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69Y1 -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 Google Patents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69Y1
KR200238669Y1 KR2020010011359U KR20010011359U KR200238669Y1 KR 200238669 Y1 KR200238669 Y1 KR 200238669Y1 KR 2020010011359 U KR2020010011359 U KR 2020010011359U KR 20010011359 U KR20010011359 U KR 20010011359U KR 200238669 Y1 KR200238669 Y1 KR 20023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xing
hinge
pin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봉
Original Assignee
영일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일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69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낮은 등받이를 갖는 의자가 설치된 버스, 특히 비상출동 대기가 잦은 경찰병력 수송버스의 의자 후부에 부착하는 절첩식의 간이 식탁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1)의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핀(5) 일측에 고정구멍(6)을 형성하며; 힌지핀(5)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축구멍(8)과, 테이블(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정지턱(9)과, 가압에 의하여 고정구멍(6)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7), 그리고 고정핀(7)의 교차방향으로 작용하여 고정핀(7)을 구속 및 임의 해제시킬 수 있는 버튼(10)을 구비하면서 의자 후부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힌지유니트(2a,2b)를 갖는다. 돌출이 작아 행동 제약이 없으며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Simple folding table for bus}
본 고안은 비교적 낮은 등받이를 갖는 의자가 설치된 버스, 특히 비상출동 대기가 잦은 경찰병력 수송버스의 의자 후부에 부착하여 식탁의 용도는 물론 간이의 독서대 또는 휴대 장비를 임시로 올려 놓을 수 있는 절첩식의 간이 식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시간 운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고속버스나 관광버스 또는 여객기의 경우에는 등받이가 높은 안락의자를 설치하기 때문에 식탁(테이블)을 상부로 회절시키기만 하면 되었고, 더우기 등받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중앙에 지지판을 설치하기 때문에 의자 후부의 중앙 부분에 식탁을 설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51-53617은 위와 같은 식탁의 전형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판이 하부 양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주어진 성형틀을 의자 후부의 중앙에 고정시키고, 이 성형틀의 수납공간에 들어간 판을 비사용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를 수납공간의 상부 중앙에 설치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경찰병력 수송버스의 경우에는 등받이가 낮고 등받이 중앙에 지지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식탁을 버스의 출고 후에 장착해야 하며, 또 시위진압장비 등의 중량이 나가는 물건을 임시로 올려 놓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간이 식탁을 본인의 실용신안공보 제92-5196호로 제시한 바 있다. 이 고안은 후부 양측의 아암에 힌지핀이 형성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힌지핀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로가 길게 형성되고 의자 후부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부 중간이 받침대로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까치발을 구비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이 까치발내에 들어가 있다가 사용할 때에는 테이블을 위로 끌어올린 후 그 자유단을 아래로 내려 수평이 되도록 하면 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간이 식탁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있다. 그것은 특히 식탁을 사용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데, 버스의 의자 간격은 과거와 마찬가지이나 승차한 대원들의 신장이 커져서 무릎이 까치발에 닿아 고통을 호소하는 일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과거의 간이 식탁은 의자 후부의 양측에서 상하로 길게 고정된 까치발이 ㄱ자형으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앉거나 일어날 때에는까치발에 무릎이 부딪히게 되고 다리를 벌릴 때에는 까치발에 끼이게 되어 자세의 제약을 받았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식탁을 버스의 출고 뒤에 의자 뒤에 장착시킬 때 의자 내부의 양쪽 프레임을 이용하여 장착시킬 수밖에 없는 경찰병력 수송버스의 낮은 의자에서 뒷좌석의 승차자가 행동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그 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결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테이블, 2a,2b:힌지유니트, 4:아암, 5:힌지핀, 6:고정구멍, 7:고정핀, 8:축구멍, 9:정지턱, 10:버튼, 13:안착자리, 14:판, 15,17:스프링, 16:홈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방 양측의 아암에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핀이 대향되게 돌출한 테이블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힌지핀 일측에 고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핀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축구멍과, 상기 테이블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정지턱과, 가압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의 고정구멍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 그리고 이 고정핀의 교차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고정구멍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속 및 임의 해제시킬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면서 의자 후부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힌지유니트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간이 식탁을 의자 후부에 장착한 것과 마찬가지 형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힌지 결합부분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힌지 결합부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결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의자 후부에 장착된사용상태도이다.
간이 식탁은 테이블(1)과, 이 테이블(1)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유니트(2a,2b)로 이루어진다. 테이블(1)은 힌지유니트(2a,2b)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구속되거나 해제되며, 힌지유니트(2a,2b)는 의자(3) 후방의 양측 프레임(의자 속에 있는 파이프로서 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테이블(1)은 상판과 저판이 따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격자상의 보강리브들이 있다. 이 테이블(1)은 후방 양측에 아암(4)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4)의 측면에는 각각 힌지핀(5)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 힌지핀(5)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힌지핀(5)의 옆에는 테이블(1)의 약간 앞쪽으로 고정구멍(6)이 뚫려 있다. 테이블(1)을 사용하지 않을 때 고정구멍(6)에는 힌지유니트(2a,2b)의 고정핀(7)이 끼워져 테이블(1)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힌지유니트(2a,2b)는 축구멍(8), 정지턱(9), 고정핀(7), 그리고 버튼(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유니트(2a,2b)의 양단에는 피스구멍(11a,11b)이 뚫려 있는 플랜지(12a,12b)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유니트(2a,2b)는 의자(3) 후부의 양측 프레임에 이 플랜지(12a,12b)를 대면시키고 피스로 고정시키게 된다. 피스구멍(11a,11b)은 한 쌍의 힌지유니트(2a,2b)가 갖는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옆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8)은 힌지유니트(2a,2b) 몸체의 중앙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아암(4)의 안착자리(13)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4)의 안착자리(13)는 테이블(1)의 아암(4) 단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리로서 일측에는 정지턱(9)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버스 의자는 15°각도로 뉘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각도의 의자(3) 후부에 힌지유니트(2a,2b)를 설치하였을 때 테이블(1)을 수평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정지턱(9)의 돌출 각도를 부여하게 된다.
안착자리(13)의 옆에는 고정핀(7)과 버튼(10)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핀(7)은 테이블(1)의 고정구멍(6)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력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밖에서 고정구멍(6)을 향하여 밀면 도 1 및 도 4와 같이 안으로 들어가며 버튼(10)을 누르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밖으로 뛰어 나와 있게 된다. 이것은 고정핀(7)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버튼(10)이 이러한 고정핀(7)을 제어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먼저, 버튼(10)은 고정핀(7)의 축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버튼(10)의 하부에 있는 판(14)의 중앙에 고정핀(7)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판(14)은 스프링(15)에 의하여 버튼(10)의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 한편 고정핀(7)에는 버튼(10)의 판(14)에 뚫려 있는 구멍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홈(16)이 가공되어 있으며, 버튼(10)의 판(14)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홈(16)의 반대편에는 스프링(17)이 그 단부를 잡아주는 고정링(도 3에서 판에 가려져 안 보임)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7)은 고정핀(7)이 아암(4)의 반대방향으로 탄력을 받도록 설치된 것이다. 보조링(18)은 고정핀(7)이 그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버튼(10)의 판(14)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버튼(10)의 판(14)과 몸체의 내벽 사이에서 고정핀(7)에 끼워진 것이다.
위와 같은 한 쌍의 힌지유니트(2a,2b)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각 힌지유니트(2a,2b)는 의자(3)의 후부 양측에 대고 의자(3) 가장자리 내부의 상하로 질러가는 프레임(미도시)에 피스로 고정시킨다. 이때 양 힌지유니트(2a,2b)의 사이에는 테이블(1)이 끼워져 있어야 한다. 즉, 각 힌지유니트(2a,2b)의 축구멍(8)에 힌지핀(5)을 끼우고 나서 피스를 플랜지(12a,12b)의 피스구멍(11a,11b)을 통하여 돌려 끼우면 되는 것이다. 한 쌍의 힌지유니트(2a,2b)는 같은 높이로 고정된다. 피스구멍(11a,11b)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자(3) 내의 프레임 간격이 갖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고정핀(7)을 아암(4) 쪽으로(도 3에서 왼쪽으로) 밀면 고정핀(7)의 단부는 아암(4)의 고정구멍(6)에 끼워진다. 이때 스프링(17)은 수축되며, 버튼(10)의 판(14)에 뚫려 있는 구멍의 아래쪽 가장자리는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핀(7)의 홈(16)에 끼워지게 되므로 결국 고정핀(7)은 아암(4)을 구속한 상태에서 버튼(1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것은 다시 말해 테이블(1)이 도 1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의자(3)의 후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테이블(1)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고정된 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테이블(1)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버튼(10)을 누른다. 버튼(10)을 누르게 되면 고정핀(7)의 홈(16)에 끼워져 있던 버튼(10)의 판(14)이 빠지면서(구멍의 아래쪽 가장자리가 홈에서 빠지면서) 고정핀(7)이 스프링(17)에 의하여 복귀한다. 고정핀(7)이 복귀한다는 것은 아암(4)의 고정구멍(6)으로부터 고정핀(7)이 빠져 테이블(1)이 그 구속 상태에서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1)의 자유단을 아래로 내리면 테이블(1)이 힌지핀(5)을 축으로 회전한다. 테이블(1)이 수평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아암(4)의 일측(힌지핀의 축으로부터 벗어난 근방)이 정지턱(9)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테이블(1)에 음식물이나 소품을 비롯하여 시위진압장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테이블(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1)의 자유단을 위로 올려 의자(3)의 후면에 밀착시키고 고정핀(7)을 밀면 상기에서 언급한 버튼(10)의 작용에 의하여 다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테이블이 의자 후면에 밀착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돌출된 부분이 적어 뒷좌석의 승차자가 행동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의자 내부에 지지판이 설치되지 않은 비교적 낮은 의자(약간의 각도 조정만 가능한 非安樂椅子)에 후속적인 설치가 용이하고 그 테이블의 구속 및 해제도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Claims (1)

  1. 후방 양측의 아암에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핀이 대향되게 돌출한 테이블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힌지핀 일측에 고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핀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축구멍과, 상기 테이블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정지턱과, 가압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의 고정구멍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 그리고 이 고정핀의 교차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고정구멍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속 및 임의 해제시킬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면서 의자 후부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힌지유니트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KR2020010011359U 2001-04-20 2001-04-20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KR20023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59U KR200238669Y1 (ko) 2001-04-20 2001-04-20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59U KR200238669Y1 (ko) 2001-04-20 2001-04-20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69Y1 true KR200238669Y1 (ko) 2001-10-11

Family

ID=7306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59U KR200238669Y1 (ko) 2001-04-20 2001-04-20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10B1 (ko) * 2017-11-25 2018-11-05 주식회사 명신인퍼스 연결식 의자용 메모판
KR102000633B1 (ko) * 2018-01-11 2019-07-16 이영수 절첩식 좌의자의 등받이 자연절첩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10B1 (ko) * 2017-11-25 2018-11-05 주식회사 명신인퍼스 연결식 의자용 메모판
KR102000633B1 (ko) * 2018-01-11 2019-07-16 이영수 절첩식 좌의자의 등받이 자연절첩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2726B2 (ko)
US6986550B2 (en) Seat slide assembly
MX2007009431A (es) Butaca para vehiculos de transporte publico.
KR200238669Y1 (ko) 버스용 절첩식 간이 식탁
JP2010094449A (ja) ヒンジ構造とそれを用いた椅子の背もたれの支持構造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EP1859707B1 (en) Auto-retractable side table for folding seats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CN218474357U (zh) 一种座椅转动部件的锁定机构及扶手转动装置
KR100949775B1 (ko) 버튼식 리클라이닝 사무용 의자
WO2023151255A1 (zh) 腰部支撑装置及座椅
CN217471566U (zh) 一种适用于座椅的搁脚装置和一种座椅
KR200263326Y1 (ko) 등판시트와 받침시트가 연계 작동하는 의자
JPH0313233Y2 (ko)
CN219249646U (zh) 一种可调节扶手
KR101062216B1 (ko) 의자
KR100214023B1 (ko) 이동가능한 아암레스트를 갖춘 차량용 좌석의자
KR200252699Y1 (ko)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
JP4695353B2 (ja) 椅子
JP3037917U (ja) 椅 子
KR920005913Y1 (ko) 차량용 의자 팔걸이 장치
KR200243649Y1 (ko) 낚시용 접철 의자
JPH0523077Y2 (ko)
KR200362879Y1 (ko)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 탈출용 원터치 수납식 메모대 의자
JPH10127402A (ja) 連結椅子の可動肘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