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11Y1 -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211Y1
KR200239211Y1 KR2020010010507U KR20010010507U KR200239211Y1 KR 200239211 Y1 KR200239211 Y1 KR 200239211Y1 KR 2020010010507 U KR2020010010507 U KR 2020010010507U KR 20010010507 U KR20010010507 U KR 20010010507U KR 200239211 Y1 KR200239211 Y1 KR 200239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scharge lamp
auxiliary device
pressure discharge
ligh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우
Original Assignee
오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우 filed Critical 오현우
Priority to KR2020010010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11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 방전등(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등, 수은등 등)을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의 점등 보조 장치로서 종래의 점등 보조 장치가 아무런 안정 장치 없이 전원이 인가되면 무조건 고압 펄스를 발생 시키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omitted}
본 고안은 고압방전등(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등, 수은등 등)을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에 사용되는 점등 보조 장치로서 종래의 제품들은 램프가 정상 점등 되었는지 또는 램프가 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전원이 차단 될때까지 무조건 고압을 발생 시키므로 점등 보조 장치의 수명을 저하시키고 더욱이안정기에서 발생하는 고압펄스는 전류성분이므로 등이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전자 장비나 가전제품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러한 폐단을 막기 위하여 점등 보조 장치에 타이머를 부착하는 방법과 램프의 불량과 유무를 판별하는 회로를 부가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지나치게 원가를 상승 시키는 원인이 되어 상용으로 실용 가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제조 원가의 상승 없이 고압 방전등의 정상점등여부와 또는 착탈 여부를 감지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고압 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하고져 안출 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제 2도는 본 고안의 안전타이머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펄스 발생 부
2. 안전 타이머 부
L1 - 트랜스
C1 - 역률 개선용 콘덴서
Q1 - 다이리스터, Q2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C2 - 펄스발생용 콘덴서
이하 첨부 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스 발생부(1)는 트랜스(L1)의 2차측 출력으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다이오드(D1)으로 반파만 받아들이고 저항(R1)과 (R2)에 의하여 전압 분할하여 펄스발생용 다이리스터(Q1)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전압 분할 값은 입력전압의 정현파의 피크치에서 게이트가 트리거 되도록 적절한 값으로 전압 분할을 한다. 입력전압의 피크치에서 다이리스터(Q1)의 게이트가 트리거 되고 다이리스터(Q1)이 터언온 되면 콘덴서(C2)로 출전전류가 급격히 흐르게 되고 트랜스(L1)의 2차측에 고압발생하게 된다. 만약 이 고압에 의하여 고압 방전등이 정상 점등 되었다면 고압방전등의 양단 전압( VA-B)은 수분의 1로 급감하게 되고 다이오드(D1)을 통하여 저항(R1)과(R2)에 서분할 되는 전압도 다이리스터(Q1)가 터언온 될 수 있는 전압 이하로 내려가므로 고압 발생은 중지된다. 안전 타이머부(2)는 저항(R3)과 (R4)에 의하여 분할되는 전압이 전압 제한용 제너 다이오드(D4)의 제한전압 이하로 급감 하므로 콘덴서(C4)로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되어 안전 타이머는 작동 하지 않게 된다. 분할 전압 Vin은
Vin = VA-B/ (R9/(R8+R9))
으로 동작전압을 충분히 낮은 전압으로 낮춰서 로우 코스트를 달성토록 한다. 이때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고압 방전등이 점등 되었을 때 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 하는 경우이다.
Von < VD7
Von은 고압 방전등이 점등 되었을 때의 양단 전압이고 VD7은 제너다이오드(D7)의 제한 전압이다.
그러나 고압방전등이 고장등의 원인으로 정상적으로 점등 되지 않았거나 또는 교체를 위하여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랜스(L1)의 출력측 전압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펄스 발생은 계속된다. 이때 다이오드(D3)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은 저항(R3)과 (R4)에 의하여 분할 된 전압이 도2.에서처럼 전압제한용 제너다이오드(D4)의 전압을 일정 위상각에서부터 상회하게 되고 이렇게 하여 발생한 펄스전압은 도 2.와 같이 매 주기마다 콘덴서(C4)를 충전시키기 시작한다. 그 시정수는 펄스 간격과 적분용 저항(R8)과콘덴서(C4)에 의한다. 콘덴서(C4)의 충전전압이 충분히 높아져 다시 전압 제한용 다이오드(D5)의 제한 전압 이상으로 되면 비로서 전류가 보호저항(R5)를 통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그리고 이 전압이 다시 드레인과 소스간이 스위치 온 될 수 있는 전압까지 상승하면 매 싸이클 주기마다 고압펄스를 발생 시키고 있는 다이리스터(Q1)의 게이트 전류를 '0' 전위로 바이패스 시켜서 펄스 발생을 차단하게 된다. 전원 입력이 소실되면 콘덴서(C4)에 축적되었던 전하는 제너다이오드(D4)가 순방향 이 되므로 저항(R8)과(R4)에 의하여 급격히 방전되고 다음 동작에 대비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 한 바와 같이 기존의 고압방전등용 점등 보조 장치가 아무런 보호 장치 없이 구동 되어 정상 점등 되지 않았거나 또는 고압 방전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고압을 발생시킴으로 해서 잦은 고장발생과 전자파 발생으로 인한 주변의 전자제품에 악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을 낮은 제조 원가로 해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고압 방전등을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에 사용되는 점등 보조 장치에서 다이오드(D3)을 통하여 고압방전등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저항(R3)과(R4)로 전압 분할하고 제너다이오드(D4)로 일정 전압 이상 이 되었을 때 저항(R8)을 통하여 콘덴서(C4)에 충전을 개시 시키고 충전전압을 제너다이오드(D5)로 다시 제한하고 그 제한 전압이상이 되었을 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를 스위치 온하여 펄스 발생용 다이리스터(Q1)의 게이트전류를 바이패스 시켜 고압 발생을 차단시키도록 한 고압 방전등용 점등 보조 장치.
KR2020010010507U 2001-04-13 2001-04-13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KR200239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07U KR200239211Y1 (ko) 2001-04-13 2001-04-13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07U KR200239211Y1 (ko) 2001-04-13 2001-04-13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11Y1 true KR200239211Y1 (ko) 2001-10-11

Family

ID=730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507U KR200239211Y1 (ko) 2001-04-13 2001-04-13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2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8269A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이용한고압방전등용전자식안정기
JP3918151B2 (ja) 放電灯点灯回路
US20070229000A1 (en) Power saver device for public lighting systems and method thereof
KR20080100138A (ko) 프로그램 개시 안정기
KR20050039600A (ko) 컨버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위한 보호회로를 가지는전자 안정기
KR200239211Y1 (ko) 고압 방전등용 과열방지 점등 보조 장치
US8093834B2 (en) Automotive HID headlamp ballast control IC
US20070090773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with an open protection circuit
JP2005251722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始動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452342B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무부하 보호회로
KR200255420Y1 (ko) 고압 방전등용 감전보호 회로
KR100861490B1 (ko) 소프트 스타트 방식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KR200211820Y1 (ko) 고압방전램프의 안정기용 보호회로
KR101176170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과전류 방지 처리 방법 및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GB231032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urrent limitation and for overvoltage protection
KR200207661Y1 (ko) 전자식 안정기의 보호 회로
JP2006147367A (ja) パルス発生回路、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200313999Y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무부하 보호회로
KR200207660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보호장치
KR200178651Y1 (ko) 전자식안정기의형광등말기감지및보호회로
KR0117740Y1 (ko) 전자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KR970003171B1 (ko) 액티브 필터회로를 사용한 다기능 인버터
JP2649978B2 (ja) 車輌用放電灯の点灯回路
KR100394399B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보호장치
KR100318878B1 (ko) 전원공급지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