브(33b)의 외주면 양측에 개방홈(34)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하우징(10)내에 수용된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하우징(10)내에서 이동하여, 일정한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댐퍼{Rotary damper}
본 고안은 회전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유체의 점성작용을 향상시켜 각종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 동작부분이 급격하게 회전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제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댐퍼는 각종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 동작부분이 급격히 작동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댐퍼의 내부에는 구리스나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유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기어가 형성된 피동치자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지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과 동일중심의 회동부재 저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지지축이 삽입되는 것으로, 회전부재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회전부재의 저면에는 각각 고정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리브간의 마찰 및 고정리브와 점성유체간의 마찰을 통해 회전속도를 감쇄시킨다.
한편, 상기 하우징과 회전부재는 억지끼움방식의 조립형과 상호 접하는 결합부위를 융착하는 융착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의 누유를 억제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댐퍼는 회전부재가 점성유체의 점성에 의해 그 회전이 제동되므로, 각종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동작부분이 급격히 회전하거나, 미끄럼동작을 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 부분들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댐퍼는 하우징의 내측과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리브간의 마찰 및 고정리브와 점성유체간의 마찰에 의해 회전부재의 회전비를 감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점성유체가 고정리브 사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고정리브와 점성유체간의 마찰이 발생할 경우 이 점성유체가 하우징내에서 일측으로 뭉쳐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본래의 기능인 일정한 회전감쇄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점성유체가 수용된 원형의 하우징과 회전부재는 억지끼움이나 융착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 회전댐퍼는 장기간 사용 할 경우 결합부위가 헐거워짐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점성유체가 누유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결합부위를 융착하여 결합시킬 경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지지축이 장기간 사용에 의해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그 부위로부터 점성유체가 누유되어 감쇄효과 미비에 의해 부품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측과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리브에개방홈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고정리브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일정한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내에 수용된 점성유체가 회전부재와의 결합부위에서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회전부재가 접하는 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 점성유체의 누유방지 및 회전부재의 정확한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회전댐퍼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회전댐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회전댐퍼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회전댐퍼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고정리브
12 - 고정부재 13 - 외벽
14 - 지지축 20 - 캡
21 - 삽입홈 30 - 회전부재
31 - 고정축 32 - 삽입홈
33a - 제 1회전리브 33b - 제 2회전리브
34 - 개방홈 40 - 피동치자
50 - 설치부재 60 - 오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부분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점성유체의 점성으로 회전비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외벽의 내측면에 걸림편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 지지축 및 환형의 고정리브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고정리브의 내, 외측에 위치되는 제 1회전리브 및 제 2회전리브가 저면에 형성되며, 상부로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중앙에 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에 결합되는 삽입홈이 선단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캡과;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고정축에 끼워져 설치되는 피동치자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제 2회전리브는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그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홈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가 상기 개방홈을 통하여 자유로이 고정리브와 제 1회전리브사이를 유동하므로써, 회전부재의 정확한 회전동작과 미끄럼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댐퍼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캡과 그 상부에 설치된 피동치자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댐퍼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 내측 및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리브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댐퍼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인 댐퍼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내측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케이스에 형성된 기어부와의 기어맞춤에 의해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내측에 점성유체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의 저면에는 각종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동작부분이 설치된 기기본체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벽 내측면에는 걸림편(13a)이 형성되며, 내부중앙에는 지지축(1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14)의 일측으로는 환형의 고정리브(11)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리브(11)의 사이로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 1회전리브(33a) 및 제 2회전리브(33b)가 저면에 형성된 회전부재(30)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부재(30)의 상부로는 고정축(31)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32)은 상기 지지축(14)과 동일중심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형성폭은 지지축(14)의 폭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결합홈(32)이 지지축(14)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경우 조립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며, 회전부재(30)가 용이하게 회전하는데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제 2회전리브(33b)는 하우징(10)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고정리브(11)와 회전리브(33a)(33b)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홈(34)은 제 2회전리브(33b)의 외주면 양측에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는 하우징(10)내에 수용되는 점성유체에 간섭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0)의 상부에는 중앙에 이동구멍(22)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외벽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3a)에 체결되도록 선단 외주면 하부에 삽입홈(21)이 형성된 캡(20)이 위치된다.
또한, 회전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축(31)에는 외주면으로 기어가 형성되고, 중앙에 체결홈(41)이 형성된 피동치자(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0), 캡(20), 피동치자(40)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캡(20)은 그 중앙에 형성된 이동구멍(22)이 고정축(31)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부재(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캡(20)의 상부에는 외주면으로 기어부가 형성된 피동치자(40)의 체결홈(41)에 고정축(31)에 삽입되어 체결이 순차적으로 완료된다.
즉, 캡(20)과 회전부재(30)간에는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되지 않아도, 피동치자(4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부재(30)와 캡(20)의 접합부위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오링(6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피동치자(40)가 고정축(31)에 결합된 후 상기 고정축(31)의 상부를 열 융착하여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피동치자(40)와 회전부재(30)를 체결시킨다.
또한, 하우징(10)내에 점성유체를 수용한 후 회전부재(30)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안착시킬 경우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지지축(14)을 회전부재(30)의 저면 중앙에 상기 지지축(14)과 동일중심을 갖는 결합홈(32)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4)의 일측에 형성된 환형의 고정리브(11)는 회전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제 1회전리브(33a)와 제 2회전리브(33b) 사이에 위치시켜 맞춤 체결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회전부재(30)가 안착된 후 상기 하우징(10)의 주연부와 캡(20)이 접하는 부위를 초음파 융착하여 접합시키게 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과 회전부재(30)의 결합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밝혀둔다.
한편, 댐퍼는 토크(torque)를 기준으로 저토크와 고토크로 나뉠 수 있으며, 저토크는 비교적 댐퍼에 맞물리는 하중이 가벼울 경우 사용되며, 고토크는 댐퍼에 맞물리는 하중이 무거울 경우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댐퍼의 토크를 저토크와 고토크로 나뉠 수 있는 기준은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점성유체의 양 및 점도에 의해 결정되며, 저토크보다는 고토크의 경우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점성유체의 양이 많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하우징(10)내에 수용되는 점성유체의 양이 비교적 많은 고토크 댐퍼에 속하며, 설치 사용되는 실시예는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글로브박스(100)의 내측 공간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되어 진다.
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글로브박스(100)의 내측 공간부(110)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하우징(10)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12) 및 일측에 형성된설치부재(50)가 글로브박스(10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글로브박스(100)의 전면커버(12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21)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122)와 피동치자(40)가 상호 맞물림되어 체결된다.
즉, 전면커버(120)의 하부에 위치된 힌지공(130)을 통하여 글로브박스(100)의 전면이 개방되어 질 경우 가이드부재(121)에 형성된 기어부(122)가 피동치자(40)에 의해 서서히 감쇄되면서 전면커버(120)는 하부로 이동하여 글로브박스(100)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부재(121)에 형성된 기어부(122)와 맞물림되어 있는 피동치자(40)는 회전부재(30)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리브(33a)(33b)는 고정리브(11)와 맞닿아 있으므로, 상기 고정리브(11)와 회전리브(33a)(33b)간의 마찰 및 고정리브(11)와 회전리브(33a)(33b), 점성유체가 상호 마찰을 일으켜, 피동치자(40)의 회전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로브박스(100)의 정확한 회전동작과 미끄럼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리브와 접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리브의 외주면 양측에 개방홈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하우징내에서 이동하여, 일정한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하우징내에 수용된 점성유체가 회전부재와의 결합부위에서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과 캡의 결합부위는 초음파 융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축과 회전부재의 결합부위에는 오링을 형성하므로써, 점성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회전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기기의 회동부분이나 미끄럼부분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점성유체의 점성으로 회전비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고정부재(12)가 형성되고, 외벽(13)의 내측면에 걸림편(13a)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 지지축(14) 및 환형의 고정리브(11)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고정리브(11)의 내, 외측에 위치되는 제 1회전리브(33a) 및 제 2회전리브(33b)가 저면에 형성되며, 상부로는 고정축(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된 회전부재(30)와;
    중앙에 이동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3a)에 결합되는 삽입홈(21)이 선단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캡(20)과;
    상기 회전부재(30)에 형성된 고정축(31)에 끼워져 설치되는 피동치자(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제 2회전리브(33b)는 하우징(10)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성유체가 자유로이 그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홈(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34)은 제 2회전리브(33b)의 외주면 양측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을 하는 회전댐퍼.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0)와 캡(20)의 접합부위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오링(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2020010015882U 2001-05-29 2001-05-29 회전 댐퍼 KR200242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82U KR200242488Y1 (ko) 2001-05-29 2001-05-29 회전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82U KR200242488Y1 (ko) 2001-05-29 2001-05-29 회전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88Y1 true KR200242488Y1 (ko) 2001-10-17

Family

ID=7310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82U KR200242488Y1 (ko) 2001-05-29 2001-05-29 회전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1811A (en) Rotary damper
KR100251044B1 (ko) 회전댐퍼및그댐퍼를이용한덮개개폐장치
JP4524771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US9645606B2 (en) Damping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5511446A (en) Flywheel assembly
KR200242488Y1 (ko) 회전 댐퍼
GB2407143A (en) Rotary damper
JPH0633966A (ja) ダンパー
KR960034798A (ko) 회전댐퍼
JP5738656B2 (ja) ダンパ
CA1040459A (en) Speed changing device for tools having a gear assembly with a variable gear ratio
WO2008147020A1 (en) Rotation type oil damper
KR101643768B1 (ko) 도어 회전장치
KR100472063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JP5048363B2 (ja)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2021902A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KR960013990B1 (ko) 로우터리 피스톤식 회전댐퍼
KR20000008086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유니버셜 조인트
KR960006831Y1 (ko) 회전댐퍼
US7175008B2 (en) High-resistance decelerating device, particularly for insertion between two members in relative motion
JPH0725348U (ja) 回転式ダンパー
WO2018043646A1 (ja) ボールバルブ
KR20050027014A (ko) 회전댐퍼
JPH0510837U (ja) 回転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