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05Y1 -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405Y1
KR200237405Y1 KR2020010010129U KR20010010129U KR200237405Y1 KR 200237405 Y1 KR200237405 Y1 KR 200237405Y1 KR 2020010010129 U KR2020010010129 U KR 2020010010129U KR 20010010129 U KR20010010129 U KR 20010010129U KR 200237405 Y1 KR200237405 Y1 KR 200237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steam
carbonized
carbonization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2020010010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405Y1/ko

Links

Landscapes

  • Coke Indu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벼 껍질 즉 왕겨의 연소 연기에 포함된 탄화액을 분리 정제하여 농업용, 원예용 등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호퍼와 밴드히터가 설치된 원통형 탄화장치와 탄화된 왕겨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분쇄장치로 이루어진 왕겨 탄화장치에 있어서, 탄화장치에 연결된 증기배출관에 유입된 탄화증기를 냉매로서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냉각기와, 전기 냉각기로 부터 배기되는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버너에 의해 완전 연소시키는 재연소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Description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A abstraction device of carbonization using by hull}
본 고안은 벼 껍질 즉 왕겨의 연소 연기에 포함된 탄화액을 분리 정제하여 농업용, 원예용 등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0928 호 왕겨를 이용한 보온재의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 주조공장에서 용해한 금속의 용탕이 식지 않도록 덮는 데 사용되는 왕겨재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연기를 냉각시켜 응축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왕겨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연기의 응축물인 탄화재는 참나무를 이용한 숯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목초액과 유사한 성분을 가지는 것으로알려져 있는 데, 목초액은 초산, 개미산, 알콜류, 프로피오산, 페놀류, 아세톤등 중성성분과 염기성 성분의 결정체로서 약 200여가지의 유기물로 구성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살균, 해독력이 강하며, 침투 흡수력이 빨라 식물생리작용과 토양오염원 제거등 농업용과 비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은 이와같은 효과가 있는 탄화액을 왕겨의 탄화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회수하지 못하고 많은 양을 대기로 방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왕겨를 탄화시키는 밀폐된 원통형 탄화장치에 연결시킨 증기배출관에 냉매를 열교환매체로서 탄화증기를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냉각기와, 냉각기로 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2차 연소시켜 완전연소시키는 재연소장치로 이루어진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냉각기의 평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탄화장치 200 : 이송장치 300 : 분쇄장치
400 : 냉각기 500 : 재연소장치 1 : 호퍼
2 : 밴드히터 3 : 증기배출관 4 : 냉매
5 : 버너 6 : 증기유입구 7 : 탄화액 배출구
8 : 통체 9 : 냉매실 10,10 : 증기관
11 : 배출로 12 : 연결관 13 : 건조증기실
14 : 연소실 15 : 연통 16 : 탄화액
17,17' : 순환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3은 냉각기의 평면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호퍼(1)와 밴드히터(2)가 설치된 원통형 탄화장치(100)와 탄화된 왕겨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와, 분쇄장치(300)로 이루어진 왕겨 탄화장치에 있어서, 탄화장치(100)에 연결된 증기배출관(3)에 유입된 탄화증기를 냉매(4)로서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냉각기(400)와, 전기 냉각기(400)로 부터 배기되는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버너(5)에 의해 완전 연소시키는 재연소장치 (500)로 이루어져 있다.
냉각기(400)는 증기유입구(6)와 탄화액 배출구(7)가 상하로 형성된 통체(8)의 내부에 냉매실(9)이 설치되어 이의 내부에 상하단이 증기유입구(6)와 탄화액 배출구 (7)와 연통하는 증기관(10)(10')이 다수개 매입되고 냉매실(9)과 통체(8)의 사이에는 증기관(10)(10')으로 부터 토출되는 수분이 제거된 건조증기를 배출하는 건조증기 배출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재연소장치(500)는 전기 냉각기(400)의 건조증기 배출로(11)와 연결관(12)으로 연결되는 건조증기실(13)과 버너(5)의 연소열로 증기를 재연소시키는 연소실(14 )로 구획되어 있으며 연소실(14)에는 연통(15)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탄화액이고 17,17'는 냉매(4)의 순환관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호퍼(1)를 통해 투입된 왕겨가 밴드히터(2)로서 가열되는 탄화장치(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화되고 이송장치(200)를 통해 이송된 탄화 왕겨를 분쇄장치(300)에서 분쇄하여 포장하게 되는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증기를 효율적으로 응축시켜 탄화액을 얻을 수 있게 한 장치로서, 본 고안의 탄화액 추출장치는 전기한 탄화장치(100)에서 발생된 탄화증기가 증기배출관 (3)에 의거 냉각기(400)의 증기유입구(6)로 유입되면 냉매실(9)의 내부에 매입된 증기관(10)(10')을 통해 냉매실(9)을 빠져 나가는 과정에서 차거운 냉매(4)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저온으로 냉각되므로 이 과정에서 탄화증기에 포함된 탄화액이 응축되어 저부의 탄화액 배출구(7)로 흘러 용기에 저장되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된 증기는 냉매실(9)과 통체(8)의 사이에 형성된 건조증기 배출로(11)를 통해 연결관(12)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연결관(12)으로 배출된 건조된 증기는 재연소장치(500)의 증기실(13)로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연소실(14)에서 버너(5)의 화염으로 2차 연소가 이루어져 완전 연소된 후 정화되어 연통(15)으로 빠져 대기로 방출되므로 대기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냉각기(400)의 내부에 설치된 냉매실(9)은 냉매(4)가 대량 충진되어 순환관(17)(17')으로 연속 순환되면서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증기관(10)(10')으로 유입된 탄화증기를 효율적으로 열교환시켜 응축시키게 됨에 따라 응축수 즉 탄화액을 대량으로 분리하여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왕겨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탄화증기를 효율적으로 추출시켜 목초액과 유사한 성분의 탄화액을 다량으로 회수하게 되므로 비료와 식물생리작용, 토양오염원 제거등 농업용과 축산용, 원예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호퍼(1)와 밴드히터(2)가 설치된 원통형 탄화장치(100)와 탄화된 왕겨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와, 분쇄장치(300)로 이루어진 왕겨 탄화장치에 있어서, 탄화장치(100)에 연결된 증기배출관(3)에 유입된 탄화증기를 냉매(4)로서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냉각기(400)와, 전기 냉각기(400)로 부터 배기되는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버너(5)에 의해 완전 연소시키는 재연소장치(500)로 이루어져 있는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기(400)는 증기유입구(6)와 탄화액 배출구(7)가 상하로 형성된 통체(8)의 내부에 냉매실(9)이 설치되어 이의 내부에 상하단이 증기유입구(6)와 탄화액 배출구(7)와 연통하는 증기관(10)(10')이 다수개 매입되고 냉매실 (9)과 통체(8)의 사이에는 증기관(10)(10')으로 부터 토출되는 수분이 제거된 건조증기를 배출하는 건조증기 배출로(11)가 형성되어 있는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재연소장치(500)는 냉각기(400)의 건조증기 배출로(11)와 연결관(12)으로 연결되는 건조증기실(13)과 버너(5)의 연소열로 증기를 재연소시키는 연소실(14)로 구획되고 연소실(14)에 연통(15)이 연결되어 있는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KR2020010010129U 2001-04-11 2001-04-11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KR200237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29U KR200237405Y1 (ko) 2001-04-11 2001-04-11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29U KR200237405Y1 (ko) 2001-04-11 2001-04-11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405Y1 true KR200237405Y1 (ko) 2001-10-11

Family

ID=7306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29U KR200237405Y1 (ko) 2001-04-11 2001-04-11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40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3B1 (ko) * 2002-09-05 2005-07-21 이기명 왕겨초액 제조장치
KR100700866B1 (ko) * 2005-06-27 2007-03-29 김재숙 탄화왕겨 제조장치
KR100729371B1 (ko) * 2005-04-19 2007-06-18 해표산업 주식회사 왕겨숯 및 왕겨초액 제조장치
KR101419608B1 (ko) * 2012-12-12 2014-07-15 구례군 친환경 비료액을 이용하여 오메가-3가 함유된 벼를 재배하는 방법
KR102642306B1 (ko) * 2023-09-19 2024-02-28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식 탄화장치를 이용한 낙엽 바이오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낙엽 바이오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3B1 (ko) * 2002-09-05 2005-07-21 이기명 왕겨초액 제조장치
KR100729371B1 (ko) * 2005-04-19 2007-06-18 해표산업 주식회사 왕겨숯 및 왕겨초액 제조장치
KR100700866B1 (ko) * 2005-06-27 2007-03-29 김재숙 탄화왕겨 제조장치
KR101419608B1 (ko) * 2012-12-12 2014-07-15 구례군 친환경 비료액을 이용하여 오메가-3가 함유된 벼를 재배하는 방법
KR102642306B1 (ko) * 2023-09-19 2024-02-28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식 탄화장치를 이용한 낙엽 바이오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낙엽 바이오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0961T3 (es) Proceso y dispositivo para tratamiento de biomasa
CN101018842A (zh) 热解机
RU2008103400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х материалов
NO20110041A1 (no) Fremgangsmate og apparatur for fremstilling av torrifisert lignocelluloseholdig materiale
CA2760218A1 (en) Device, use thereof,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converting biomass
EP1843114A1 (en) Dryer plant
KR200237405Y1 (ko) 왕겨를 이용한 탄화액 추출장치
WO1980002062A1 (en) A method of extracting heat from manure,sewage mud and other wet waste by combustion
CN104910931A (zh) 一种养殖场固体废物连续热解炭化处理方法及装置
CN214400194U (zh) 市政污泥干化热解炭化系统
CN101823830A (zh) 过热蒸汽闭路循环的污泥干燥装置及干燥方法
US8939676B2 (en) Ammonia stripper
CN214842637U (zh) 生物质炭化余热降温交换系统
CN216093709U (zh) 一种高温热再生活性炭的处理装置
KR200179763Y1 (ko) 폐열회수용 열교환장치를 갖는 건조기
RU269434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ктивированного угля
CN112254444B (zh) 一种车辆烘干消杀系统及方法
CN110736332A (zh) 一种生活垃圾干燥系统及方法
CZ33086U1 (cs) Torefakční zařízení pro porézní biomasu
KR0122565Y1 (ko) 목초산 추출장치
CN202643515U (zh) 污泥间接干燥、焚烧附属系统
CN205275517U (zh) 环保炭化炉
CN218910240U (zh) 生物质热解碳化系统
JPH06306368A (ja) 炭化物製造用キルンに装備される酢液抽出装置
JP7049635B1 (ja) 固液分離装置、燃料用原料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