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40Y1 -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40Y1
KR200239740Y1 KR2020010011574U KR20010011574U KR200239740Y1 KR 200239740 Y1 KR200239740 Y1 KR 200239740Y1 KR 2020010011574 U KR2020010011574 U KR 2020010011574U KR 20010011574 U KR20010011574 U KR 20010011574U KR 200239740 Y1 KR200239740 Y1 KR 200239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pattern
power supply
connection patter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세희
Original Assignee
금창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창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창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1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4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트롤 박스의 신호나 전원이 터미널 블록을 통하여 전기장치로 양호하게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은,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140)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144)과,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142)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148)과, 제 1연결패턴(144)과 제 2연결패턴(148)을 잇는 분기패턴(146)과,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램프(130)와,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저항(150)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로서, 램프(130)의 점등을 통하여 컨트롤 박스의 신호 및 전원이 터미널 블록을 통하여 전기장치로 양호하게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L.E.D DEVICE OF TERMINAL BLOCK}
본 고안은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 박스의 신호나 전원이 터미널 블록을 통하여 전기장치로 양호하게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를 터미널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신호 및 전원의 공급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블록은 컨트롤 박스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나 전원을 일괄적으로 전기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은 몸체(10)의 일측에 격벽(16)으로서 다수의 칸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 공간에 전기장치 측으로 연결된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볼트(18)가 설치된다. 또한 접속볼트(18)의 상측에는 몸체(10)에 힌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가 구비된다. 이 커버(20)에는 각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의 부호가 기재되어 상호간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몸체(10)의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전달선과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핀(14)을 갖는 커넥터(12)가 구비된다. 몸체(10)의 저면에는 단자핀(14)과 접속볼트(18)를 연결하는 동박패턴이 형성된 피씨비(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에 연결된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을 일괄적으로 커넥터(12)에 접속시키면, 컨트롤 박스로부터 전송된 신호나 전원은 단자핀(14) 및 접속볼트(18)를 통하여 전기장치 측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터미널 블록은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이 커넥터(12)에 결합되어 있더라도, 각 단자핀(14)과의 접촉불량이 발생하거나 정전이 발생하면 컨트롤 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미널 블록에는 사용자가 신호 및 전원이 양호하게 공급되는 상태와 차단된 상태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트롤 박스의 신호나 전원이 터미널 블록을 통하여 전기장치로 양호하게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를 터미널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신호 및 전원의 공급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장치가 설치된 터미널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저면에 설치된 피씨비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02: 커넥터
104: 단자핀 106: 격벽
108: 접속볼트 109: 관통공
110: 커버 120: 피씨비
122: 제 1접점 126: 제 2접점
128: 동박패턴 130: 램프
140: 전력용 마이너스 접점 142: 전력용 플러스 접점
142 제 1연결패턴 144: 제 2연결패턴
146: 분기패턴 150: 저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씨비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 상기 피씨비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 상기 제 1연결패턴과 상기 제 2연결패턴을 잇는 분기패턴; 상기 분기패턴상에 설치되는 램프; 상기 분기패턴상에 설치되는 저항;을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장치가 설치된 터미널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저면에 설치된 피씨비의 평면도이며, 도 4는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장치의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은, 몸체(100)의 일측에 격벽(106)으로서 다수의 칸을 구획하고, 구획된 각 공간에 전기장치측으로 연결된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볼트(108)가 설치된다. 또한 접속볼트(108)의 상측에는 몸체(100)에 힌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10)가 구비된다. 이 커버(110)에는 각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의 부호가 기재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전달선과 전력공급선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핀(104)을 갖는 커넥터(102)가 구비된다. 몸체(100)의 저면에는 단자핀(104)과 접속볼트(108)를 연결하는 동박패턴(128)이 형성된 피씨비(120)가 결합된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에 설치된 엘이디장치는,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140)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144)과,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142)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148)과, 제 1연결패턴(144)과 제 2연결패턴(148)을 잇는 분기패턴(146)과,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램프(130)와,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저항(150)으로 이루어진다.
램프(130)는 터미널 블록의 몸체(100)상에 형성된 관통공(109)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저항(150)은 분기패턴(146)으로 적정이하의 전압만 통과되도록 하여 램프(130)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컨트롤 박스로부터 연결된 신호전달선 및 전력공급선을 일괄적으로 커넥터(102)에 접속시키면, 컨트롤 박스로부터 전송된 신호나 전원은 단자핀(104)및 접속볼트(108)를 통하여 전기장치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피씨비(120)상에 형성된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140)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144)에 인가된 전류는 분기패턴(146)을 따라 램프(130) 및 저항(150)을 거쳐 다시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142)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148)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램프(130)가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전기장치에 전원이 양호하게 공급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커넥터(102)에 신호전달용 전선 및 전력공급용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촉불량이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분기패턴(146)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램프(130)가 점등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저항(150)은 램프(130)에 적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램프(130)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140)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144)과,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142)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148)과, 제 1연결패턴(144)과 제 2연결패턴(148)을 잇는 분기패턴(146)과,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램프(130)와,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저항(150)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로서, 램프(130)의 점등을 통하여 컨트롤 박스의 신호 및 전원이 터미널 블록을 통하여 전기장치로 양호하게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마이너스 접점(140)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패턴(144);
    상기 피씨비(120)상에 형성되어 전력공급용의 플러스 접점(142)들을 연결하는 제 2연결패턴(148);
    상기 제 1연결패턴(144)과 상기 제 2연결패턴(148)을 잇는 분기패턴(146);
    상기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램프(130);
    상기 분기패턴(146)상에 설치되는 저항(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130)는 터미널 블록의 몸체(100)상에 형성된 관통공(109)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KR2020010011574U 2001-04-23 2001-04-23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KR200239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74U KR200239740Y1 (ko) 2001-04-23 2001-04-23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74U KR200239740Y1 (ko) 2001-04-23 2001-04-23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40Y1 true KR200239740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574U KR200239740Y1 (ko) 2001-04-23 2001-04-23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067B1 (ko) 2011-05-30 2013-07-26 (주)헬로우다이얼 자동 다이알 장치를 위한 전화선/전화기 연결단자 오삽입 방지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067B1 (ko) 2011-05-30 2013-07-26 (주)헬로우다이얼 자동 다이알 장치를 위한 전화선/전화기 연결단자 오삽입 방지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2989C (en) Intelligent lamp or intelligent contact terminal for a lamp
US5040097A (en) Central electric unit for a motor vehicle
KR200396053Y1 (ko) 휴대용 전기 테스터
US6786765B2 (en) Intelligent connecting plug for a data bus
DE50213164D1 (de) Steckvorrichtung mit integrierter diagnose-/auswerteschaltung, anzeige und schaltbaren abschlusswiderständen
RU2017973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шагающей крепи
KR200239740Y1 (ko) 터미널 블록의 엘이디장치
DK163464B (da) Relaefatning
KR200389319Y1 (ko) Plc 트레이닝 및 모니터링 장치
CN110040081A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KR20070117252A (ko) 엘이디 조명 모듈의 연결장치
RU23250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для штепс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4895325A (en) Railroad gate arm lamp circuit
CN2360989Y (zh) 具显示装置的电连接器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ATE228273T1 (de) Steckverbindung für eine unterhalb einer abdeckung befindliche baugruppe
KR20032862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CN216015125U (zh) 开关组件及插座
GB2266811A (en) Switched socket outlet.
CN108954026B (zh) 一种分体式2线外控全彩led灯具
GB2380868A (en) Socket with module for additional facilities
KR200188318Y1 (ko) 다공 콘센트의 결선구조
JP3043882U (ja) 電源コード
KR200168410Y1 (ko) 플러그 소켓
KR200162654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