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64Y1 - 자화연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연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64Y1
KR200237664Y1 KR2020010011279U KR20010011279U KR200237664Y1 KR 200237664 Y1 KR200237664 Y1 KR 200237664Y1 KR 2020010011279 U KR2020010011279 U KR 2020010011279U KR 20010011279 U KR20010011279 U KR 20010011279U KR 200237664 Y1 KR200237664 Y1 KR 200237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ization
induction coil
magnetic body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삼
Original Assignee
박노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삼 filed Critical 박노삼
Priority to KR2020010011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64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화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자정체에 다수회 감아진 자화유도코일을 부설하여 공급수가 반복하여 자력을 더 받도록 구성한 자화연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성체(20)를 경유한 자화수를 정수필터(52) 또는 연수기(62)를 통과시켜 음용수 또는 샤워수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20)에는, 자성체의 수용폭내에서 원형으로 수회 감겨진 자화유도코일(30)이 지지 설치되고, 이 자화유도코일(30)의 일단은 공급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수필터(52) 또는 연수기(62)에 연결되어, 공급수가 자화유도코일(30)에서 감긴 수만큼 자성체의 자력 자극을 더 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화연정수장치{Soft and clean water device using magnet}
본 고안은 자화연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화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자정체에 다수회 감아진 자화유도코일을 부설하여 공급수가 반복하여 자력을 더 받도록 구성한 자화연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각수(이하 '자화수'라 한다)를 만드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것이 자성체이다. 즉, 자성체가 갖는 고유한 자력을 이용하여 물의 물리적 구조를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화수는 연성으로서 살균 및 인체 신진대사에 필요한 활성 기능을 높여 흡수가 뛰어나고 피부 건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또는 연수장치를 보면, 직관형의 입수관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이 입수관을 한번 통과한 자화수를 정수필터 또는 연수기에 공급하여 음용수나 샤워수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화수를 얻기 위한 방식을 보면, 자성체에 설치된 입수관이 직관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입수관에 공급된 물은 단 한번의 자력만을 받게 되어 있어 충족된 자화수를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화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자정체에 자화유도코일을 부설하여 공급수가 반복하여 자력을 더 자극 받도록 구성한 자화연정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자성체를 경유한 자화수를 정수필터 또는 연수기를 통과시켜 음용수 또는 샤워수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에는, 자성체의 수용폭내에서 직경으로 수회 감겨진 자화유도코일이 설치되고, 이 자화유도코일의 일단은 공급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수필터 또는 연수기에 연결되어, 공급수가 자화유도코일에서 감긴 수만큼 자성체의 자력을 더 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공급수가 자화유도코일을 원형으로 수회 반복하면서 순환하는 동안 자성체에서 여러번 자력을 더 자극받아 자화수의 기능을 높이게 된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성체와 자화유도코일의 결합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화연정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화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성체 20a : 파지공간부
30 : 자화유도코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성체와 자화유도코일의 결합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화연정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화수를 얻기 위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20)와, 이 자성체(20)에 원형으로 수회 감겨진 자화유도코일(30)을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20)에는 자화유도코일(30)의 일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공간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파지공간부(20a)에 자화유도코일(30)이 다수회 감아져 지지되어 있다.
이때 자화유도코일(30)은 내식성이 강한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로서 스테인레스관 또는 동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화유도코일(30)은 10회 감겨져 있어서, 자화유도코일(30)로 입수된 물은 원형운동을 수회 반복하면서 자성체(20)를 10회 통과하여 총 10번의 자력을 자극받게 되어 있다.
상기 자화유도코일(30)의 감긴 횟수는 자성체(20)의 폭이 허용하는 한 적어도 10회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자화유도코일(30)은 자성체(20)의 폭을줄이기 위해 도 2b와 같이 상하 2열로 감아져 있다.
그리고 자화유도코일(30)의 직경은 자화유도코일(30)이 설치될 자화연정수장치 본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a,1b의 자화유도코일(30)을 적용한 일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정수장치와 연수장치가 함께 포함된 자화연정수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정수장치와 연수장치를 별도로 하여 본 고안의 자화유도코일(30)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와 같이 본체(50)의 한쪽에 복수개의 정수필터(52)가 배치되고, 이 정수필터(52)에 자성체(20)를 갖는 자화유도코일(3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자화유도코일(30)의 타단은 급수밸브(V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밸브(V1)를 열어놓고 정수필터(52)에 연결된 밸브(V2)를 열면, 급수된 통상의 물(예로, 수돗물)은 자화유도코일(30)을 수회 반복하면서 자성체 (20)로부터 자력을 수회 더 자극받아 정수필터(52)로 공급된다.
또한 본체(50)의 다른 한쪽에 샤워기(60)가 연결된 연수기(62)가 배치되고, 이 연수기(62)는 보일러(90)를 경유한 후 자성체(20)를 갖는 자화유도코일(30)을 통과하여 난방기(100)를 순환하고 돌아온 온수를 연수시키고, 이 연수는 샤워기 (6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는 유도코일(30)을 따라 수회 반복 회전하면서 자력의 자극을 더 받아 난방을 수행한 후 연수기(62)를 통과하여 샤워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정수장치에 도 1a에서 설명한 자성체(20)와 자화유도코일 (30)을 설치하고, 자화유도코일(30)의 입수관측에 자성체(20')를 더 추가한 것이다.
도 3은, 외부 공급수를 자화유도코일(30)로 공급 순환시켜 자성체(20)에 의해 자력을 수십회 더 받도록 자극시킨 후 또 다시 자성체(20')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교체스위치부(130)의 선택에 따라 침전필터(102)와 카본필터(104)를 통과시킨 후 저수통(106)내로 공급토록 할 수 있고, 또는 자화유도코일(30)을 통과시키지 않고 바로 침전필터(102)와 카본필터(104)를 통과시켜 정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직수조절장치(110)는 저수통(106)내의 수준 높이를 배수조절장치(120)를 통해 센서(S)로 감지하여 적정한 량의 자화수를 저수통(106)에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V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이와 같이 자성체(20)(20')와 자화유도코일(30)을 포함한 자화연정수장치는 공급수가 원형운동하면서 여러번 자성체(20)의 자력을 반복적으로 자극받아 자화성이 상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화연정수장치에 따르면, 공급수가 반복적으로 수회의 자력 자극을 더 받아 자화수의 기능이 뛰어나게 되어 음용수는 물론 샤워수로서 기능이 월등히 향상된다.

Claims (3)

  1. 자성체(20)를 경유한 자화수를 정수필터(52) 또는 연수기(62)를 통과시켜 음용수 또는 샤워수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20)에는, 자성체의 수용폭내에서 원형으로 수회 감겨진 자화유도코일(30)이 지지 설치되고, 이 자화유도코일(30)의 일단은 공급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수필터(52) 또는 연수기(62)에 연결되어, 공급수가 자화유도코일(30)에서 감긴 수만큼 자성체의 자력 자극을 더 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연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유도코일(30)은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재로서 적어도 10회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연정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유도코일(30)의 입수관측에 자성체(2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연정수장치.
KR2020010011279U 2001-04-19 2001-04-19 자화연정수장치 KR200237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79U KR200237664Y1 (ko) 2001-04-19 2001-04-19 자화연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79U KR200237664Y1 (ko) 2001-04-19 2001-04-19 자화연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64Y1 true KR200237664Y1 (ko) 2001-10-11

Family

ID=7309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279U KR200237664Y1 (ko) 2001-04-19 2001-04-19 자화연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1651A (zh) * 2018-11-19 2019-01-18 覃如贤 一种家用净水方法及净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1651A (zh) * 2018-11-19 2019-01-18 覃如贤 一种家用净水方法及净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1984A1 (en) Magnetized filtering device
US20110108135A1 (en) Magnetic hygienical water tap
CN202100823U (zh) 一种多功能水龙头
KR200237664Y1 (ko) 자화연정수장치
KR200409944Y1 (ko) 정수시스템의 자화연수기
CN104817219A (zh) 一种净水装置
JP3781865B2 (ja) 活水装置
AU2003219049A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CN204607796U (zh) 一种功能水制取装置
Rice et al. Biological processes in the treatment of municipal water supplies.
AT502783A2 (de) Gerät zur wasserbehandlung
KR100396149B1 (ko) 다극 자장식 원적외선에 의한 수처리 및 청관장치
EP0970919B1 (de) Vorrichtung zum Desinfizieren einer Wasserbehandlungseinheit
GB2240732A (en) Electromagnetic treatment of water
CN208166778U (zh) 一种多级磁化装置
DE3932565A1 (de) Kleingeraet, z. b. kaffeemaschine, dampfbuegeleisen oder espressomaschine und verwendung von magneten in diesen geraeten
KR200177202Y1 (ko) 수처리 활성장치
CN107021534A (zh) 一种带加热功能的净水机滤瓶及其应用
KR940003222Y1 (ko) 자화수 정수기
JP3069019U (ja) 活性常水製造装置
DE102011114870A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Fluids
AT409261B (de) Einrichtung zur physikalischen behandlung von trinkwasser
KR200447442Y1 (ko) 자화처리기의 와류유도장치
JPS6253714A (ja) 流体の磁化浄化装置
JP3144731B2 (ja) 浄水殺菌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