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112Y1 - 개폐식 도르래 - Google Patents

개폐식 도르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112Y1
KR200240112Y1 KR2020010007443U KR20010007443U KR200240112Y1 KR 200240112 Y1 KR200240112 Y1 KR 200240112Y1 KR 2020010007443 U KR2020010007443 U KR 2020010007443U KR 20010007443 U KR20010007443 U KR 20010007443U KR 200240112 Y1 KR200240112 Y1 KR 200240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oupler
hook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산
Original Assignee
김천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산 filed Critical 김천산
Priority to KR2020010007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11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르래차(10)에 끼워지는 로프를 용이하게 출입시키며,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한 개폐식 도르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르래차(10)와,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며 수직되게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연장된 단부는 절곡되어 결합부(22)(23)가 형성된 1쌍의 측판(20)과, 상기 양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결합구(30), 제2 결합구(40)와, 일측이 제1 결합구(30)에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 결합구(40)에 구비된 장방형 결합홀(41)에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에는 스토퍼
(53)가 형성되고, 양단부사이 몸체(51)에는 훅크(60)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훅크 결합홀(52)이 형성된 후크 지지대(50)로 구성되어, 상기 후크 지지대(50)와 장방형 제2 결합구(40)의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여 로프가 도르래차(10)에 용이하게 출입하도록 한 개폐식 도르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식 도르래{Opening and shutting type pulley}
본 고안은 개폐식 도르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르래에 끼워지는 로프를 용이하게 끼워넣고 빼어내며,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생산공정을 간소화시킨 개폐식 도르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르래는 고정부에 고정되어 힘의 방향을 변경시켜주거나 힘을 반감시켜주는 작용을 하는데, 고정부에 고정되는 훅크 혹은 링부와, 상기 훅크부에 고정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도르래차로 구성되어, 측판사이의 도르래차에 로프가 끼워져 로프의 이동에 의해 도르래차가 회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르래를 이용한 후에 새로운 장소에서 도르래를 이용하는 경우에
는, 로프를 도르래차에서 빼어내고 새롭게 감아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로프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르래를 운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용량의 도르래인 경우에는 도르래 및 로프가 장대하여 운반에 어려움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로프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로프를 도르래에 끼워넣고 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즉, 로프를 도르래에서 빼어낼 때에는 로프의 끝단부가 도르래로부터 이탈될때까지 로프를 당겨주어야 하고, 또한 초기 사용시에는 로프를 어느 길이까지는 도르래에 넣어주어야 하는 사전작업이 요구되어 도르래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폐식 도르래가 사용되고 있다. 개폐식 도르래는 도르래차를 지지하는 축이 지지되는 측판이나, 상기 측판 사이에 결합되고 훅크가 결합되는 지지대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개폐식 도르래의 종래 구성은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되는 도르래차(110)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이 지지되는 1쌍의 측판(120)과, 상기 1쌍의 측판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상측에는 결합홀(131),(132)이 구비된 1쌍의 지지대(130)와, 일측 지지대에 구비된 결합홀(131)에 회동되게 볼트(133) 결합되는 홀(141)이 구비된 결합구(140)와, 일측이 상기 결합홀(132)에 회동되게 볼트(134)
결합되며 타측은 결합구 홀(14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단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스토퍼(153)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151)의 중앙부 훅크(160)가 결합되는 훅크 지지대(1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개폐식 도르래의 작용을 살펴보면, 훅크 지지대(150)를 지지대의 결합홀(13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훅크 지지대 단부의 스토퍼(153)가 결합구의 홀
(141)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훅크 지지대(150)와 지지대(13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켜 로프를 도르래차(110)로 부터 빼어내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로프를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그러나, 전술한 개폐식 도르래의 구성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수의 부품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가공 및 조립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부품의 형상을 단순화 하며 부품수를 줄여 생산공정을 간소화 시킴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제조원가를 낮추어 주는 개폐식 도르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개폐식 도르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식 도르래의 분해사시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10 ... 도르래차, 20 ... 측판,
21 ... 돌출부, 22 ... 결합부,
23 ... 결합부, 30 ... 제1 결합구,
31 ... 결합홀, 32 ... 사각홀,40 ... 제2 결합구, 41 ... 장방형 결합홀,
42 ... 확장부, 50 ... 훅크 지지대,
51 ... 몸체 , 52 ... 훅크 결합홀,
53 ... 스토퍼 60 ... 훅크.
이를 위하여 보 고안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르래차와,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며, 상,하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1쌍의 측판과,
상기 일측 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측에는 결합홀이 구비되는 제1 결합구와,
타측 결합부에 끼워지는 장방형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제2 결합구와,
일측이 상기 제1 결합구에 구비된 결합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은 제2 결합구에 구비된 장방형 결합홀에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단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몸체에는 훅크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훅크 결합홀이 구비된 훅크 지지대로 구성된다.
이하 일 실시예를 따른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개폐 도르래는 도르래차(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양단부가 측판(20)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측판(20)에는 세로방향 중앙부를 따라 길게 돌출된 돌출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 상에 회전축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는 상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링 형상의 결합부(22)(23)를 형성한다.
링 형상의 일측 결합부(22)에는 상측에 결합홀(31)이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사각홀(32)이 형성되어 상기 사각홀(32)에 결합부(22)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1결합구(30)가 회동되게 끼워지고, 타측 결합부(23)에는 장방형의 결합홀(41)에 연결되며 확장된 확장부(42)에 결합부(23)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 2혈합구(40)가 희동되게 끼워지며, 상기 결합부(22)(23)의 단부는 돌출부(21)내측에 용접된다.
상기 제1 결합구(30)와 제2 결합구(40) 사이에는, 일측이 제1 결합구(30)에 끼워져 회동되고, 타측은 제2 결합구(40)의 장방형 결합홀(41)에 끼워져 결합되되,그 단부에는 돌출된 스토퍼(53)가 구비되어 회동에 의해 장방형 결합홀(41)로부터 출입이 용이하고, 몸체(51)에는 훅크(60)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훅크 결합홀(52)이 형성된 훅크 지지대(50)가 위치한다.
또한, 전술한 도르래 훅크(60)는 고정부에 도르래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좋고, 링 형상의 고리라도 좋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폐식 도르래는 측판(20)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21)에 의해 측판(20)의 하중 지지력이 강화되어 별도의 지지대의 부착을 생략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연장된 단부를 절곡하여 결합부(22)(23)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결합부 설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며, 훅크 지지대(50)의 형상도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개페식 도르래는 부품의 형상을 단순화하며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줌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어줌과 동시에 용이하게 로프를 도르래에 출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르래차(10)와,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며, 수직되게 돌출부(2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결합부(22)(23)가 형성된 1쌍의 측판(20)과,
    상기 일측 측판에 형성된 결합부(22)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측에는 결합홀
    (31)이 형성된 제1 결합구(30)와,
    타측 측판에 형성된 결합부(23)에 결합되며, 상측에는 장방형 결합홀(41)이
    형성된 제2 결합구(40)와,
    일측이 제1 결합구에 구비된 결합홀(31)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은 제2 결합구에 구비된 장방형 결합홀(41)에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단부에는 스토퍼(53)가 형성되고, 몸체에는 훅크(60)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훅크 결합홀(52)이 형성된 훅크 지지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도르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2)(23)는 돌출부(21)의 연장된 단부를 절곡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단부는 돌출부(21) 내측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도르래.
KR2020010007443U 2001-03-19 2001-03-19 개폐식 도르래 KR200240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443U KR200240112Y1 (ko) 2001-03-19 2001-03-19 개폐식 도르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443U KR200240112Y1 (ko) 2001-03-19 2001-03-19 개폐식 도르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112Y1 true KR200240112Y1 (ko) 2001-10-08

Family

ID=7308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443U KR200240112Y1 (ko) 2001-03-19 2001-03-19 개폐식 도르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1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358A (ko) * 2006-02-02 2007-08-07 김양현 로프용 도르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358A (ko) * 2006-02-02 2007-08-07 김양현 로프용 도르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650Y1 (ko) 슬라이딩과 회전이 일체로 된 창문
KR940003869Y1 (ko) 연결 장치
CA2265254A1 (en) Lateral jib locking device
US20070028951A1 (en) Automatic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a multi-folding umbrella
KR200240112Y1 (ko) 개폐식 도르래
KR101479966B1 (ko) 다단형으로 조립이 가능한 돔형 텐트 프레임
US20060056965A1 (en) Housing fastener for a blower
PL197811B1 (pl) Dźwignica
JPH1162323A (ja) 開閉式テント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200382572Y1 (ko) 와이어 로우프 연결구
KR19990017993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KR200161820Y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힌지연결구조
KR200372203Y1 (ko) 지지파이프 연결소켓 구조
KR930005094Y1 (ko) 후론트후드의 지지장치
KR200142757Y1 (ko)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KR200233110Y1 (ko) 개폐식 도르래
KR200337137Y1 (ko) 강도가 보강된 조립식 그늘막의 연결대
CN207312888U (zh) 一种电梯轿厢的安装结构
JP3336335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具
JPH1078021A (ja) 回動フック
KR200397279Y1 (ko) 지주결합장치
KR200316772Y1 (ko) 연등
KR20100123569A (ko)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회전축 롤러
KR200199025Y1 (ko) 텐트와 폴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