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950Y1 - 광각 줌렌즈 - Google Patents

광각 줌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950Y1
KR200241950Y1 KR2019990002169U KR19990002169U KR200241950Y1 KR 200241950 Y1 KR200241950 Y1 KR 200241950Y1 KR 2019990002169 U KR2019990002169 U KR 2019990002169U KR 19990002169 U KR19990002169 U KR 19990002169U KR 200241950 Y1 KR200241950 Y1 KR 200241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wid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965U (ko
Inventor
박영우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2019990002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9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950Y1/ko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각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적어도 1매 이상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진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에 제1렌즈군은 고정되고, 제2렌즈군이 광축상을 전후로 이동하여 변배를 수행하고, 제3렌즈군이 제2렌즈군과 연관되어 이동하여 변배에 따른 초점 위치의 이동을 보정한다. 다음의 조건 2.5< L/(D2T- D2W) < 5(L : 광각 줌렌즈의 전장, D2W: 광각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 D2T: 망원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만족하며, 이에 따라 주밍시의 전장 변화가 최소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높은 변배비를 가진다.

Description

광각 줌렌즈{WIDE ANGLE ZOOM LENS}
이 고안은 광각 줌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촬상 소자를 이용하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것으로, 변배비가 2배 정도이면서 화각이 60° 이상인 광각 줌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소형 경량화, 저 코스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카메라에 장착되는 줌렌즈에 대해서도 소형 경량화, 저 코스트화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계는, 촬상 소자의 주기적인 구조에 기인하는 모아레(Moir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정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터의 두께와 위치를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특히, 상면으로 입사되는 광선의 텔레센트릭(telecentric)성이 설계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하는 종래 기술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소56-123512호와, 동 특허 공개 번호 평6-94996호와, 동 특허 공개 번호 소63-2921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소56-123512호에 개시된 광학계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줌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으로 이루어지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이 광축상을 이동하여 주밍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전장이 크게 변화하며, 이에 따라 경통 구성이 복잡해지고,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평6-94996호에 기재된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지며, 주밍시에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이 광축상을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또한 전장의 변화가 심한 단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소63-292106호에 기재된 광학계는 주밍시에 전장이 변화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의 줌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주밍시에 제1렌즈군은 고정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이 광축상을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에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이 물체측으로 이동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광각단에서의 성능 보정을 위해서 전체 광학계의 전장이 길어지고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화각이 50°이하인 실시예만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2배 정도의 변배비를 가지면서 화각이 60°정도인 광각 줌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밍시 전장이 고정되어 전체 렌즈계의 전장을 작게 할 수 있는 소형의 광각 줌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2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3은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4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5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6은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7은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8은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9는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10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주밍 궤적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적어도 1매 이상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진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에 제1렌즈군은 고정되고, 제2렌즈군이 광축상을 전후로 이동하여 변배를 수행하고, 제3렌즈군이 제2렌즈군과 연관되어 이동하여 변배에 따른 초점 위치의 이동을 보정한다.
이러한 광각 줌렌즈는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간격과 전장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여, 전장 변화를 최소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변배비를 가진다.
2.5 < L/(D2T- D2W) < 5
L은 광각 줌렌즈의 전장을 나타내고, D2W는 광각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D2T는 망원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2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3은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4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5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6은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7은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각 줌위치에서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8은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9는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10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주밍 궤적도이다.
첨부한 도1, 도4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I)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II)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III)으로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제1렌즈군(I)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렌즈(1)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렌즈(2)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3렌즈(3)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제1렌즈군(I)을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와 정의 굴절력을가지는 렌즈로 구성할 수 있다.
제2렌즈군(II)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4렌즈(4)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5렌즈(5)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제6렌즈(6)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7렌즈(7)로 이루어진다.
제3렌즈군(III)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8렌즈(8)로 이루어진다.
제3렌즈군(III)과 결상면 사이에 광학적 필터(LPF)(20)가 장착되고, 제1렌즈군(I)과 제2렌즈군(II) 사이에 조리개(10)가 장착된다.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 제1렌즈군(I)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물체측면이 볼록한 제1렌즈(11)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렌즈(12)로 이루어지고, 제2렌즈군(II)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3렌즈(21)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4렌즈(22)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제5렌즈(23)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6렌즈(24)로 이루어지고, 제3렌즈군(III)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7렌즈(31)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고안에서는 제1렌즈군(I)을 비교적 분산치가 높은 렌즈로 구성하여, 고해상도를 위하여 배율 색수차를 작게 하여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였으며, 제3렌즈군(III)에 강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볼록 렌즈를 위치시켜, 충분하게 긴 후초점 거리를 확보하고, 촬상 소자라는 결상 매체 사용할 때에 문제시되는 텔레센트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주변상에서 입사되는 광속의 주광선이 결상 매체인 촬상 소자에 직각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출사동의 위치가 가능한 촬상 소자에서 멀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강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제2렌즈군의 상측쪽에 위치시킴에 따라, 긴 후초점 거리가 확보되고, 광속의 텔레센트릭을 맞추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고안에서는 제2렌즈군(II)이 적어도 1매 이상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색수차 보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줌렌즈 구성에서 전장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특히 제2렌즈군(II)의 굴절력을 강하게 하여야 한다. 정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만으로 제2렌즈군(II)을 구성하여 굴절력이 강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색수차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고안에서는 제2렌즈군(II)에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시켜 전체 렌즈계의 전장을 짧게 하면서도 색수차를 보정하도록 하였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zooming)시에 제1렌즈군(I)은 고정되고, 제2렌즈군(II)은 광축상을 전후로 이동하여 변배를 수행하고, 제3렌즈군(III)은 제2렌즈군(II)과 연관하여 이동하여 변배에 따른 초점 위치의 이동을 보정한다.
즉, 이 고안에서는 제2렌즈군(II)을 이동시켜 변배를 행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면 이동을 제3렌즈군(III)을 이동시켜 보상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변배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첨부한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조리개(10)는 제2렌즈군(II)과 일체로 이동하며, 제2렌즈군(II)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III)은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식 1)
2.5 < L/(D2T- D2W) < 5
(조건식 2)
0.5 < (D2T- D2W) / √(fW×fT) < 2.0
(조건식 3)
1.3 < |fI/ fIII|< 2.0
L : 광각 줌렌즈의 전장
D2W: 광각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
D2T: 망원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
fW: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 거리
fT: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 거리
fI: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
fIII: 제3렌즈군의 초점 거리
조건식1은 주밍시의 제2렌즈군(II)과 제3렌즈군(III)의 이동에 관한 것으로, 주밍시의 전장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조건식1의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렌즈군(II)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비점 수차가 악화된다. 조건식1의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밍시의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경통 구성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전체 렌즈계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조건식2 또한 주밍시의 제2렌즈군(II)과 제3렌즈군(III)의 이동에 관한 것으로, 전장이 고정된 상태에서 주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조건식2의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렌즈군(I)과 제3렌즈군(II)의 이동량이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3렌즈군(III)의 굴절력이 강해짐으로써, 수차 특히, 비점 수차가 발생하여 화면 주면에서의 결상 성능이 악화된다.
이와는 반대로, 조건식2의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밍시에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전체 렌즈계의 전장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조건식3은 제1렌즈군(I)과 제3렌즈군(III)의 굴절력에 관한 것으로, 조건식3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렌즈군(III)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변배에 따른 수차 보정이 어려워진다.
이와는 반대로, 조건식3의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3렌즈군(III)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변배에 따른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광속의 텔레센트릭성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촬상 소자의 결상 성능이 악화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른 60。 정도의 광각을 위해서는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후초점 길이도 짧아지므로 상면앞에 위치한 광학적 필터(20)가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조건식3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간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시에 제3렌즈군(III)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광학적 필터(20)와 부딪치게 됨에 따라, 망원단의 초점 거리가 작아져서 고변배비의 달성이 어려워지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상기한 조건들(조건식1∼조건식3)을 만족하는 이 고안의 다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다음의 f는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ri(i=1∼19)는 굴절면의 곡률 반경, di(i=1∼18)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N은 렌즈의 d-line 굴절률, ν는 렌즈의 아베수, m은 전체 렌즈계의 배율, 2ω는 화각을 나타낸다. 각각의 표에서 길이를 나타내는 값의 단위는 mm이다.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Fno)는 2.79∼4.23이고, 초점 거리(f)는 9.5mm∼19.0mm이고, 화각 2ω는 64.5°∼35.0°이고, 실시예값은 다음 표1과 같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거리(d) 굴절률(nd) 아베수(ν)
1 16.882 1.00 1.773 49.6
2 9.727 2.94
3 48.913 1.00 1.773 49.6
4 16.126 1.53
5 11.473 1.89 1.847 23.8
6 16.822 A
7 1.75
8 91.959 1.39 1.773 49.6
9 -16.507 0.10
10 7.035 2.91 1.734 51.5
11 11.036 0.76
12 -28.250 2.89 1.847 23.8
13 7.897 0.88
14 -87.668 2.67 1.773 49.6
15 -12.324 B
16 25.959 3.20 1.773 49.6
17 -25.710 C
18 4.50 1.517 64.2
19 1.50
줌잉시의 렌즈간 거리 변화는 다음 표2와 같다.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A 12.915 7.169 2.278
B 2.680 9.880 15.120
C 2.408 0.953 0.605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수차 특성은 첨부한 도2, 도3에 도시되어 있으며, S는 사지탈(sagittal) 방향의 수차를 나타내고, T는 탄젠셜(tangential) 방향의 수차를 나타낸다.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Fno)는 2.74∼4.15이고, 초점 거리(f)는 9.5mm∼19.0mm이고, 화각 2ω는 64.5°∼35.0°이고, 실시예값은 다음 표3과 같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거리(d) 굴절률(nd) 아베수(ν)
1 17.350 1.46 1.757 47.7
2 9.421 2.85
3 48.403 0.85 1.806 40.7
4 14.960 1.55
5 11.716 1.95 1.847 23.8
6 19.326 A
7 1.76
8 118.720 1.38 1.757 47.7
9 -16.524 0.10
10 6.890 3.67 1.623 58.1
11 14.615 0.59
12 -24.216 2.25 1.847 23.8
13 7.779 0.91
14 -58.117 2.65 1.834 37.3
15 -11.850 B
16 21.427 3.50 1.589 61.2
17 -22.941 C
18 4.50 1.517 64.2
19 1.50
줌잉시의 렌즈간 거리 변화는 다음 표4와 같다.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A 12.674 7.060 2.289
B 2.348 9.732 14.906
C 2.348 0.682 0.279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수차 특성은 첨부한 도5,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Fno)는 2.82∼4.43이고, 초점 거리(f)는 9.5mm∼20.0mm이고, 화각 2ω는 64.5°∼33.4°이고, 실시예값은 다음 표5와 같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거리(d) 굴절률(nd) 아베수(ν)
1 33.953 2.00 1.773 49.6
2 10.867 4.71
3 9.694 1.70 1.847 23.8
4 10.525 A
5 1.73
6 14.960 1.44 1.773 49.6
7 -35.463 0.10
8 7.983 2.38 1.717 48.0
9 9.757 1.52
10 -17.924 1.98 1.847 23.8
11 8.911 0.79
12 -112.689 2.78 1.773 49.6
13 -11.270 B
14 25.367 3.57 1.773 49.6
15 -25.367 C
16 4.50 1.517 64.2
17 1.50
줌잉시의 렌즈간 거리 변화는 다음 표6과 같다.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A 13.476 7.432 1.567
B 2.000 9.441 15.858
C 2.505 1.107 0.555
이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수차 특성은 첨부한 도8, 도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조건식 값은 다음 표7과 같다.
조 건 식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L/D2T-D2W 3.94 3.93 3.52
D2T-D2W/√(fW×fT) 0.93 0.93 1.01
|(fI/fIII)| 1.51 1.32 1.75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카메라에 사용되며, 2배 정도의 변배비를 가지며 주밍시의 전장이 고정되어 소형화가 가능한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60。이상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줌렌즈가 제공된다.

Claims (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적어도 1매 이상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에, 상기 제1렌즈군은 고정되고, 제2렌즈군이 광축상을 따라 이동하여 변배를 수행하고, 상기 제3렌즈군이 변배에 따른 초점 위치 이동을 보상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2.5 < L/(D2T- D2W) < 5
    L : 광각 줌렌즈의 전장
    D2W: 광각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
    D2T: 망원단에서의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0.5 < (D2T- D2W) / √(fW×fT) < 2.0
    fW: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 거리
    fT: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 거리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1.3 < |fI/ fIII|< 2.0
    fI: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
    fIII: 제3렌즈군의 초점 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렌즈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오목한 제2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3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4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5렌즈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제6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이 볼록한 제7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제8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에 조리개가 장착되고, 상기 조리개는 주밍시에 제2렌즈군과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KR2019990002169U 1999-02-11 1999-02-11 광각 줌렌즈 KR200241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169U KR200241950Y1 (ko) 1999-02-11 1999-02-11 광각 줌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169U KR200241950Y1 (ko) 1999-02-11 1999-02-11 광각 줌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65U KR20000016965U (ko) 2000-09-25
KR200241950Y1 true KR200241950Y1 (ko) 2001-09-25

Family

ID=5475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169U KR200241950Y1 (ko) 1999-02-11 1999-02-11 광각 줌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9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65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0624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684155B2 (en) Optical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606548B2 (ja) 3群ズームレンズ
US7126762B2 (en) Zoom lens system, imaging device, and camera
JP3845967B2 (ja) ズームレンズ
JP4323796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9143557B (zh) 变焦透镜和图像拾取装置
JP436606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カメラ
US7961404B2 (en) Zoom lens
JP4847091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US7457045B2 (en) Zoom lens
JP3619117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US7961403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679836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7106522B2 (en) Zoom lens
JP2004325566A (ja) ズームレンズ
KR200241950Y1 (ko) 광각 줌렌즈
JPH0933808A (ja) ズームレンズ
KR100467954B1 (ko) 소형 줌 렌즈
KR100363964B1 (ko) 소형 줌 렌즈
JPH0933807A (ja) ズームレンズ
KR100389529B1 (ko) 소형 줌 렌즈
KR100373929B1 (ko) 소형 줌 렌즈
KR100477923B1 (ko) 소형 줌렌즈
KR100467955B1 (ko) 줌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