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64Y1 -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 Google Patents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64Y1
KR200240264Y1 KR2019990001092U KR19990001092U KR200240264Y1 KR 200240264 Y1 KR200240264 Y1 KR 200240264Y1 KR 2019990001092 U KR2019990001092 U KR 2019990001092U KR 19990001092 U KR19990001092 U KR 19990001092U KR 200240264 Y1 KR200240264 Y1 KR 200240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rying
blower fan
grain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348U (ko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최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준 filed Critical 최병준
Priority to KR2019990001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64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농산물)이나 가축사료와 같은 저장물(이하 '곡물'이라 칭함) 을 건조 및 저장하는 시설인 사이로(silo)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곡물의 산지(産地)나 집하장 및 출하장에 주로 설치되는 종래의 곡물저장 사이로(2)는 도 1과 같이 하부 기류실(20)을 통하여 곡물층의 하부부터 송풍을 실시하여 기류를 강제로 밀어내면서 건조하는 구성이므로 송풍팬(24)의 용량이 커질 뿐 아니라, 저장실(8)의 하부에 쌓인 곡물(6)은 건조가 빨라 과(過)건조되므로 도정할 때 쇄미 발생율이 높아지고 곡물의 품질저하와 손실이 우려되며, 저장실(8)의 상부에 쌓인 곡물(6)은 습기를 흡수하여 머금고 상승하는 기류에 의해 건조되므로 건조속도가 점차적으로 느려져 미 건조되므로 부패하거나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가져와 곡물의 품질저하와 손실의 원인이 된다.
또한, 곡물(6)의 교반이나 건조 중에 발생한 먼지와 이물질들이 공급되는 기류에 의해 정화없이 배기구(12)로 직접 배출되므로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이 되며, 배기구(12)의 말단부에 도 2와 같은 집진장치(40)를 설치하여 바깥으로 배출되는 기류가 집진되게 한 구성의 사이로(2a)도 있으나 배출부하 증가에 따른 송풍팬(24)의 용량 증가와 곡물(6) 하부층의 과 건조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등의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장하는 곡물을 상ㆍ하 교대로 통풍시켜 균일한 건조를 달성함으로써 과 건조나 미 건조와 같은 불량건조에 따른 곡물손실과 품질저하 및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Silo which grains are dried equally}
본 고안은 곡물(농산물)이나 가축사료와 같은 저장물(이하 '곡물'이라 칭함)을 건조시키면서 저장하는 시설인 사이로(silo)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장하는 곡물을 상ㆍ하 교대로 통풍시켜 균일한 건조를 달성함으로써 과 건조나 미 건조와 같은 불량건조에 따른 손실과 품질저하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과(過)건조는 도정할 때 쇄미 발생율이 높아져 곡물의 품질저하와 손실의 원인이 되고, 반대로 미 건조된 경우 부패하거나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가져와 곡물의 손실과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대표적인 곡물이 하나로 볼 수 있는 벼의 경우 집하장이나 출하장에서 산물형태(물벼)로 대량(300 톤 전ㆍ후의 규모) 저장할 때 벼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벼의 적당하고 균일한 건조(약 15% 전후) 및 저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편, 도 1은 곡물의 산지(産地)나 집하장 및 출하장에 주로 설치되는 곡물건조 및 저장용 사이로(2)의 단면 구성도로, 금속판재나 콘크리트재 등을 이용하여 원통형(또는 사각형이나 다각형) 벽체(4)를 빙둘러 설치함으로써 그 내부에 벼와 같은 곡물(6)을 건조 및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8)을 형성하고, 저장실(8)의 상부에는 곡물을 고르게 투입하는 균분기(10)와 복수 개의 배기구(air vent:12)를 갖는 지붕(14)을 설치하고, 저장실(8)의 다공판(16)에는 곡물(6)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무수한 기공을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다공판(16)의 하부에는 기류실(20)을 형성하고, 벽체(4)의 일측에는 상기 기류실(20)과 연결되는 급기구(22)를 형성한 다음 사이로(8)의 바깥에 설치되는 송풍팬(24)을 연결하여 곡물(6) 건조용 기류(氣類:공기)를 저장실(8)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공판(16)에는 건조된 곡물(6)을 필요한 양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게이트(26)(28)를 설치하고, 다공판(16)의 상부면에는 구동수단(30)에 의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을 하면서 다공판(16)에 잔류하는 곡물(6)을 중앙에 위치하는 게이트(26)로 이송 배출시키는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를 설치하고, 저장실(8) 내에는 공전수단(34)과 자전수단(36)을 갖는 복수 개의 교반장치(38)를 수직으로 설치한 것으로, 송풍팬(24)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를 기류실(20)로 압송하면 다공판(16)의 기공과 저장실(8)을 상승하여 곡물(6)을 건조시키면서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사이로(2)는 하부 기류실(20)을 통하여 곡물층의 하부부터 송풍을 실시하여 건조시키는 구성이므로 저장실(8)의 하부에 쌓인 곡물(6)은 건조가 빨라 과 건조되고, 저장실(8)의 상부에 쌓인 곡물(6)은 건조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져 미 건조되므로 불균일(건조불량)한 건조가 발생된다.
즉, 복수 개의 교반장치(38)를 이용하여 저장곡물(6)을 상ㆍ하로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더라도 기류와 접촉이 많은 저장실(8)의 하부는 과 건조가 발생되며, 또한 상승하는 기류가 하부에 쌓인 곡물(6)의 수분(습기)을 흡수하여 머금고 상승하게 되므로 저장실(8)의 상부로 올라갈수록 곡물(6)의 건조속도가 점차적으로 느려지므로 곡물(6)의 상ㆍ하부에 미 건조층과 과 건조층이 각각 발생될 뿐 아니라, 스크레이퍼(32)와 교반장치(38)가 닿지 않는 하부 부분의 과 건조는 더욱 심한 편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 건조되는 부분의 곡물은 도정할 때 쇄미 발생율이 높아져 곡물의 품질저하와 손실이 우려되며, 반대로 미 건조된 부분의 곡물은 부패하거나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가져와 곡물의 손실과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용 기류를 송풍팬(24)을 이용하여 강제로 밀어내는 구조이므로 곡물층을 통과하면서 기류의 배출부하(유체부하)가 발생되고 송풍팬(24)의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물(6)의 교반이나 건조 중에 발생한 먼지와 이물질들이 공급되는 기류에 의해 정화없이 배기구(12)로 직접 배출되므로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이 될 뿐 아니라 배기구(12)를 통하여 빗물 등이 누수 및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사이로의 배기구(12) 말단부에 집진장치(40)를 설치하여곡물(6)의 교반이나 건조 중에 발생한 먼지와 이물질들이 공급되는 기류에 의해 바깥으로 배출될 때 집진장치(40)에 의한 집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기오염의 원인을 해소한 집진 배출방식 사이로(2a)를 도시한 것으로, 대기오염 방지효과는 있으나 배출되는 기류가 집진장치(40)에 의해 배출부하가 상승되며, 배출부하 상승에 따른 손실보상을 위하여 송풍팬(24)의 용량을 증가시켜야되는 부담요인이 있으며, 이로 인한 전력소모 증가와 곡물(6) 하부층의 과 건조현상이 더욱 심화되며 집진에도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과 건조 현상 때문에 눈 또는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밤에 간헐적으로 사용하게되는 보조 건조열원인 버너를 이용한 건조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곡물을 건조할 때 곡물하부로 일정시간 상온 통풍시켜 건조한 다음 곡물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온통풍을 실시하는 작업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곡물전체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벼나 사료와 같은 곡물을 건조 및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이 형성되고, 저장실의 상부에 곡물 투입용 균분기와 복수 개의 흡ㆍ배기구를 갖는 지붕이 설치되고, 곡물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기공이 조밀한 간격으로 무수히 형성된 다공판의 하부에 기류실이 형성되고, 벽체의 일측에 상기 기류실과 연결되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곡물 건조용 기류(氣類:공기)가 저장실로 공급되고, 다공판에 복수 개의 게이트가 설치되고, 다공판의 상부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다공판에 잔류하는 곡물을 중앙에 위치하는 게이트로 이송 배출시키는 스크류형 스크레이퍼가 설치된 곡물저장 사이로(silo)에 있어서, 급기구의 반대편에 흡기구을 형성하고, 상기 흡기구에 흡입팬을 연결하고, 급기구와 흡기구에 구동수단에 의해 개ㆍ폐되는 급기밸브와 흡기밸브를 각각 설치하여 기류(氣類)를 저장실의 상ㆍ하부로 교대 공급하여 곡물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흡입팬을 삭제하는 대신 한 개의 송풍팬과 복수 개의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기류를 저장실의 상ㆍ하부로 교대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곡물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공판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스크류형 스크레이퍼를 삭제하여 10ton~100ton 규모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마모가 심하고 고장이 잦으며 설비비가 상승되는 교반장치와, 스크류형 스크레이퍼를 삭제하여 고장 발생율과 설비비와 전력소모 및 유지비를 줄이고, 교반장치가 차지하는 약 10%의 공간에 곡물을 대신 채워 넣어 사이로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류실의 일측에 양류팬을 갖는 정ㆍ역회전형 송풍팬을 급ㆍ배기관으로 연결하여 송풍팬의 정ㆍ역회전에 따라 기류실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지게 하여 곡물의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ㆍ하 건조에 의해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므로 눈ㆍ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밤에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보조 건조열원인 버너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으며, 만약 상기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 균일한 건조를 보다 신속히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종래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2 - 종래 고안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서 상향건조 상태의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서 하향건조 상태의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서 상향 건조하는 상태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6 - 본 고안에서 하향 건조하는 상태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7 - 본 고안에서 상향 건조하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8 - 본 고안에서 하향 건조하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42)(42a)(42b)--사이로 (4)--벽체
(6)--곡물 (8)--저장실
(10)--균분기 (12)--(흡)배기구(air vent)
(14)--지붕 (16)--다공판
(20)--기류실 (22)--급기구
(24)(24a)(24b)(24c)--송풍팬 (26)(28)--게이트
(30)--구동수단 (32)--스크레이퍼
(34)--공전수단 (36)--자전수단
(38)--교반장치 (40)--집진장치
(44)--흡기구 (46)--흡입팬
(52)--급기밸브 (54)--흡기밸브
(56)--흡기구 (58)--급기구
(62)(64)(66)(70)--개폐밸브 (68)--출기관
(72)--급기관 (76)--급ㆍ배기관
도 3, 도 4는 본 고안 곡물 저장 사이로(silo)(42)의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판재나 콘크리트재 등으로 벽체(4)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벼나 사료와 같은 곡물(6)을 건조 및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8)이 형성되고, 저장실(8)의 상부에 곡물을 고르게 투입하는 균분기(10)와 복수 개의 흡배기구(air vent:12)를 갖는 지붕(14)이 설치되고, 곡물(6)이 빠질수 없도록 곡물(6)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기공이 조밀한 간격으로 무수히 형성된 다공판(16)의 하부에 기류실(20)이 형성되고, 벽체(4)의 일측에 상기 기류실(20)과 연결되는 송풍팬(24a)을 설치하여 곡물(6) 건조용 기류(氣類:공기)가 저장실(8)로 공급되고, 상기 다공판(16)에 건조된 곡물(6)을 필요한 양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게이트(26)(28)가 설치되고, 다공판(16)의 상부면에 구동수단(30)에 의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을 하면서 다공판(16)에 잔류하는 곡물(6)을 중앙에 위치하는 게이트(26)로 이송 배출시키는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가 설치된 곡물저장 사이로(silo)에 있어서, 급기구(22)의 반대편에 흡기구(44)을 형성하고, 상기 흡기구(44)에 사이로의 바깥에 설치되는 흡입팬(46)을 연결하고, 급기구(22)와 흡기구(44)에 도 3, 도 4와 같이 솔레노이드 또는 에어실린더(도시안됨)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개ㆍ폐되는 급기밸브(52)와 흡기밸브(54)를 각각 설치하여 기류(氣類)를 저장실(8)의 상ㆍ하부로 교대 공급하여 곡물(6)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5, 도 6은 본 고안 사이로(42a)의 다른 실시 예 단면 구성도로, 흡입팬(46)을 삭제하는 대신 한 개의 송풍팬과 복수 개의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기류(氣類)를 저장실의 상ㆍ하부로 교대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곡물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공판(16)의 상부면에 구동수단(30)에 의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을 하면서 다공판(16)에 잔류하는 곡물(6)을 중앙에 위치하는 게이트(26)로 이송 배출시키는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를 삭제하여 10ton~100ton 규모의 곡물(6)을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즉, 도 5, 도 6과 같이 사이로(42)의 바깥측에 흡기구(56)와 급기구(58)를 갖는 송풍팬(24b)을 설치하고, 상기 흡기구(56)와 급기구(58)는 사이로(42)의 기류실(20)에 연결하고, 흡기구(56)와 급기구(58)에는 개폐밸브(62)(64)를 각각 설치하고, 송풍팬(24b)과 개폐밸브(64)사이의 급기구(58) 부분에는 개폐밸브(66)를 갖는 출기관(68)을 연결하고, 송풍팬(24b)과 또 다른 개폐밸브(62) 사이의 흡기구(56) 부분에는 개폐밸브(70)를 갖는 급기관(72)을 연결하여 기류실(20)로 곡물 건조용 기류를 공급하거나 배기하여 저장실(8)의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의 경우 송풍팬(24b)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복수 개의 개폐밸브(62)(64)(66)(70)를 조작하여 기류의 방향을 변환시켜 줌으로써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져 곡물(6)의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며, 복수 개의 개폐밸브(62)(64)(66)(70)는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 또는 에어실린더(도시안됨)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개ㆍ폐되도록 한다.
도 7, 도 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이로(42b) 단면도로, 기류실(20)의 일측에 양류팬을 갖는 정ㆍ역회전형 송풍팬(24c)을 급ㆍ배기관(76)으로 연결하여 송풍팬(24c)의 정ㆍ역회전에 따라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지므로 곡물(6)의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게 한 것으로, 도 7은 곡물(6)의 상향건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곡물(6)의 하향건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60)은 배출되는 곡물을 이송하는 컨베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은 균분기(10)를 통하여 저장실(8)로 곡물(6)을 고르게 투입한 다음 송풍팬으로 곡물 건조용 기류를 공급하여 곡물(6)을 건조 및 저장하고, 건조된 곡물은 복수 개의 배출구(26)(28)를 통하여 배출 컨베어(60)로 배출시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 3과 같이 급기구(22)에 위치하는 개폐밸브(52)를 개방시키고, 흡기구(44)에 위치하는 개폐밸브(54)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송풍팬(24a)을 가동시키면 송풍팬(24a)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 건조용 기류가 급기구(22)→ 다공판(16)→ 곡물(6)→ 흡ㆍ배기구(12)를 통하여 사이로(42)의 바깥으로 배출되므로 곡물(6)의 상향건조가 달성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급기구(22)에 위치하는 개폐밸브(52)를 폐쇄시키고, 흡기구(44)에 위치하는 개폐밸브(54)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흡입팬(46)을 가동시키면 흡입팬(46)의 흡입력에 의해 사이로(42)의 바깥에 위치하는 곡물 건조용 기류가 흡ㆍ배기구(12)를 통하여 저장실(8)로 흡입된 다음 곡물(6)→ 다공판(16)→ 기류실(20)→ 흡기구(44)→ 흡입팬(46)을 차례로 통과하여 사이로(42)의 바깥으로 배출되므로 곡물(6)의 하향건조가 달성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곡물(6)의 상향건조와 하향건조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곡물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송풍팬(24a)과 흡입팬(46)의 출력을 다소 증가시켜 기류의 배출력이나 흡입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저장실(8) 내에는 공전수단(34)과 자전수단(36)을 갖는 복수 개의 교반장치(38)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따라서 마모가 심하고 고장이 잦으며 설비비가 상승되는 교반장치(38)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발생율과 설비비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교반장치(38)가 차지하는 약 10%의 공간에 곡물(6)을 대신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사이로(42)의 저장용량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의한 경우 단일의 송풍팬(24b)과 복수 개의 개폐밸브(62)(64)(66)(70)를 이용하여 곡물(6)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흡기구(56)의 개폐밸브(62)와 출기관(68)의 개폐밸브(66)를 각각 폐쇄시키고, 급기구(58)의 개폐밸브(64)와 급기관(72)의 개폐밸브(7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송풍팬(24b)을 가동시키면 송풍팬(24b)에 의해 급기관(72)으로 흡입된 곡물 건조용 기류가 송풍팬(24b)→ 급기구(58)→ 기류실(20)→ 다공판(16)→ 곡물(6)→ 저장실(8)→ 흡ㆍ배기구(12)를 통하여 사이로(42)의 바깥으로 배출되므로 곡물(6)이 상향 건조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흡기구(56)의 개폐밸브(62)와 출기관(68)의 개폐밸브(66)를 각각 개방시키고, 급기구(58)의 개폐밸브(64)와 급기관(72)의 개폐밸브(7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송풍팬(24b)을 가동시키면 송풍팬(24b)의 흡입력에 의해 사이로(42) 바깥의 기류가 흡ㆍ배기구(12)→ 저장실(8)→ 곡물(6)→ 다공판(16)→기류실(20)→ 흡기구(56)→ 송풍팬(24b)→ 출기관(66)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사이로(42)의 바깥으로 배출되고 곡물(6)은 하향 건조된다.
상기의 경우 송풍팬(24b)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복수 개로 구성된 개폐밸브(62)(64)(66)(70)의 개ㆍ폐 상태를 주기적으로 조작하여 기류의 방향을 변환시켜 줌으로써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져 곡물(6)의 상향건조와 하향건조가 교대로 달성되므로 저장실(8)내의 곡물(6)을 균일하게 건조 및 저장할 수 있다.
마모가 심하고 고장이 잦으며 설비비가 상승되는 교반장치(38)와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발생율과 설비비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교반장치(38)가 차지하는 약 10%의 공간에 곡물(6)을 대신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사이로(42)(42a)(42b)의 저장용량이 커지는 효과가 있으며, 곡물(6)의 저장용량을 10ton~100ton 규모로 줄일 수 있어서 유지비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출기관(68)의 개폐밸브(66)와 흡기구(56)의 개폐밸브(62)는 한 조를 이루어 연동되게 하고, 급기관(72)의 개폐밸브(70)와 급기구(58)의 개폐밸브(66)가 한 조를 이루어 연동되게 함으로써 기류(氣流)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 도 8과 같이 기류실(20)의 일측에 양류팬을 갖는 정ㆍ역회전하는 송풍팬(24c)을 급ㆍ배기관(76)으로 연결한 경우 송풍팬(24c)의 정ㆍ역회전에 따라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지므로 곡물(6)의 상향건조와 하향건조가 이루어지므로 곡물(6)의 균일한 건조가 달성된다.
본 고안에서 흡ㆍ배기구(12)와 출기관(68) 및 급기관(72)에 쥐 등이 출입할 수 없게 차단망을 설치하고, 기류의 출구에 집진장치, 싸이클론, 백필터 등을 택일적으로 설치하거나 복합적으로 설치하면 배출되는 기류의 집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향건조와 하향건조에 의한 균일건조가 달성되므로 눈ㆍ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밤에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보조 건조열원인 버너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으며, 만약 상기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 균일한 건조를 보다 신속히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벽체(4)의 내측면에 다공이 형성된 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하면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곡물층의 상ㆍ하부로 건조용 기류를 교대로 공급하여 건조하는 구성이므로 곡물(6)의 과건조나 미건조가 방지되고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므로 쇄미 발생율이 낮아지고 곡물의 변질과 부패와 품질저하 및 손실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조 작업할 때 곡물하부로 일정시간 상온 통풍시켜 건조한 다음 곡물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온통풍을 실시하는 작업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곡물전체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24b)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복수 개로 구성된 개폐밸브(62)(64)(66)(70)의 개ㆍ폐 상태를 주기적으로 조작하여 기류의 방향을 변환시켜 줌으로써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져 곡물(6)의 상향건조와 하향건조가 교대로 달성되므로 저장실(8)내의 곡물(6)을 균일하게 건조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마모가 심하고 고장이 잦으며 설비비가 상승되는 교반장치(38)와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발생율과 설비비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교반장치(38)가 차지하는 약 10%의 공간에 곡물(6)을 대신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사이로(42)(42a)(42b)의 저장용량이 커지는 효과가 있으며, 곡물(6)의 저장용량을 10ton~100ton 규모로 줄일 수 있어서 유지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기관(68)의 개폐밸브(66)와 흡기구(56)의 개폐밸브(62)는 한 조를 이루어 연동되게 하고, 급기관(72)의 개폐밸브(70)와 급기구(58)의 개폐밸브(66)가 한 조를 이루어 연동되게 함으로써 기류(氣流)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로 단독으로 완벽한 건조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열풍건조기가 불필요하며, 건조속도가 빠른 건조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곡물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초기투자비(건조기, 건축비, 토지구입비 등)가 절감된다.
또한, 건조공정의 단순화로 건조작업이 쉽고 공장운영이 편리하며, 종래 사이로 보다 건조속도가 빠르므로 동일한 용량의 사이로(silo)로 많은 양의 곡물을 건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벽체(4)와 곡물 저장실(8)과 균분기(10)와 지붕(14)이 설치되고, 무수한 기공이 형성된 다공판(16)의 하부에 기류실(20)이 형성되고, 곡물 저장실(8)과 바닥에 자전 및 공전하는 교반장치(38)와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가 각각 설치되고, 벽체(4)의 일측에 기류실(20)과 연결되는 송풍팬을 설치하여서 된 곡물 저장 사이로에 있어서, 송풍팬(24a)이 연결된 급기구(22)의 반대편에 흡입팬(46)이 연결된 흡기구(44)를 기류실(20)과 통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급기구(22)와 흡기구(44)에 솔레노이드 또는 에어실린더(도시안됨)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개ㆍ폐되는 급기밸브(52)와 흡기밸브(54)를 각각 설치하여 저장실(8)의 상부와 하부로 기류(氣類)를 교대로 공급하면서 곡물(6)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흡기구(44)와 흡입팬(46)을 삭제하고, 사이로(42a)의 바깥에 흡기구(56)와 급기구(58)를 갖는 송풍팬(24b)을 설치하고, 상기 흡기구(56)와 급기구(58)는 사이로(42)의 기류실(20)에 연결하고, 흡기구(56)와 급기구(58)에는 개폐밸브(62)(64)를 각각 설치하고, 송풍팬(24b)과 개폐밸브(64)사이의 급기구(58) 부분에 개폐밸브(66)를 갖는 출기관(68)을 연결하고, 송풍팬(24b)과 또 다른 개폐밸브(62) 사이의 흡기구(56) 부분에는 개폐밸브(70)를 갖는 급기관(72)을 연결하여 기류실(20)로 곡물 건조용 기류를 공급하거나 흡기하여 저장실(8)의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교반장치(38)를 삭제하여 사이로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크류형 스크레이퍼(32)를 삭제하여 고장 발생율과 설비비와 전력소모 및 유지비를 줄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류실(20)의 일측에 양류팬이 설치된 정ㆍ역회전형 송풍팬(24c)을 급ㆍ배기관(76)으로 연결하여 송풍팬(24c)의 정ㆍ역회전에 따라 기류실(20)의 흡기와 배기가 교대로 이루어져 곡물(6)의 균일한 건조가 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KR2019990001092U 1999-01-27 1999-01-27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KR200240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92U KR200240264Y1 (ko) 1999-01-27 1999-01-27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92U KR200240264Y1 (ko) 1999-01-27 1999-01-27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48U KR19990022348U (ko) 1999-07-05
KR200240264Y1 true KR200240264Y1 (ko) 2001-09-25

Family

ID=5475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92U KR200240264Y1 (ko) 1999-01-27 1999-01-27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02A (ko) * 2001-04-13 2002-10-19 최종진 부패감지장치를 구비한 곡물저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827B1 (ko) * 2023-07-21 2024-01-02 안영일 원료 싸이로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02A (ko) * 2001-04-13 2002-10-19 최종진 부패감지장치를 구비한 곡물저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4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966B1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RU187214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шахтная жалюзийная
KR102047886B1 (ko) 복합 탈취 여재층을 갖는 하수 종말처리장의 슬러지 처리장치
CN110372172A (zh) 一种用于高含水率、高粘度污泥的低温烘干设备
CN110454796A (zh) 一种城镇垃圾卧式密闭强力干燥装置
KR101823598B1 (ko)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KR200240264Y1 (ko) 상하로 균일 건조되는 곡물저장 사이로
CN207031224U (zh) 一种污泥快速干燥设备
CN206430470U (zh) 物料干燥装置
KR200223854Y1 (ko) 상하로균일건조되는곡물저장사이로_
CN106495429B (zh) 一种污泥干燥空气源热泵系统及其污泥干燥机
CN209619162U (zh) 低温除湿污泥干化机
CN110776241A (zh) 一种余热回收烘干系统及方法
JP4129772B2 (ja) 骨材等の水分除去装置
CN2296498Y (zh) 谷物干燥机
CN211664944U (zh) 一种余热回收烘干系统
CN210580105U (zh) 粮食除湿、存储一体装置
JP3077025B2 (ja) 有機物原料連続炭化装置
JPH09159361A (ja) 穀物乾燥装置
RU2259527C2 (ru) Аэрожелоб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RU2300064C2 (ru) Сушилка конвейерная для зерна
CN205245747U (zh) 一种新型高效物料烘干系统
CN219014914U (zh) 一种砂子烘干机
CN212339766U (zh) 静态混流房式烘干机
CN215250361U (zh) 分段式污泥干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