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33Y1 - 학습용 펜스 - Google Patents

학습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33Y1
KR200239033Y1 KR2020010012806U KR20010012806U KR200239033Y1 KR 200239033 Y1 KR200239033 Y1 KR 200239033Y1 KR 2020010012806 U KR2020010012806 U KR 2020010012806U KR 20010012806 U KR20010012806 U KR 20010012806U KR 200239033 Y1 KR200239033 Y1 KR 200239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dial
mesh
words
comb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김우남
Original Assignee
김민정
김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김우남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2020010012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33Y1/ko

Link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와이어 메쉬형태의 펜스에 각각의 문자판을 결합시킨것으로, 문자판을 조합하여 영어단어 및 낱말을 배열할 수 있게되므로써, 어린이들에게 학습효과를 높여줄 수 있고, 주변환경의 미관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펜스{The fence}
본 고안은 학습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메쉬형태의 펜스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단한 특징과 함께, 종래의 철망이 혐오스러웠기 때문에 그러한 형태의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나 학교 울타리등에 산뜻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구조가 단순하여 펜스에 게시판이나 홍보를 위해 각종 부착물을 부착하려고 할때, 별도의 부착물을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학교 담장의 경우에는 평소 어린이들이 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부착물은 더욱 필요하였다. 또한, 메쉬펜스는 담장너머의 사물이 다 들여다 보이기 때문에, 시공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가려져야 할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간편하게 해소할수 있는 고안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학습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담장의 울타리를 구성하는 메쉬타입의 펜스는 구조가 간단하며, 견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펜스에 있어서는 펜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와이어 사이의 공간에 별도로 제작된 문자판을 삽입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문자판은 뒷면으로 돌기와 돌기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되어있어 펜스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문자판에 각각의 단어를 부착하여 이를 조합함으로써 지나가는 어린이들에게 자연스럽게 단어학습 및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한것이며, 문자판을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사이가 막히게 되어 담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메쉬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되어 다양한 크기의 문자판등을 삽입할 수 있게되어 학교내에서 게시판등의 용도로써 사용할 수도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문자판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문자판이 결합상태일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펜스 2. 메쉬
3. 문자판 4. 결합홈
5. 돌기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메쉬형태로 구성된 펜스(1)에 문자판(3)을 결합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펜스(1)를 구성하고 있는 메쉬(2)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그 공간으로 문자판(3)을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문자판(3)의 표면에는 영문자나 낱말을 인쇄하였으며, 각각의 문자판(3)을 조합하여 영어단어나 낱말등을 만들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문자판(1)은 펜스(1)에 쉽게 부착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각각의 문자판(3)은 펜스(1) 전체에 장착될 수 있고, 일부분에만 부착할 수도 있게하였다.
도 2는 문자판(3)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판(3)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전면으로는 각각의 단어를 표시하고 있고 뒷면으로는 돌기(5)가 형성되어있다. 결합할때 메쉬(2)사이에 돌기(5)를 삽입하게되면, 문자판(3) 뒷면에 형성된 결합홈(4)으로 메쉬(2)가 결합된다. 펜스(1)에 결합되는 문자판(3)은 결합및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특정한 단어 및 낱말을 쉽게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펜스(1)에 문자판(3)이 결합됨으로써 내측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담장의 역할을 하게된다. 메쉬형태의 펜스를 학교의 담장등으로 이용할 경우는 문자판의 크기를 변형시켜 펜스에 어린이들의 작품이나 게시판등을 부착할 수 있으며, 낱말등을 조합하여 표어등을 조합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3은 결합상태일때의 문자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문자판(3)의 뒷면에 형성되어있는 돌기(5)가 펜스(1)를 구성하고 있는메쉬(2)를 넘어 결합홈(4)과 메쉬(2)가 결합된것을 나타내고 있다. 펜스(1)를 구성하고 있는 메쉬(2)는 결합홈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써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메쉬펜스에 문자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지나가는 어린이들에게 은연중에 단어 및 낱말을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여러가지 그림이나 도안들을 결합할 수 있게되어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고 주변환경을 아름답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금속제의 메쉬형태로 구성된 펜스(1)에 있어서,
    펜스(1)의 메쉬(2)와 메쉬사이의 공간으로, 저면에 돌기(5)와 결합홈(4)이 형성된 문자판(3)을 고정장치 없이 결합하여 학습용으로 이용토록한것을 특징으로하는 학습용 펜스.
KR2020010012806U 2001-05-03 2001-05-03 학습용 펜스 KR200239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06U KR200239033Y1 (ko) 2001-05-03 2001-05-03 학습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06U KR200239033Y1 (ko) 2001-05-03 2001-05-03 학습용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033Y1 true KR200239033Y1 (ko) 2001-10-12

Family

ID=731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806U KR200239033Y1 (ko) 2001-05-03 2001-05-03 학습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0244S1 (en) Computer generated image for a display panel or screen
USD550242S1 (en) Computer generated image for a display panel or screen
PL1733263T3 (pl) Oświetlana jednostka informacyjna
KR101320985B1 (ko) 간판용 압출프레임
JP2009123545A (ja) 枠体
KR200239033Y1 (ko) 학습용 펜스
US20060090385A1 (en) Reflective sign
KR101373776B1 (ko) 간판
US20180029451A1 (en) Multifunction Accessory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060291B1 (ko) 후면 케이스 공유화기능을 갖는 전광판용 픽셀 모듈
CN211015429U (zh) 一种轻量化鼠标
CN108266089B (zh) 双面窗
KR200201052Y1 (ko) 컬러 맨홀뚜껑
KR200250316Y1 (ko) 다기능 게시판넬
KR100328494B1 (ko) 광고용 전광판
KR200187884Y1 (ko) 광고용 전광판
JP4571162B2 (ja) 電子機器
KR200185760Y1 (ko) 자동 현수막 게시대
KR200308934Y1 (ko) 아크릴 입체 관 액자
JP3774721B2 (ja) 表札の製造方法
KR101842623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KR200238285Y1 (ko) 페어글라스용 격자연결구
KR200165580Y1 (ko) 조립식 철망 광고판
KR200278355Y1 (ko) 광고판의 구조
KR200321471Y1 (ko) 전시관 부스용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