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39Y1 -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39Y1
KR200239339Y1 KR2020010005175U KR20010005175U KR200239339Y1 KR 200239339 Y1 KR200239339 Y1 KR 200239339Y1 KR 2020010005175 U KR2020010005175 U KR 2020010005175U KR 20010005175 U KR20010005175 U KR 20010005175U KR 200239339 Y1 KR200239339 Y1 KR 200239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pindle
rotating member
hol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쉥난 루
Original Assignee
쉥난 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쉥난 루 filed Critical 쉥난 루
Priority to KR2020010005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3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본체와 표시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체적이 작고 지지기능이 우수하여 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점하지 않는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장치는 본체와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삽입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주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 상에는 상기 주축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 상의 관통구멍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주축부재를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주축부재에 대하여 압박작용을 하는 원통형 주축삽입관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판과 한 개 이상의 주축삽입관으로 상기 주축부재에 두 개 이상의 회전 압박력을 제공함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체적이 작고 회전 압박력이 큰 효과를 발휘하며 부품체적을 줄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본체와 표시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체적이 작고 지지기능이 우수하여 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점하지 않는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술이 인터넷으로 발전함에 따라 상업에 종사하는 많은 인사, 회사 또는 학생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주고받으며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고선전활동 등을 한다.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온라인 채팅을 하거나 또는 온라인 게임을 즐긴다. 이러한 작업 또는 오락은 대부분 컴퓨터로 달성하는데, 일반적인 탁상형 컴퓨터는 체적이 크므로 휴대가 불가능하고 가방에 넣고 다닐 수 도 없다. 따라서 상업에 종사하는 많은 인사들과 학생들은 노트북을 선호한다. 노트북은 무게가 가볍고 체적이 작으므로 휴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컴퓨터 사용자들의 각별한 사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노트북 보급률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노트북은 무게가 더 가볍고, 체적이 더 작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자부품은 물론, 키보드의 크기도 더욱 소형화로 발전하고 있으나, 노트북 표시장치와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표시장치를 고정하는 주축은 회전력이 있어야 함으로, 이러한 주축은 일정한 체적을 갖게 되므로 일정한 공간을 점하게 된다. 그러므로 체적이 비교적 작으면서도 노트북 표시장치와 본체를 효과적으로 연결 고정해 주는 고정장치가 있으면 노트북을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부재는 대부분 평판(平板)형 구조로 표시장치 또는 본체에 연결되므로, 주축이 회전 시에는 상기 평판형 고정부재는 종종 만곡되어 변형이 발생함으로 파손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은 많은 연구와 개발과정을 거쳐 체적이 보다 작고 위치고정기능이 보다 향상된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를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체적이 작고 지지기능이 우수하여 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설치공간을 점하지 않는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상기 고정장치는 본체와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삽입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주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 상에는 상기 주축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 상의 관통구멍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주축부재를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주축부재에 대하여 압박작용을 하는 원통형 주축(主軸)삽입관이 형성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판과 한 개 이상의 주축삽입으로 상기 주축부재에 두 개 이상의 회전압박력을 제공함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체적이 작고 회전압박력이 큰 효과를 발휘하며 부품체적을 줄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 및 기타 고안이념에 대한 심사관님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회전부재
(100) 설치구멍
(101) 지지판
(102) 관통구멍
(103) 주축삽입관
(11) 주축부재
(110) 설치구멍
(12) 위치고정원형편
(13) 탄성편
(14) 너트
(15)함유위치고정원형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는 컴퓨터본체(미 도시)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 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표시장치(미 도시)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주축부재(11), 상기 주축부재(11)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고정원형편(12), 탄성편(13) 및 상기 주축부재(11) 말단에 결합되는 너트(1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0)는 판형상 몸체이며, 상기 회전부재(10)에는 설치구멍(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10) 일측은 만곡(彎曲)되어 지지판(101)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01)에는 관통구멍(10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0) 상에서 지지판(101)측과 인접하는 다른 일측에는 상기 지지판(101)의 관통구멍(102)과 대응하는 원통형상의 주축삽입관(1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축부재(11)는 축형상 몸체이며, 일단에는 볼트(미 도시)가 관통할 수 있으며 컴퓨터 표시장치와 결합된 설치구멍(110)이 형성되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회전부재(10)의 주축삽입관(103)과 지지판(101)상의 관통구멍(102)을 관통한 후 너트(14)에 의하여 고착된다.
상기 주축부재(11)의 축 직경은 상기 주축삽입관(103)의 내경 보다 약간 크므로 상기 주축부재(11)를 상기 주축삽입관(103)에 삽입시 상기 주축삽입관(103)은 상기 주축부재(11)에 대하여 압박력을 제공함으로 상기 주축부재(11)가 회전시 비교적 큰 회전력을 견딜 수 있다.
상기 주축부재(11)와 상기 회전부재(10)간의 상호 회전시 발생하는 마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10)의 지지판(101)과 관통구멍(102)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위치고정원형편(12)과 탄성편(13)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고정원형편(12)과 탄성편(13)을 통하여 상기 주축부재(11)와 상기 회전부재(10)간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고정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회전시의 원활함을 증가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편에 오일구멍을 형성하여 함유(含油)위치고정원형편(15)으로 하고, 이 오일구멍에 오일을 넣어 회전시의 원활함을 증가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나,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부재(10)상에서 지지판(101)과 인접하는 다른 일측에는 두 개의 원통형 주축삽입관(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축삽입관(103)은 상기 주축부재(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부재(11)에 압박력을 제공함으로 상기 두 개의 주축삽입관(103)과 지지판(101)의 압박력으로 고정장치에 보다 강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나,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부재(10)상에는 각각 만곡된 지지판(101)이 형성되며, 각 지지판(101)에는 관통구멍(1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축부재(11)는 상기 지지판(101)의 관통구멍(102)과 주축삽입관(103)을 관통한 후 너트(14)에 의하여 고착되므로 고정장치에 보다 강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101)의 관통구멍(102)과 대응하는 상기 회전부재에 적어도 한 개의 주축삽입관(103)을 형성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무게에 따라 더욱 큰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는 동일한 체적의 종래 고정장치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회전력인 상황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는 체적이 더욱 작으므로 현재 노트북 컴퓨터의 발전 추세에 부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는 동일한 체적 하에서 주축삽입관(103)과 지지판(101)을 증설함으로서 보다 큰 회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동일한 회전력 하에서 고정장치의 체적을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지지판(101)은 만곡되어 형성되었으므로 회전부재(10)의 구조강도를 제고하였고, 본 고안과 같은 구조는 현재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에서 발견된 적이 없으며 공개사용이 되지 않았으므로 법에 따라 출원한다.
본 고안은 컴퓨터의 표시장치(모니터)가 키보드와 표시장치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된 복수의 워셔(위치고정원형편)에 의하여 컴퓨터의 키보드에 관하여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고 확실히 지지될 수 있는 데 주요한 특징을 갖는 노트북 컴퓨터용 고정장치를 공개한다. 상기 워셔는 키보드의 힌지 슬리브(회전부재)에 수용된 표시장치의 힌지핀(주축부재) 사이에 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키는 비-토크(non-torque) 마찰을 제공하므로, 힌지(고정장치)를 종래 기술의 힌지 보다도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힌지(고정장치)를 설치한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이 좋아지게 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슬리브(회전부재)는 일 단부에 위치한 터널부(관통구멍), 다른 단부에 위치한 플랜지부(지지판), 및 터널부와 플랜지부 사이에 간격(gap)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터널부가 요구 레벨의 토크를 제공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과다하게 긴 터널의 필요없이 힌지핀을 지지할 수 있다.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슬리브(회전부재)는 중앙 터널부(주축삽입관), 상기 슬리브의 각 끝단부에 위치한 두개의 플랜지부(지지판), 및 터널부와 플랜지부의 대향 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두 간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슬리브의 길이가 표시장치(모니터)의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는 반면 터널부와 힌지핀 사이의 토크가 낮아지게 된다.다른 실시예는 다른 중량의 키보드와 모니터 사이의 미끄럼 저항(slip resistance)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Claims (2)

  1. 판형상 몸체이며 컴퓨터본체와 연결되고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일측은 만곡되어 적어도 한 개의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지지판측과 인접하는 다른 일측에는 상기 지지판의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원통형 주축삽입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지지판의 관통구멍 양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고정원형편과 탄성편,
    축형상 몸체이고 컴퓨터 표시장치와 연결되며, 한 끝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회전부재의 주축삽입관, 위치고정원형편, 탄성편 및 지지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주축부재, 및
    상기 주축부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위치고정원형편, 탄성편 및 지지판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원형편에는 오일구멍이 형성되어 함유(含油)위치고정원형편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KR2020010005175U 2001-02-27 2001-02-27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KR200239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75U KR200239339Y1 (ko) 2001-02-27 2001-02-27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75U KR200239339Y1 (ko) 2001-02-27 2001-02-27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339Y1 true KR200239339Y1 (ko) 2001-09-28

Family

ID=7306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175U KR200239339Y1 (ko) 2001-02-27 2001-02-27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7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7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670B1 (ko) 힌지장치
US5621613A (en) Apparatus for dissipating heat in a hinged computing device
US6378171B1 (en) Tilting hinge
US5995373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inge structure
US6883206B2 (en) Swivel hinge with angular fixing structure
US20030056322A1 (en) Hinge device
US6381808B1 (en) Hinge used for note-type computer
US6430777B1 (en) Pivot device for a notebook computer
EP2306261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201078A (zh) 铰链结构
KR19990030077A (ko) 전자기기용 힌지와 이 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9980027408A (ko) 휴대용 컴퓨터
KR970014498A (ko) 틸팅 힌지
US6249951B1 (en) Hinge structure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0239339Y1 (ko) 컴퓨터 표시부 고정장치
US6989987B1 (en) Reconfigurable computer monitor
US20020042970A1 (en) Torsion-generating device
TW201424537A (zh) 電性樞軸總成與使用其之電子裝置
US6796542B2 (en) Support apparatus for balancing the connecting gap between a LCD module and a computer mainframe
JP2003198156A (ja) 折畳式電気機器
JP2001069029A (ja) 携帯無線端末機
JP2001041228A (ja) チルトヒンジ
CN214196938U (zh) 转轴结构
CN218817568U (zh) 扭力转轴机构
JPH1026127A (ja) チル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