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13Y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13Y1
KR200241313Y1 KR2020010006455U KR20010006455U KR200241313Y1 KR 200241313 Y1 KR200241313 Y1 KR 200241313Y1 KR 2020010006455 U KR2020010006455 U KR 2020010006455U KR 20010006455 U KR20010006455 U KR 20010006455U KR 200241313 Y1 KR200241313 Y1 KR 200241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ope
resin pipe
clamp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20010006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13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들을 서로간을 끌어당겨 양측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는 긴장로프와; 상기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키는 융착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감으면서 플랙시블하고 인장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로프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서로를 끌어 당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긴장로프와; 상기 긴장로프의 양단에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연결 설치되는 긴장로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와 긴장로프간에 각각 설치되는 수동조임구와; 상기 양측 합성수지관간에 개재되는 융착링으로;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연결장치로 여러 사이즈의 합성수지관에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부품이 단순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A linking device for plastic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관의 둘레에 고정되는 클램프를 수동조임구를 가지는 플랙시블한 로프클램프로 구성하고, 또 양측 관을 밀착시키는 장치 또한 로프 및 이 로프를 감아 긴장시킬 수 있는 수동조임구로 구성하여 제품의 가격을 낮춤과 아울러 어떠한 사이즈나 합성수지관의 접속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또 융착링의 결합홈 내에 패킹을 설치하면서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연결된 합성수지관의 수밀성을 높이고 또 견고한 결합을 가지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유연성과 적정강도를 가지면서 내부식성이 양호하므로 지하에 매설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용도 즉, 하수도 배수로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배수로관으로 사용할 때에는 연결부에 수밀성을 확보하여 누수에 의한 지하수를 오염 및 토양의 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점 등을 방지해야 한다.
종래의 합성수지관은 연결 시공시 연결되는 단부에 성형기를 이용하여 플랜지를 현장에서 성형하고 서로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관은 그 크기가 각기 다르므로 성형기를 크기별로 각각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또한, 성형기의 부피가 커 시공시 현장여건에 따라 그 성형작업이 곤란할 때가 많았다.
또한, 현장에서 성형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수지를 용융시켜야 하는 작업등과 같은 제반 작업들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감아 압박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일측단에 플랜지를 가지는 짧은 관을 2등분하여 두 개의 몸체로 구성하고, 절단된 일측단은 힌지결합하여 개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반대측 단부는 직각으로 접어 이에 조임구를 설치한 한 쌍의 클램프와, 클램프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양측 클램프의 플랜지를 밀어 밀착시키는 유압잭과,
상기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가 도통되면 발열하여 상기 유압잭에 의해 밀착되는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키는 융착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제2001-5467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관경 변화에도 어느 정도 대응 할 수가 있었으나, 관경의 차이가 많을 경우에는 그에 맞는 별도의 클램프의 사이즈를 사용해야 했다.즉, 합성수지관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사이즈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만 했다.
또한 합성수지관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압잭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높아지고 또 시공시 휴대해야 할 부대 장비들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융착링의 내부에 단순히 양측 합성수지관을 삽입시키는 구조로 결합함에 따라 융착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수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빠지게 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연결될 합성수지관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수동조임구를 가지는 플랙시블한 로프클램프로 형성함과 동시에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는 수단 또한 수동조임구를 가지는 긴장로프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연결장치로 여러 사이즈의 합성수지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구비하고, 또 부품을 단순화하여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며, 또 융착링의 결합홈 내에 패킹을 설치하면서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연결된 합성수지관의 수밀성을 높이고 또 견고한 결합을 가지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들을 서로간을 끌어당겨 양측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는 긴장로프와; 상기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키는 융착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감으면서 플랙시블하고 인장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로프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서로를 끌어 당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긴장로프와; 상기 긴장로프의 양단에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연결 설치되는 긴장로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와 긴장로프간에 각각 설치되는 수동조임구와; 상기 양측 합성수지관간에 개재되는 융착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합성수지관 10a,10b - 로프클램프 12,22 - 연결고리
20a,20b - 긴장로프 30a,30b - 수동조임구 31 - 본체
32 - 회전축 33 - 래칫휠 34 - 작동바
35 - 래칫 36 - 연결고리 40 - 융착링
41 - 결합홈 42 - 패킹홈 43 - 패킹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클램프와;이 클램프들을 서로간을 끌어당겨 양측 합성수지관(1a)(1b)을 밀착시키는 긴장로프와; 상기 합성수지관(1a)(1b)을 융착시키는 융착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상기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둘레를 감으면서 플랙시블하고 인장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로프클램프(10a)(10b)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상기 로프클램프(10a)(10b)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프클램프(10a)(10b)의 연결고리(12)와;상기 로프클램프(10a)(10b)의 양측에 서로를 끌어 당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긴장로프(20a)(20b)와;상기 긴장로프(20a)(20b)의 양단에는 로프클램프(10a)(10b)의 연결고리(12)와 연결 설치되는 긴장로프(20a)(20b)의 연결고리(22)와;상기 로프클램프(10a)(10b)와 긴장로프(20a)(20b)간에 각각 설치되는 수동조임구(30a)(30b)와;상기 양측 합성수지관(1a)(1b)간에 개재되는 융착링(40)으로;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융착링(40)은 그 결합홈(41)의 내벽면에는 패킹홈(42)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42)에는 타원형 패킹(43)이 결합되며, 상기 타원형 패킹(43)은 그 패킹 단면의 장축방향이 내향되게 설치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프클램프(10a)(10b)와, 양측 로프클램프(10a)(10b)의 양측에 설치되어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는 긴장로프(20a)(20b)로 구성되고, 이 로프클램프(10a)(10b)와 긴장로프(20a)(20b)에는 각각 수동조임구(30a)(3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합성수지관(1a)(1b)의 사이에는 융착링(40)이 개재된다.
상기 한 쌍의 로프클램프(10a)(10b)는 플랙시블하고 인장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며, 결합후 일측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더라도 결합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큰 판형 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클램프(10a)(10b)는 다양한 크기의 합성수지도 감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일측단에는 수동조임구(30a)가 설치된다.
상기 수동조임구(30a)는 본체(31)에 축착된 회전축(32)과,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래칫휠(33)과, 이 래칫휠(33)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35)와, 래칫휠(33)이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35) 및 타측 로프단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3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프클램프(10a)(10b)의 양측에는 긴장로프(20a)(20b)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12)가 구비된다.
상기 긴장로프(20a)(20b)는 로프클램프(10a)(10b)와 같이 인장력이 높고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로프클램프(10a)(10b)의 연결고리(12)와 연결되는 연결고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긴장로프(20a)(20b)의 일측에는 로프클램프(10a)(10b)에 설치된 동일한 구조의 수동조임구(30b)가 설치된다.설치 편의상 수동조임구(30b)를 긴장로프(20a)(20b)의 일단에 설치하고, 또 수동조임구(30b) 일단에 연결고리(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융착링(40)의 양측 결합홈(41)의 내벽면에는 패킹(43)이 설치되는 바, 즉, 내벽면에 패킹(43)이 설치될 패킹홈(42)을 형성하고, 이에 패킹(43)을 결합하되, 패킹(43)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결합시 삽입되는 합성수지관(1a)(1b)이 역으로 빠지지 않도록 패킹(43)의 단면 장축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합성수지관(1a)(1b)을 연결코자 할 때에는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을 근접시키면서 그 사이에 융착링(40)을 개재시킨 후 로프클램프(10a)(10b)를 양측 합성수지관(1a)(1b)에 감아 자유단을 수동조임구(30a)에 연결시켜 조여 각 합성수지관(1a)(1b)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양측의 연결고리(12)에 긴장로프(20a)(20b)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고리(22)를 연결시킨 후 수동조임구(30b)를 작동시켜 긴장시킨다.
상술한 수동조임구(30a)(30b)를 작동시킬 때 에는 작동레버(35)를 왕복 운동시키면 래칫휠(33)이 회전되어 회전축(32)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래칫휠(33)은 래칫(35)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시켜 고조되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동조임구(30b)의 작동으로 긴장되는 긴장로프(20a)(20b)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a)(1b)이 충분히 밀착된 상태가 되면, 융착링(40)에 전기를 가하여 열융착시킨다.
융착이 이루어지면 로프클램프(10a)(10b)와 긴장로프(20a)(2b)의수동조임구(30a)(30b)의 래칫(35)을 래칫휠(33)로부터 해지시켜 합성수지관(1a)(1b)로부터 연결장치를 해체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만일, 시공 완료된 상태에서 융착부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더라도 융착링(40)에 개재된 패킹(43)에 의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합성수지관(1a)(1b)이 융착링(40)으로부터 빠지도록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패킹(43)이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양호한 수밀성을 확보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연결될 합성수지관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수동조임구를 가지는 플랙시블한 로프클램프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는 수단 또한 수동조임구를 가지는 긴장로프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연결장치로 여러 사이즈의 합성수지관에 호환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부품이 단순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융착링의 결합홈 내에 타원형 패킹이 내향되게 설치되어 있어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외력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빠지지 않게 되므로 연결된 합성수지관의 수밀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클램프와;
    이 클램프들을 서로간을 끌어당겨 양측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는 긴장로프와; 상기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키는 융착링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둘레를 감으면서 플랙시블하고 인장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로프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의 양측에 서로를 끌어 당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긴장로프와;
    상기 긴장로프의 양단에는 로프클램프의 연결고리와 연결 설치되는 긴장로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로프클램프와 긴장로프간에 각각 설치되는 수동조임구와;
    상기 양측 합성수지관간에 개재되는 융착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링은 그 결합홈의 내벽면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는 타원형 패킹이 결합되며, 상기 타원형 패킹은 그 패킹 단면의 장축방향이 내향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20010006455U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41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55U KR200241313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55U KR200241313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472A Division KR20020072469A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13Y1 true KR200241313Y1 (ko) 2001-10-06

Family

ID=7309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55U KR200241313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3902T3 (es) Dispositivo de anclaje para acoplamiento de tubo.
IL153222A (en) Internal gasket for pipe connector
KR200241313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JP2003074772A (ja) 合成樹脂管用パイプジョイント
KR20020072469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A2322919C (en) Stab joint coupling
KR20210107519A (ko) 클램프 타입 배관 조인트 모듈
KR200314162Y1 (ko) 누수방지대
KR200395103Y1 (ko) 편수관용 수밀 연결구조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163972Y1 (ko) 관연결용클램프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KR200197244Y1 (ko) 관 연결용 커넥터
KR200245143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위치고정구
KR200269749Y1 (ko) 신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