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287Y1 -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287Y1
KR200241287Y1 KR2020000033351U KR20000033351U KR200241287Y1 KR 200241287 Y1 KR200241287 Y1 KR 200241287Y1 KR 2020000033351 U KR2020000033351 U KR 2020000033351U KR 20000033351 U KR20000033351 U KR 20000033351U KR 200241287 Y1 KR200241287 Y1 KR 200241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hases
breaker
load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엘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엘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엘컴스
Priority to KR2020000033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287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3상회로의 송배전 상에서의 단선 및 부하단 선로의 단선,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는 목적의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모터 결상 보호용 제품으로는 과부하계전기에 의해 부하에 일정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자접촉기의 동작으로 차단기를 OFF시켜 부하를 정지시킵니다. 전류 가조정 방식으로 모터 전 부하 전류를 설정하는 형태로서 차단기 및 전자접촉기와 부하측 사이에 연결 사용하게 되어 있어 별도의 장치로 사용하게 되며 외부 송배전 상에서 3상중 한 상의 단선이나 정전되었을때 기존의 과부하 계전기는 감지하지 못해 3상중 한 상의 단선으로 2상으로 운전되어 부하 측에 연결된 모터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하고자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여 3상 R상, S상, T상 각각을 각각의 유도 트랜스 코일에 1회 감아 부하 측에 연결 하므로 서 유도 트랜스 코일에서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 3상의 선을 각각 감지하게 되며 3상중 단 한 상이라도 이상 유무가 감지되면 부저로 알려줌과 동시에 차단기를 OFF 시켜 부하 측에 연결된 모타를 보호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본 고안은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기술로서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회로가 내장된 기술이다.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는 송배전 계통에 있어 부하를 접속했다, 떼었다, 회로가 단락 되었다, 누전 되었다 하는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등에 동작하도록 제작된 전기기구로서 과전류, 누전, 단락, 자동으로 차단기를 오프(off)되게 제작되어 있다.
또한 과전류 계전기는 부하에 연결된 모터의 전류를 감시하여 모터의 과부하시 자동으로 차단기를 OFF 시켜 부하를 정지시킵니다. 기존의 전류 가조정 방식을 사용 시에는 배선용 차단기 외 전자 접촉기등과 함께 별도의 장치로 사용이 되고 있으며 송배전에 있어 3상중 한 상의 단선이나 정전시 기존의 과전류 계전기는 감지하지 못해 부하 측에 연결된 모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설치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D)의 부하 측에 연결 사용되는 모터(C)를 보호하기 위해 기존의 과전류 계전기를 별도 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3상의 단선 및 정전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여 부하 측에 연결된 모터(C)를 단선에 의한 부하 측의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고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는 기술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결선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선 세부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상 보호 배전용 차단기(D) 내부에 별도의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고 부하 측으로 연결되는 3상 각각에 유도 트랜스 코일(4)에 1회 감아 통과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은 3상의 인입측 상에서 결선 하여 정류회로(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부하 측 3상 R상, S상, T상을 각각 유도 트랜스 코일(4)을 통해(1회 감아) 부하 측으로 연결이 되어 각각에 연결된 3개의 유도 트랜스 코일(4)이 각 상의 전류를 감시한다.
유도 트랜스 코일(4)과 연결된 MPU(IC1)에서는 정상시 각상은 로우(LOW)상태로 유지하다 3상중 한 상에서라도 단선이나 정전 이상이 감지되면 하이(HIGH)상태로 리셋 되게 되어 자동으로 부저(B)가 동작을 하고 차단기 스위치가 오프(off)되게 된다.
전술한 기술 내용으로부터 자명하듯이 본 고안은 결상 보호 회로(D)가 내장된 배선 차단기에 관한 기술로서 종전의 과전류 계전기는 전류 가조정 방식으로 정확히 3상중 한 상의 단선 이상 유무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 와 전자 접촉기 등과 함께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여 기존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하던 것을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 부하 측으로 연결되는 3상 R상, S상, T상 각각의 선을 각각의 유도 트랜스 코일(4)에 감아 출력하므로 서 3상 중 단 한 상이라도 단선 이상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차단기를 OFF 시켜 부하를 정지시킵니다.
이로서 본 고안의 효과는 안정된 모터의 사용과 모터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크며 배선 차단장치와 전자 접촉기 외 별도의 장치를 결선 사용할 필요가 없이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내장된 결상 보호 회로에 의해 기존에 별도 장치로 사용하던 과전류 계전기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Claims (1)

  1.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D)에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되어 3상을 각각 측정하는 것에 있어,
    결상 보호 배선용 차단기(D)에 결상 보호 회로를 내장하고 부하 측(C)으로 출력되는 3상 R상, S상, T상 각각의 선을 각각의 유도 트랜스 코일(4)에 감아 출력하며 유도 트랜스 코일(4)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유도하여 송배전 및 부하 측에서 발생하는 단선에 따른 이상 유무를 MPU(IC1)가 감시하고 이상시 부저(B)를 통해 알려주며 자동으로 차단기를 OFF 시켜 부하를 정지시키는 것에 관해
    전원은 3상의 인입측 상에서 결선 하여 정류회로(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부하 측 3상 R상, S상, T상을 각각 유도 트랜스 코일(4)을 통해(1회 감아) 부하 측으로 연결이 되어 각각에 연결된 3개의 유도 트랜스 코일(4)이 각 상의 전류를 감시한다.
    유도 트랜스 코일(4)과 연결된 MPU(IC1)에서는 정상시 각상은 로우(LOW)상태로 유지하다 3상중 한 상에서라도 단선이나 정전 이상이 감지되면 하이(HIGH)상태로 리셋 되게 되어 자동으로 부저(B)가 동작을 하고 차단기 스위치가 오프(off)되게 되는 특징을 가진 결상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2020000033351U 2000-11-28 2000-11-28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200241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51U KR200241287Y1 (ko) 2000-11-28 2000-11-28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51U KR200241287Y1 (ko) 2000-11-28 2000-11-28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287Y1 true KR200241287Y1 (ko) 2001-09-26

Family

ID=7309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51U KR200241287Y1 (ko) 2000-11-28 2000-11-28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2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50B1 (ko) * 2001-11-16 2004-10-08 김무성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KR20180134357A (ko) * 2016-04-11 2018-12-18 페스툴 게엠베하 차단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공작 공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50B1 (ko) * 2001-11-16 2004-10-08 김무성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KR20180134357A (ko) * 2016-04-11 2018-12-18 페스툴 게엠베하 차단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공작 공구
KR102384091B1 (ko) 2016-04-11 2022-04-06 페스툴 게엠베하 차단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공작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6302B2 (ja) 多相地絡障害回路遮断器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963670B1 (en) Neutral pole current transformer module for circuit breaker and neutral pole current detec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KR101320373B1 (ko)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JP7263251B2 (ja) 配電系統電源線路故障時のリアルタイム探知/復旧システム及びその工事方法
US5793587A (en) Dual trip level ground fault interrupter
KR20200018514A (ko)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KR20100111645A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100795037B1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101245748B1 (ko)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KR200241287Y1 (ko) 결상 보호 회로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US3678338A (en) Protective automatically disconnectable grouping means for an ungrounded a.c.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O2010112083A1 (en) Electric break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 breaker circuit
KR20190096634A (ko) 모터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기 제어반
KR101813673B1 (ko) 단락전류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 장치, 분전반 및 케이블 릴 장치
EP1435127B1 (en) Residual current operated circuit breaker
KR20120000053U (ko) 간소화된 전력감시형 삼상기기 보호계전장치
JP5137226B2 (ja) 回路遮断器
JPH05122835A (ja) 電力系統における逆潮流防止装置
JP2783313B2 (ja) 異常電圧保護付き低圧開閉装置
CN211151503U (zh) 一种多路智能配电箱
CN214204937U (zh) 一种基于全控混合桥式高温超导限流器的110kV变电站
KR102237081B1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970003745Y1 (ko) 결상시 보호 가능한 누전 차단기
JP5424362B2 (ja) 住宅用分電盤
CN203587751U (zh) 便携式智能开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