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473Y1 - 메쉬 휀스 - Google Patents

메쉬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73Y1
KR200238473Y1 KR2020010010083U KR20010010083U KR200238473Y1 KR 200238473 Y1 KR200238473 Y1 KR 200238473Y1 KR 2020010010083 U KR2020010010083 U KR 2020010010083U KR 20010010083 U KR20010010083 U KR 20010010083U KR 200238473 Y1 KR200238473 Y1 KR 200238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truts
mesh fence
fen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2020010010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73Y1/ko

Link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재 지주(20), 금속재 횡대(40) 그리고 철봉으로 이루어지는 망체(60)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한 메쉬 휀스(1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쉬 휀스(10)는 설치작업이 용이할뿐만아니라 강풍 그리고 고의적인 행위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주위의 자연환경과 친화적이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메쉬 휀스(10)에서 지주(20)들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구부(32)를 갖는다. 횡대(4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지주(20)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양측이 지주(20)들의 개구부(32)에 결합고정되고 그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망체(60)는 상부가 횡대(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지주(20)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이 지주(20)들에 결합고정된다.

Description

메쉬 휀스{MESH FENCE}
본 고안은 메쉬 휀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금속재 지주,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금속재 횡대 그리고 철봉으로 이루어지는 망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한 메쉬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시 휀스는 철사를 가로와 세로로 연결하여 망체를 만들고, 이 망체를 지면에 세운 지주(기둥)에 연결하여 설치한 울타리를 말하며, 해안지대, 산악지대, 도로변 등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메시 휀스는 지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망체를 양측의 지주에 고정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메쉬 휀스는 강풍 또는 무단 출입자의 훼손 등에 의해서 망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메쉬 휀스는 위험지역과 출입지역의 경계에 설치되는데 주위의 자연환경과 친화적으로 설치되지 않아 보기에 좋지않으며, 특히, 월담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 휀스의 상부에 철망과 같은 것이 설치되는데 이는 설치작업이 어려울뿐만아니라 주위 미관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강풍 또는 인위적인 훼손 등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고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쉬 휀스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메쉬 휀스에서 횡대와 망체가 결합된 지주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지주의 상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메쉬 휀스에서 횡대와 지주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B-B선 단면도;
도 6a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6b은 도 6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쉬 휀스 20 : 지주
40 : 횡대 60 : 망체
70 : 패널 80 : 앙카박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지주들과;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양측이 상기 지주들의 개구부에 결합고정되고 그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에는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횡대 및; 상부가 상기 횡대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지주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이 상기 지주들에 결합고정되는 망체를 포함하는 메쉬 휀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는 망체를 조립에 의한 방법으로 지주들과 횡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망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망체의 양측면이 지주들에 고정되고 상부가 횡대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강풍 등에 의한 망체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휀스는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횡대의 내부에는 전선케이블이 내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는 망체와 망체 사이에 표면상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패널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위 자연환경과 더욱 친화적인 메쉬 휀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에는 광고 또는 홍보용 디자인을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익창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횡대는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므로써, 연이어 설치되는 횡대를 따라 전선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휀스에서 상기 횡대외주부의 일부분은 파이프조각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휀스에서 상기 방지턱의 상단부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턱은 압출성형후 절단가공으로 그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는 상기 지주들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주들을 지면에 앙카볼트로 체결한 후 상기 앙카볼트가 결합된 상기 지주들의 하부를 덮는 앙카박스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휀스에서 상기 망체를 형성하는 철봉은 직경이 8mm~12mm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는 기존의 5mm이하만의 철봉을 사용하여 구성된 망체에 비하여 직경이 8mm~12mm인 철봉을 사용하므로써 더욱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히,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휀스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무단 출입자가 휴대용 절단기 등으로 망체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b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나사, 홀, 와셔 그리고 너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쉬 휀스(10)는 지면 또는 기초공사된 콘크리트블록(이하, 지면이라 함) 위에 설치된다. 이 메쉬 휀스(10)의 지주(2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물론, 지주(20)들이 세워지는 간격은 상부에 결합되는 횡대(40)와 이 지주(20)들 사이에 설치되는 망체(60)의 설계크기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이 지주(20)들은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 제조방법에는 잘 알려진 주조(casting), 철판의 용접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이 지주(20)들은 도 2 및 도 3에서 보인바와 같이, 상부(30)에 횡대(40)가 결합되는 개구부(32)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24)에는 앙카볼트(23)를 사용하여 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부(2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리브(26)들을 형성하여 전체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고, 망체(60)를 고정하는 밴드(66)와 볼트(68)가 결합된다. 상기 앙카볼트( 23)가 결합되는 지주(20)들의 하부(24)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재질 또는 다른 형태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앙카박스(80)를 설치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앙커박스(80)는 상기 지주(20)들의 상부(30)로부터 삽입되어 하부(24)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앙카박스(80)의 형태 및 결합구조는 다른 공지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상기 횡대(40)는 상기 지주(20)들의 개구부(32)에 결합되어 지지되므로써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 횡대(40)는 내부가 중공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전선케이블(90)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케이블(90)을 별도로 매설하지 않고도 설치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 횡대(40)는 방지턱(58)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인위적으로 해체가 불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망체(60)의 상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망체(6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개구부(46)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횡대(40)의 개구부(46)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주(20)들이도 개구부(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방지턱(58)과 개구부(46)를 갖는 횡대(40)는 금속재 재질로 압출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방지턱(58)의 모양은 압출성형후 절단가공(절단기 또는 절단금형 등)을 통하여 형성한다. 상기 방지턱(58)의 끝단부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톱니형으로 가공하면 월담방지에 효과적이다. 상기 횡대(40)를 구성하는 방법은 위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면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대(4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인바와 같이, 2개의 파이프조각이 맞추어져 하나의 중공 파이프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횡대(40)는 서로 맞추어지는 제 1 및 제 2 파이프조각(42,56)들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파이프조각(42,56)은 상기 지주(20)의 개구부(32)에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중공 파이프를 이루도록 동일한 외경을 갖고, 각각 일정한 크기의 원호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파이프조각(56)은 상기 횡대(40)외주부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구성한 것과 같은 것으로, 상기 횡대(40)는 상기 제 2 파이프조각(5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조각(42)은 방지턱(58)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망체(60)의 상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개구부(46)가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이 제 1 파이프조각(42)에서 상기 개구부(46)의 상부에는 상기 망체(60)가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받침판(44)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파이프조각(56)의 내면과 결합되는 플랜지들(52,54)이 상기 개구부(46)의 양끝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파이프조각(42)은 상기 지주(20)들에 삽입되고, 나사홀(50)에 결합되는 볼트(34)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 2 파이프조각(56)은 상기 제 1 파이프조각(42)의 플랜지(52,5 4)에 양단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조각(42)의 하부에는 배수홀(48)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배수홀(48)은 상기 횡대(40)의 내부로 물 등이 유입되었을 때 외부로 퇴수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이 배수홀(48)은 드릴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망체(60)는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20)들에 결합시키므로써 그 고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주(20)들과 횡대(40)에 상기 망체(60)의 삽입결합을 위한 개구부 (36,46)와 받침판(44)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지주(20)들과 세로로 놓이는 수직봉(62,65)과 가로로 놓이는 수평봉(철사)(64)을 엮어서 구성된다. 물론, 이 망체(60)는 용접 등의 공지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망체(60)는 상기 수직봉(62, 65)의 상부가 전술한 횡대(40)의 개구부(46)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양측 최외곽의 수직봉(65)이 밴드(66)와 볼트(68)에 의해서 양측의 지주(20)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 보인 바와, 상기 망체(60)는 양측 최외곽의 수직봉 (65)이 내측의 수직봉(62)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것이 사용되도록 하였다. 이는 양측 최외곽의 수직봉(65)이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망체(60)는 수직봉(62)의 직경이 10mm이고, 수평봉(64)의 직경이 5mm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수직봉(62)과 수평봉(64)의 굵기는 다양한 크기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며, 그 중에서 굵은 봉의 직경은 8mm~12mm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굵은 봉의 직경을 8mm~12mm로 제한하는 이유는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휀스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두께의 봉을 사용하여 구성된 망체(60)는 무단 출입자가 휴대용 절단기 등으로 망체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10)는 상기 지주(20)들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패널(7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70)은 특수강화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여 강풍 등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 패널(70)의 설치는 전술한 망체(60)와 마찮가지로 상기 지주(20)들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망체(60) 사이에 상기 패널(7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패널(70)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지주(20)들은 상기 패널(70)의 설계치수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도 5a 내지 도 6b는 전술한 망체(60)와 패널(70)이 지주(20)들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망체(60)는 수직봉(62,65)과 수평봉(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횡대(40)의 개구부(46)에 수직봉(62,65)의 상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므로써 상기 횡대(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지주(20)들의 리브(26)에 최외측의 수직봉(65)이 밴드(66)와 볼트(68)에 의해서 고정되므로써 상기 지주(20)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밴드(66)는 'U'자형의 밴드로서, 상기 망체(60)의 최외각 수직봉(65)이 'U'자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볼트(68)가 상기 최외각 수직봉(65)을 안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20)들의 리브(26)에 결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망체(60)의 조립은 상기 지주(20)들에 고정하므로써 완료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70)이 설치되는 경우는 지주(20)의 한측에는 망체(60)가 위치되고, 다른 한측에는 패널(70)이 위치된다. 이 경우, 망체(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고, 패널(70)은 상기 밴드(66)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형성된 홀(72)을 사용하여, 상기 지주(20)들에 고정된다. 즉, 상기 밴드(66)의 일측은 상기 패널(70)의 홀(72)를 통하여 상기 볼트(68)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물론, 상기 망체(60)와 패널(70)의 고정은 다른 형태의 공지된 체결수단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지주들과 횡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메쉬 휀스를 제공하여 망체의 고정이 양측의 지주들과 이 지주들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횡대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망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망체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망체는 직경이 8mm~12mm인 철봉을 사용하므로써 더욱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휀스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메쉬 휀스는망체와 망체 사이에 표면상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패널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위 자연환경과 더욱 친화적인 메쉬 휀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에는 광고 또는 홍보용 디자인을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익창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금속재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상부(30)에 개구부(3 2)를 갖는 지주(20)들과;
    금속재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20)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양측이 상기 지주(2 0)들의 개구부(32)에 결합고정되고 그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에는 방지턱(58)이 일체로 형성된 횡대(40) 및;
    상기 지주(20)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이 상기 지주(20)들에 결합고정되는 망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들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7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휀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40)의 내부에는 전선케이블(90)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메쉬 휀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58)의 상단부는 톱니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휀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40)외주부의 일부분은 파이프조각(56)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휀스.
KR2020010010083U 2001-04-11 2001-04-11 메쉬 휀스 KR200238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83U KR200238473Y1 (ko) 2001-04-11 2001-04-11 메쉬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83U KR200238473Y1 (ko) 2001-04-11 2001-04-11 메쉬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73Y1 true KR20023847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083U KR200238473Y1 (ko) 2001-04-11 2001-04-11 메쉬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0B1 (ko) 2006-06-27 2008-01-31 (주)윈윈개발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0B1 (ko) 2006-06-27 2008-01-31 (주)윈윈개발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721B2 (en) Fence panel device and modular fence system
EA023034B1 (ru) Столб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и ограждение
EP2065541B1 (en) Metal fence
CN100476159C (zh) 保护门或窗开口的可调节装置和模块化可调节安全装置
KR200238473Y1 (ko) 메쉬 휀스
EP3567189B1 (en) Arrangement in a fence structure
KR101111581B1 (ko) 난간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0776810B1 (ko)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KR200459797Y1 (ko) 건축용 벽체의 연결구조
KR200275971Y1 (ko)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
KR102145026B1 (ko) 경사지 및 곡선구간에 설치 가능하며, 지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휀스 구조
KR200367716Y1 (ko) 알루미늄제 다목적 휀스
JP7443125B2 (ja) 扉付きのフェンス本体の製造方法
CN213039059U (zh) 一种建筑安全防护用人员警示装置
CN218581512U (zh) 一种凸窗防护装置
KR102209744B1 (ko) 리모델링 방음벽
EP1031675A2 (en) Section bar for support columns for cantilever roofs and similar covering means, and for different uses
GB2452526A (en) A temporary fence and support structure
KR200432967Y1 (ko) 울타리
KR100663107B1 (ko) 건물용 조립식 캐노피의 구조 및 설치방법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KR200413258Y1 (ko)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JP6303041B2 (ja) 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