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68Y1 - 온도계 - Google Patents

온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68Y1
KR200237768Y1 KR2020010003519U KR20010003519U KR200237768Y1 KR 200237768 Y1 KR200237768 Y1 KR 200237768Y1 KR 2020010003519 U KR2020010003519 U KR 2020010003519U KR 20010003519 U KR20010003519 U KR 20010003519U KR 200237768 Y1 KR200237768 Y1 KR 200237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meter
passage
mercury
scal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름
Original Assignee
최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아름 filed Critical 최아름
Priority to KR2020010003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68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계의 몸체에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진 부분의 두께를 몸체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한 확대부를 형성하여 시력이 나쁜 사람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계{A THERMOMETER}
본 고안은 온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계의 몸체에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진 부분의 두께를 몸체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한 확대부를 형성하여 시력이 나쁜 사람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가지의 환경에서 온도 또는 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은을 이용한 온도계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계는 모두가 작고 세밀한 눈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확인을 할 수 있고, 더욱이 시력이 나쁜 경우에는 확인하기가 더욱 힘이 들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계의 몸체에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진 부분의 두께를 몸체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한 확대부를 형성하여 시력이 나쁜 사람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온도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부에 수은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기다란 몸체가 상기 공간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수은이 온도에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통로의 일 측면에는 상기 수은이 상승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는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수은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로를 중심으로 상기 통로와 눈금이 새겨지지 않은 부분 사이의 두께 보다 상기 통로와 눈금 새겨진 부분 사이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빛의 굴곡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계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계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온도계 110 ... 수은
111 ... 통로 130 ... 몸체
131 ... 눈금 132 ... 확대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온도계(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온도계(100)는 기존의 온도계와 마찬가지로 하부에 수은(110)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기다란 몸체(130)가 상기 공간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30)의 중앙에는 수은(110)이 온도에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통로(111)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111)의 일 측면에는 상기 수은(110)이 상승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1)이 새겨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몸체(130)의 일 측면, 특히 눈금(131)이 새겨진 부분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빛의 굴곡을 일으키게 하는 데에 있다.
다시 말하면, 수은(11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로(111)를 중심으로 상기 통로(111)와 눈금(131)이 새겨지지 않은 부분 사이의 두께(도면에서 구간 'B'로 표시) 보다 상기 통로(111)와 눈금(131) 새겨진 부분 사이의 두께(도면에서 구간 'A'로 표시)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즉, 확대부(132)를 형성하여 빛의 굴곡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빛의 굴곡은 볼록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여 몸체(130)에 새겨진 눈금(131)이 사용자의 눈에 확대되어 보이게 되므로 사용자는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눈금(131)을 들여다보아도 충분히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도계는 눈금이 새겨진 부분의 두께가 더 두꺼워 볼록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눈금이 확대되어 보이므로 보다 떨어진 거리에서 보다 자세하게 관찰하지 않아도 충분히 정확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부에 수은(110)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기다란 몸체(130)가 상기 공간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130)의 중앙에는 수은(110)이 온도에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통로(111)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통로(111)의 일 측면에는 상기 수은(110)이 상승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1)이 새겨져 있는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수은(11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로(111)를 중심으로 상기 통로(111)와 눈금(131)이 새겨지지 않은 부분 사이의 두께 보다 상기 통로(111)와 눈금(131) 새겨진 부분 사이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빛의 굴곡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계.
KR2020010003519U 2001-02-13 2001-02-13 온도계 KR200237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19U KR200237768Y1 (ko) 2001-02-13 2001-02-13 온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19U KR200237768Y1 (ko) 2001-02-13 2001-02-13 온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68Y1 true KR200237768Y1 (ko) 2001-09-25

Family

ID=7309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19U KR200237768Y1 (ko) 2001-02-13 2001-02-13 온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6455B2 (en) Dark-banded vial for use with level
EP0346032A1 (en) Contact len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otation using such contact lens
KR200237768Y1 (ko) 온도계
ATE336682T1 (de) Druckregler mit anzeige
US4258475A (en) Golfer's sighting device
JP5466138B2 (ja) キャピラリーを使用した高感度の深さゲージとそれを有する時計
CN208333534U (zh) 一种精准测量的蒸发模拟器
WO2004083772A3 (fr) Procede de mesure d'objets tridimensionnels par ombroscopie optique a une seule vue
US20030107704A1 (en) Progressive power lens
JP2003131176A (ja) 印刷マークレイアウトを有する内面累進屈折力レンズ
KR200399075Y1 (ko) 학습용 온도계
JP4573160B2 (ja) 拡大レンズカバー付三角スケール
JP2005338590A (ja)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のレイアウトマークおよび眼鏡レンズ
US1152153A (en) Clinical thermometer.
KR200224587Y1 (ko) 돗수가 표기된 안경
KR200195599Y1 (ko) 돗수가 표기된 안경
KR200207094Y1 (ko) 비접촉식 형부율 측정기
JPS646498Y2 (ko)
KR200224588Y1 (ko) 렌즈프레임의 연결구에 돗수가 표기된 안경
KR200301963Y1 (ko) 메모자
CN2430706Y (zh) 多功能分划板
WO2005048819A3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fractive components and visual function of the eye for vision correction
JP2003028601A (ja) 動く目印
JP4301400B2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のレイアウトマーク及び累進多焦点レンズ
KR910002959Y1 (ko) 골프용 깃대의 거리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