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42Y1 -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42Y1
KR200240242Y1 KR2020010013062U KR20010013062U KR200240242Y1 KR 200240242 Y1 KR200240242 Y1 KR 200240242Y1 KR 2020010013062 U KR2020010013062 U KR 2020010013062U KR 20010013062 U KR20010013062 U KR 20010013062U KR 200240242 Y1 KR200240242 Y1 KR 200240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torage tank
cold water
cooling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윤상진
영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진, 영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상진
Priority to KR202001001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42Y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식 난방시스템과 빙축식 냉방시스템을 병렬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심야전력을 수급함에 있어서 따로따로 수급하는 것 보다 어느 하나 큰 부하를 가진 전력기기를 기준하여 한 가지로만 수전할 수 있음에 따라 심야전력의 수전을 위한 설비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울러 겨울철 난방기간에는 실내기를 온풍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데 난방수 입출구관과 냉수 입출구관 사이에 각 연통관을 설치하고 각 연통관에는 연통용 전동밸브를 장치하는 특징과 멀티형의 냉방, 멀티형의 실내 공기 난방, 방바닥 온돌 난방과 실내 공기 난방에 의한 복합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빙축시스템이 겨울철 휴지상태일 때 냉수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A heating and cooling system to made up composed of ice storage tank and hot water storage tank}
본 고안은 심야전력을 이용한 빙축열 냉방시스템과 온축열 난방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한 대의 실내기로 냉방과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과 심야전력 수전함에 있어서 축열시스템과 빙축시스템을 위한 전력 용량계약의 중복성 또는 가중성을 회피하는 수단과 실내기를 멀티형으로 용이하게 구성하는 방법과 냉수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수단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0-31503호(명칭:빙축조와 축열조를 병렬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출원일:2000.11.1)에 근거한 우선권 주장의 출원이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난방 방식은 온돌 난방 방식이 대부분이고 심야전력을 이용한 전기보일러의 축열조에 담긴 난방수는 실내의 방바닥에서 방열하도록 구성하는 반면 냉방 방식은 실내기 또는 팬코일 유니트(이하 '실내기'라 함)로 구성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방과 난방에 관한 설비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하나의 축조에 빙축용 전열관과 전기히터를 함께 내장하고 하나의 순환펌프를 설치하면 되는 것인데, 여름철 냉방을 할 때에는 심야에 냉동기를 가동하여 빙축하여 두었다가 낮에 냉방을 하는 것으로써 방바닥 난방용 난방수분배기의 밸브를 폐쇄시키고 순환펌프와 실내기를 가동시키면 되는 것이고, 겨울철 난방을 할 경우에는 심야에 전기히터를 작동시켜 온열을 축열하여 두었다가 밤과 낮에 난방을 하는 것으로써 난방수분배기의 밸브를 개방하고 순환펌프와 실내기를 가동시키는 방법으로 이점은 매우 합리적이고 바람직하지만 축열식 전기보일러의 공급이 먼저 이루어지고 난 이후 빙축열 냉방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조자는 각개 따로따로 공급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은 현실과 거리감이 있고, 또한 심야용 전력기기의 공급을 승인하는 전력회사는 하나의 축열조에 빙축과 온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에 따라 그렇게 구성하여도 이득이 없다.
이에 따라 대부분 심야전력을 이용한 난방과 냉방의 설비를 둘 다 갖출 경우에는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 임에도 불구하고 전력부하를 산정함에 있어서 합산으로 인하여 수전 계약용량이 증대되어 소비자는 과잉의 설비금을 지급해야 하고, 아니면 각각 분리한 용량을 계약함에 있어서는 전자보다 더욱 많은 부담을 가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방과 난방의 모두 갖춘 주택에서는 냉방용 에어컨은 온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음에 따라 겨울철 난방은 오직 방바닥 난방만 가능한 것이다.
종래 실내기를 이용하여 냉방용 에어컨의 기능과 난방용 온풍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사례는 대부분 실내기에 에어컨의 기능 외에 가스 혹은 오일을 연소시키는 방법과 전기히터를 내장하는 방법 그리고 히터펌프로 구성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목적은 심야전력을 이용한 빙축열 냉방시스템과 온축열 난방시스템을 동시에 설치하거나 어느 하나의 시스템이라도 먼저 설치되고 이후에 나머지 하나의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에도 실내기에 냉수 또는 난방수를 순환시켜 효과적으로 여름철 멀티형 냉방과 겨울철 방바닥 난방은 물론 냉방용 실내기에 대하여 멀티형 온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관망과 전기회로망을 구성하는 방법과 냉방부하와 난방부하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도록 전기 회로망을 구성하여 전기한 심야전력에 대한 수전 용량계약의 중복성 또는 가중성을 회피하는 수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빙축조과 축열조를 병렬로 구성한 냉난방시스템의 계통도.
도2는 도1의 다른 실시 계통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시퀀스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냉수입구밸브 10 : 냉수입구관
11 : 냉수출구밸브 12 : 냉수순환펌프
13 : 제1실내(방) 14,19 : 전동밸브
15,20 : 실내기 17 : 냉수출구관
18 : 제2실내(방) 21 : 난방수입구연통관
22 : 난방수출구연통관 23 : 난방수입구연통전동밸브
24 : 난방수출구연통전동밸브 30 : 축열조
33 : 난방수출구관 34 : 수동밸브
36 : 난방수입구관 37 : 난방수순환펌프
39,40 : 방바닥 난방코일 41 : 제1실내기제어부
42 : 제2실내기제어부 43,45 : 냉방용릴레이
44,46 : 난방용릴레이 47 : 빙축조제어부
48 : 심야전력공급선 51,52 : 실내온도조절기
53,54 : 릴레이 55 : 축열조제어부
56,57 : 브레커스위치 59 : 일반전력공급선
60 : 난방수온도조절기 62,63 : 진상콘덴서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도1을 살펴보면, 실외기(1) 내부에 구성된 압축기(2)와 응축기(3),수액기(5), 팽창밸브(6)는 냉매관(4)으로 서로 연결되고 응축기의 전방에는 송풍팬(16)이 장치되었으며 팽창밸브의 출구측 냉매관은 빙축조(7) 내 착빙용 전열관(8)에 연결되고 착빙용 전열관의 타방은 압축기(2)의 입구측에 연결되었다.
착빙용 전열관은 증발기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냉동싸이클이 형성된다.
물이 채워진 빙축조의 상부 일측 벽을 관통하여 냉수입구관(10)이 형성되어 냉수입구전동밸브(9)를 연결하여 제1, 제2 등 각 방(13)(18)의 각 실내기(15)(20)의 일단에 연결되었고, 빙축조 하부 일측 벽을 관통하여 냉수출구관(17)이 형성되어 냉수출구전동밸브(11)와 냉수순환펌프(12)를 연결하여 제1, 제2 등 각방(13) (18)의 각 실내기(15)(20)의 타단에 연결되었다.
냉수출구전동밸브(11)와 냉수순환펌프(12) 사이 냉수출구관에는 드레인공이 형성되었고 드레인밸브(25)가 체결되었다.
각 실내기의 입구 측에는 전동밸브(14)(19)가 체결되어 있고 출구 측 배관에는 드레인공이 형성되고 그 곳에도 드레인밸브(26)가 체결되었다.
심야전기보일러(이하 '축열조'라 함)(30)에도 물이 채워져 있고 축열조의 내부 하단 일측 벽면에는 전기히터(31)가 장치되었고 전기히터의 외부 벽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32)이 인출되었고 축열조 상부 일측 벽을 관통하여 난방수출구관(33)이 형성되어 수동밸브(34)를 연결하여 온수분배기(35)에 연결되었고, 축열조 하부 일측 벽을 관통하여 난방수입구관(36)이 형성되어 난방수순환펌프(37)를 연결하고 난방수수집기(38)에 연결되었으며 난방수분배기와 난방수수집기의 각 지관은 제1, 제2 등 각 방(13)(18)의 방바닥 난방코일(39)(40)을 통하여 서로 연결하고 있다.
냉수입구관(10)과 난방수입구관(36)은 난방수입구연통관(21)으로 연결되었고 난방수입구연통관에는 난방수입구연통전동밸브(23)가 장치되었으며 냉수출구관(17)과 난방수출구관(33)은 난방수출구연통관(22)으로 연결되었는데 난방수출구연통관에는 난방수출구연통전동밸브(24)가 장치되었다.
상기 냉수출구전동밸브(11)와 난방수출구연통전동밸브(24)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이 가능하며 냉수입구전동밸브(9)와 난방수입구연통전동밸브(23)도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2는 도1과 대동소이하지만 냉수출구관(17)과 난방수입구관(36)이 난방수입구연통관(21)으로 연결되었고 냉수입구관(10)과 난방수출구관(33)이 난방수출구연통관(22)으로 연결된 점이 서로 다르다.
상기 도2의 냉수출구전동밸브(11)와 난방수입구연통전동밸브(23)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이 가능하며 냉수입구전동밸브(9)와 난방수출구연통전동밸브(24)도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제어를 위한 시퀀스도로써 냉방과 난방의 제어뿐만 아니라 심야전력을 인입함에 있어서 따로따로 인입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의 인입으로 동시 부하의 발생과 상호 간섭됨이 없는 온축열과 빙축열시스템을 위한 전기 회로망의 구성을 밝히고 있다.
대체로 전력회사는 심야전력(48)을 주택에 공급함에 있어 타임스위치(49)에 의하여 심야시간대를 설정하고 그 시간대에는 타임스위치에 내장된 접점 신호에 의하여 마그네트스위치(MC1)를 접촉하도록 구성함과 심야전력의 계량을 위한 전력량계(5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심야전력은 축열조의 제어부(55)에 인입케 되는데 제어부(55)에는 심야전력이 브레커스위치(NFB1)와 마그네트스위치(MC2) 그리고 과전류계전기(OCR1)를 거쳐서 축열조에 내장된 전기히터(31)까지 연결됨에 따라 공급되고 이것의 제어를 위한 회로망은 심야전력이 아닌 일반 전력(59)이 공급되는데 마그네트스위치(MC2)의 작동을 위하여 스위치(SW1)와 난방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난방수온도조절기(60),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스위치, 온도의 과열을 인식하는 과승방지 스위치, 전기히터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계전기(OCR1) 그리고 빙축조 제어부으로부터 진입된 릴레이의 접점(x10-2)의 각 'b'접점이 직렬로 연결되었다.
상기 축열조 제어부(55)에 진입한 심야전력은 브레커스위치(NFB1)전방에서 분기하여 빙축조제어부(47)에 진입하고 브레커스위치(NFB2), 마그네트스위치(MC3), 과전류계전기(OCR2)를 거쳐 실외기(1)의 콤프레셔(2)와 응축용 송풍팬(16)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심야전력이 아닌 일반 전력(59)이 이용되는 빙축조제어부(47)의 회로망을 살펴보면, 빙축용 운전스위치(SW2)와 제빙제한계전기(FX)의 'b'접점은 릴레이(x10)의 코일에 연결되었고, 릴레이의 'a'접점(x10-1)과 냉매관의 압력 이상을 검출하는 고압리미트스위치(HPL)와 저압리미트스위치(LPL) 그리고 과전류계전기(OCR2)의 각 'b'접점을 직렬로 연결하여 마그네트스위치(MC3)의 코일에 연결되었으며 그리고 제어용 일반 전력은 제빙제한계전기(FX)에도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다.
제빙제한계전기의 하단에 구성한 것(61)은 빙축조에 내설되어 제빙의 한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본 도와 도1을 함께 살펴보면,
제1실내기(15)의 제어부(41)에 구성된 냉방신호 출력용 릴레이(43)와 난방신호 출력용 릴레이(44)가 구성되었고 냉방용 릴레이(43)의 'a-1' 접점은 빙축조 제어부(47)에 구성된 냉방릴레이(x1)의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며 난방용 릴레이(44)의 'a-1' 접점은 빙축조 제어부(47)에 구성된 난방릴레이(x2)의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실내기의 제어부(41)에 구성된 냉방용 릴레이(43)와 난방용 릴레이(44)의 각 'a-2' 접점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실내기에 내장된 냉수 또는 난방수의 개폐를 담당하는 전동밸브(14)의 스위치로 구성되었고, 실내기의 냉방용 릴레이(43)의 'a-1' 접점은 제2 실내기(20)의 제어부(42)에 구성된 냉방용 릴레이(45)의 'a-1'접점에 병렬로 연결되었으며 각 난방용 릴레이(44)(46)의 'a-2' 접점 역시 병렬로 냉방용 릴레이(43)(44)의 'a-2' 접점에 연결되었다.
빙축조 제어부(47)의 냉방용 릴레이(x1)의 접점(x1-1)은 냉수입구전동밸브(9)와 냉수출구전동밸브(11)의 스위치 역을 담당하며 같은 릴레이의 접점(x1-2)은 냉수펌프(12)의 스위치 역을 담당한다.
빙축조 제어부의 난방용 릴레이(x2)의 접점(x2-1)은 난방수입구연통전동밸브(23)와 난방수출구연통전동밸브(24)의 스위치 역을 담당하며 같은 릴레이의 접점(x2-2)은 축열조 난방수펌프(37)의 스위치(x3-1)와 병렬로 구성한다.
난방을 위한 제1실내온도조절기(51)와 제2실내온도조절기(52)의 각 릴레이(53)(54) 출력은 'a' 접점으로 구성하여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축열조 제어부(55)의 난방릴레이(x3)의 스위치 역을 담당하게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여름철에 이르게 되면 냉방을 위하여 빙축조 제어부(47)의 운전스위치(SW2)를 on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x10)가 동작하여 마그네트스위치(MC3)의 동작으로 이어지고 심야 전력 공급 시간대에 이르면 실외기(1)에 내장된 콤프레셔(2)와 송풍용 팬(16)의 가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축열조 제어부(55)에 속하는 마그네트스위치(MC2)의 동작 회로를 릴레이 접점(x10-2)이 차단함에 따라 빙축조(7) 제어부(47)의 운전 중에는 축열조(30) 제어부(55)의 운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빙축조 운전스위치(SW2)가 off 되지 않으면 축열조의 전기히터(31)는 on되지 않음에 따라 한꺼번에 축열조와 빙축조는 동시에 운전이 되지 않는 결과를 주는데 이 점이 심야전력을 수전함에 있어서 용량계약의 중복성 또는 가중성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동시 운전을 회피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릴레이(x10)의 접점(x10-2)을 축열조 제어부 마그네트스위치(MC2)의 코일에 연결하지 아니하고 반대로 축열조 제어부 마그네트스위치(MC2)의 보조'b'접점을 빙축조제어부의 마그네트스위치(MC3)의 코일에 연결하면 축열조 제어부에서 운전을 on하면 빙축조에 심야전력의 공급이 제한된다.
그리고 어느 한 제어부의 영향에 의하여 상대의 심야전력 공급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양 제어부 모두에서 상대의 심야전력 공급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지만 굳이 그렇게 구성할 필요는 없다.
실외기(1)의 운전으로 인하여 빙축조(7) 내 전열관(8)의 표면부터 얼음이 성상하게 되고 얼음이 일정에 달하면 센서(61)의 신호에 의하여 제빙제한계전기(FX)가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릴레이(x10)의 회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동 접점(x10-1)이 단락되어 마그네트스위치(MC3)의 회로를 차단하게 되는데 결국 실외기(1)의 콤프레셔(2)와 송풍팬(16)의 운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마그네트스위치(MC3)의 동작 중에 냉매의 이상 압력 혹은 실외기에 과전류가 발생하면 고압리미트스위치(HPL), 저압리미트리미트(LPL), 과전류계전기(OCR)의 차단 등으로 동작은 정지하게 되고 조치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동 리세트 버튼을 조작하여 복귀하게 된다.
낮 시간대에 이르러 제1실내기(15)의 제어부(41) 혹은 제2실내기(20)의 제어부(42)에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 '냉방'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냉방용릴레이(43)(45)가 동작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기에 내장된 전동밸브(14)(19)가 개방됨과 동시에 빙축조제어부(47)에 속하는 릴레이(x1)가 동작하게 되고 동시에 접점(x1-1), 접점(x1-2)에 의하여 냉수입구밸브(9), 냉수출구밸브(11), 냉수펌프(12)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빙축조(7)의 냉수는 냉수출구관(17)과 실내기로 흐르게 되어 냉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다시 냉수입구관(10)을 통하여 빙축조 내 상부로 회귀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실내기와 제2실내기 외에 제3, 제4의 실내기를 같은 방법으로 구성하고 '냉방'을 요구하여도 같은 결과를 가짐에 따라 멀티형 냉방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한 것인데 '냉방'을 사용하는 방은 전동밸브(14)(19)가 개방되고 사용하지 않는 방은 전동밸브가 폐쇄됨에 따라 냉수는 개방된 전동밸브로 흐르기 때문에 냉방하는 방의 실내기에서 열교환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난방수분배기와 난방수수집기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냉수를 분배하거나 수집하는 배관을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의 입구측 배관에 장치된 전동밸브는 냉수수집기에 장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실내기에 장치하는 목적은 장치를 수행할 때 냉수수집기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한 효과가 있다.
냉방을 요하는 계절이 지나면 빙축조 운전스위치(SW2)를 off시키게 되고, 이어 난방을 요하는 겨울철에 이르게 되면 수동밸브(34)를 개방해 두고 축열조의 운전스위치(SW1)를 on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스위치(MC2)가 동작하고 심야에 전력이 공급되면 축열조(30)의 전기히터(31)가 on되어 축열조에 내장된 난방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일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난방수온도조절기(60)의 신호 출력으로 마그네트스위치(MC2)를 단락 시킨다. 마그네트스위치(MC2)는 저수위를 감지하거나 난방수온도조절기의 이상으로 과열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과승방지스위치의 동작 혹은 과전류계전기(OCR1)의 동작으로도 단락될 수 있다.
제1실내온도조절기(51) 혹은 제2실내온도조절기(52)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 난방을 요하는 릴레이(53)(54) 출력신호를 발신하면 축열조 제어부(55)에 속하는 릴레이(x3)가 동작하고 이 릴레이의 접점(x3-1)에 의하여 난방수순환펌프(37)가 동작하게 되어 난방수는 난방수출구관(33)과 난방수분배기(35) 그리고 각 방바닥 난방코일(39)(40)에 흐르게 되어 실내의 방바닥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난방수는 난방수수집기(38)와 난방수입구관(36) 그리고 난방수순환펌프(37)를 통하여 축열조(30) 내 하부로 회귀하게 된다.
제1실내기의 제어부(41) 혹은 제2실내기의 제어부(42) 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 '난방'을 선택하면 각 실내기의 제어부에 내장된 난방용릴레이(44)(46)가 동작함에 따라 각 실내기에 내장된 전동밸브(14)(19)를 개방함과 동시에 빙축조제어부(47)의 릴레이(x2)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접점(x2-1)은 난방수입구연통밸브(23)와 난방수출구연통밸브(24)를 개방하고 접점(x2-2)는 축열조제어부(55)의 난방수순환펌프(37)를 가동시키게 된다.
이때 난방수는 난방수출구관(33)과 난방수출구연통관(24)을 거쳐서 실내기에 이르게 되어 실내기는 난방수와 실내의 공기와 열 교환을 실시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어 난방수는 난방수입구연통관(23)과 난방수입구관(36), 난방수순환펌프를 통하여 축열조 내 하부로 회귀하게 된다.
상기 난방의 경우도 냉방과 마찬가지로 제2, 제3, 제4 실내기에 의한 멀티형 난방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난방은 방바닥 난방과 실내기에 의한 온풍기 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임의의 선택에 의하여 별개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온풍기 난방과 방바닥 난방을 병행할 경우에는 방바닥 난방을 위한 실내온도조절기의 온도설정은 약간 높게 설정함이 타당하고 온풍기의 온도설정은 높지 않게 설정함이 타당하다.
겨울철에 실내기를 온풍기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수출구관(17)과 냉수입구관(10)에 흐르던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냉수출구관과 냉수입구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실내기의 전동밸브(14)(19)를 수동 또는 별도로 조작하여 개방해 두고 실내기의 위치가 빙축조와 비교하여 낮다면 드레인밸브(26)를 개방하면 냉수출구관과 냉수입구관의 냉수가 배출되고, 실내기의 위치가 높다면 냉수입구관은 비어 있고 냉수출구관의 드레인밸브(25)만 개방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시스템과 빙축시스템이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도 심야전력을 공급받음에 있어서 수전 계약 용량을 증설함이 없이 용량이 큰 편의 계약용량 만으로도 수전이 가능함에 따라 전력 설비의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난방이 요구되는 계절에는 축열조의 난방수를 냉방용 실내기에 진입시켜 온풍기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이 구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난방 취향에 따라 방바닥 온돌 난방과 실내의 공기 난방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편리함과 이것의 만족을 위하여 별도의 온풍기를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멀티형 실내기의 구성이 가능함에 따라 국소 냉방과 난방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빙축 냉방시스템이 겨울철 휴지상태에 있을 경우에 대비한 냉수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심야전력을 이용한 빙축 냉방시스템과 축열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빙축시스템을 운전하면 심야전력이 축열조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축열조를 운전하면 심야전력이 빙축시스템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출력장치가 제어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시스템.
KR2020010013062U 2001-05-04 2001-05-04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KR200240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062U KR200240242Y1 (ko) 2001-05-04 2001-05-04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062U KR200240242Y1 (ko) 2001-05-04 2001-05-04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503U Division KR200234260Y1 (ko) 2000-11-07 2000-11-07 빙축조와 축열조를 병렬로 구성한 냉난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242Y1 true KR200240242Y1 (ko) 2001-10-12

Family

ID=7306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062U KR200240242Y1 (ko) 2001-05-04 2001-05-04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37B1 (ko) 2009-05-04 2011-04-26 이상훈 에너지 절약형 냉방시스템
KR101435176B1 (ko) * 2012-11-05 2014-08-29 한은희 냉난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37B1 (ko) 2009-05-04 2011-04-26 이상훈 에너지 절약형 냉방시스템
KR101435176B1 (ko) * 2012-11-05 2014-08-29 한은희 냉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527B1 (en) Integrated system for heating, cooling and heat recovery ventilation
US4143707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 pump
US8327655B2 (en) Heating and air-conditioning installation with a heat pump, the instal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heat transfer fluid distributor unit with coupling to a plurality of heat collection and delivery circuits
TW315404B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ple type air conditioner
WO1995033166A1 (en) Multi-function self-contained heat pump system with microprocessor control
KR20090129169A (ko) 열회수 환기장치가 결합된 가변형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CA2044448A1 (en) Integrated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system
CN216521915U (zh) 空气源热泵系统
EP0928932B1 (en) Room heating system
US10941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l heat to a refrigerant in an air-conditioner
KR200240242Y1 (ko) 빙축조와 축열조로 구성한 냉난방 시스템
KR200240243Y1 (ko) 빙축조와 축열조에 의한 냉난방 시스템
KR101958815B1 (ko) 일체형 히트펌프
KR200234260Y1 (ko) 빙축조와 축열조를 병렬로 구성한 냉난방시스템
KR20020014073A (ko) 축냉열식 냉난방장치
WO1990002300A1 (en) Heat pump for heating or cooling confined spaces, and also for heating tap water
JP39914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328413B1 (ko) 축열,축냉식 냉,난방기
KR100371682B1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식 복합 냉,난방 시스템
EP00987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operation of a heat pump and a separate heating source and preventing simultaneous operation of a heat pump and a separate heating source
JPH074686A (ja) 空気調和機
JP2000111105A (ja) オフィスビル用空調システム
JPS64515Y2 (ko)
CN202304165U (zh) 冷暖式空调热水器的控制电路
KR101092110B1 (ko) 공동주택의 개별식 지열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