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64Y1 - 냉장고다리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다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64Y1
KR200237064Y1 KR2019960019210U KR19960019210U KR200237064Y1 KR 200237064 Y1 KR200237064 Y1 KR 200237064Y1 KR 2019960019210 U KR2019960019210 U KR 2019960019210U KR 19960019210 U KR19960019210 U KR 19960019210U KR 200237064 Y1 KR200237064 Y1 KR 200237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screw shaft
landing
rolling memb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410U (ko
Inventor
류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19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64Y1/ko
Publication of KR980004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64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높이조정을 위한 수단과 냉장고의 이동시 필요한 구름수단을 단일몸체에 제작구성함으로 작업공정수를 절감함과 동시에 부품수절감을 꾀하게 된 냉장고 다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일측 상면으로 힌지축(101)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으로 나사공(103)을 형성하여 냉장고 본체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트(100)와; 상기 브라켓트의 나사공(103)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축(111)이 상향돌출되고, 나사축 하부에 원형의 돌림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높이조정수단(110)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이 공회전되도록 끼워지며, 냉장고의 이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120)과; 상기 이동수단의 일측으로 결합되고 그의 움직임 상태를 제어하는 착지수단(130)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축의 승,하강상태를 제어하는 한 쌍의 너트(141)(141′); 등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다리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따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따른 착지수단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로써,
제4(a)도는 다리장치를 통한 냉장고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4(b)도는 다리장치를 통한 냉장고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켓트 110 : 높이조정수단
111 : 나사축 112 : 돌림부
113 : 끼움돌기 120 : 이동수단
121 : 몸체 122 : 축
123 : 구름부재 123a : 걸림돌기
130 : 착지수단 131 : 장공
132 : 접지부 133 : 록킹부
133a : 걸림돌편
본 고안은 냉장고의 높이조정을 위한 수단과 냉장고의 이동시 필요한 구름수단을 단일몸체에 제작구성함으로 작업공정수를 절감함과 동시애 부품수절감을 꾀하게 된 냉장고 다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하부는 제1도에서와 같이 본체(10) 하부 선단 양측으로 한 쌍의 조정다리(20)가 설치되어 냉장고의 높이조정 및 평형상태를 조정하고, 그의 후위로 구름수단 예컨데, 한 쌍의 케스터(30)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편리한 이동상태를 얻는 것이다.
상기 조정다리(20)와 케스터(30)는 냉장고의 본체 하부 모서리 부위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2)을 통하여 설치결합된 브라켓트(11)상에 나사체결 및 회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사용되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도어(13)를 회동가능하계 지지하여주는 힌지축(11a)이 일측 상면에 마련되고, 그의 일측으로 조정다리(20)의 나사축(22)이 나사체결되어지는 나사공(11b)이 형성되는 한편, 후위에는 케스터(30)의 공회전축(32)이 끼워지는 끼움공(11c)이 형성된 판상의 브라켓트(11)를 냉장고 하부 모서리 선단으로 볼트체결 고정하고, 결합된 브라켓트의 나사공으로 원형의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의 상면 중앙으로 부터 상향돌출된 나사축(22)을 갖는 조정다리(20)가 나사풀림 방향 및 잠금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하는 한편, 양측으로 축수부(31)가 현성되고 상면으로 공회전축(32)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축수부에 축을 통하여 가설된 구름부재(33)로 이루어진 케스터(30)가 상기 브라켓트상에서 367°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정다리 및 케스터는 이들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냉장고의 수평 및 평형상태를 조정함과 동시에 냉장고의 이동 예컨데, 출하시에나 냉장고의 설치위치 변동시 원활한 이동상태를 얻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조정다리 및 케스터가 각기 독립된 구성으로 브라켓트상에 설치됨으로 작업공정수가 상승되어 원가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냉장고 저부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들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시 걸리적거림을 제공하는등의 제반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장고 높이조정을 행하는 높이조정수단과 냉장고의 원활한 이동을 이루기위한 이동수단을 단일 몸체내에 제작 설치시킴으로 작업공정수가 줄어들고 원가절감을 꾀하게 된 냉장고 다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상면으로 힌지축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으로 나사공을 형성하여 냉장고 본체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나사공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축이 상향돌출되고, 나사축 하부에 원형의 돌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높이조정수단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이 공회전되도록 끼워지며, 냉장고의 이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일측으로 결합되고 그의 움직임 상태를 제어하는 착지수단과;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축의 승,하강상태를 제어하는 한 쌍의 너트;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이동수단은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 하부가 공회전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으로 축을 통하여 축설되는 구름부재로 구성된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착지수단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면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한편, 일측 상면으로 접지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한 상,하 회동이 가능하고 내면에 끼움돌편이 형성된 록킹부를 구성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이동수단의 구름부재 내면에 방사상의 걸림돌기가 수개 형성되어진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따른 착지수단 사시도 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로써, 제4(a)도는 다리장치를 통한 냉장고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4(b)도는 다리장치를 통한 냉장고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2도 및 제4(a)도, 제4(b)도와 같이 일측상면으로 상향돌출된 힌지축(101)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에 끼움공(102)이 천공된 브라켓트(100)를 냉장고 하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04)을 통하여 설치하고 그의 하부에 냉장고 다리장치(A)를 설치한다.
상기 다리장치(A)는 브라켓트(100)의 나사공(103)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축(111)이 일정길이 상향돌출되고 외주면에 너어링과 같은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원형의 돌림부(112)가 마련되는 한편 돌림부 하부에 후술할 착지수단의 상면장공에 끼움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서 된 높이조정수단(110)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정수단(110)이 공회전되도록 끼워지며 냉장고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0)을 구성하며, 상기 이동수단(120)의 일측으로 결합하여 그의 움직임 상태를 제어하는 착지수단(130)을 마련하는 한편, 상기 높이조정수단(110)의 나사축(111) 상,하부에 한 쌍의 너트(141)(141′)를 나사체결하여 이를 통한 나사축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이동수단(120)은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 하부가 끼워지는 끼움공(121a)이 상부에 형성된 몸체(121)를 구성하고 몸체 일측으로 축(122)을 통하여 축설되는 한 쌍의 구름부재(123)를 설치한다.
구름부재(123)는 내면에 방사상의 걸림돌기(123a)를 수개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착지수단(13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면으로 장공(131)이 형성된 원통형을 부여하는 것이고 일측 상면으로는 접지부(132)를 형성하여 이를통한 상,하 회동이 가능하고 내면에 끼움돌편(133a)이 형성된 록킹부(133)를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냉장고 본체 하부 모서리에 냉장고 고내를 개폐하는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함은 물론 다리장치(A)를 결합하는 판상의 브라켓트(100)를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04)을 통하여 견고히 설치시킨 다음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 나사공으로 다리장치(A)중 높이조정수단(110)의 나사축(111)을 나사체결하되, 일차적으로 나사축에 한 쌍의 너트(141)(141′)를 나사체결한 상태에서 높이조정수단(110)을 본체 하부에 견고히 결합한다.
그런다음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111) 하부를 이동수단의 몸체(121) 상면 끼움공(121a)으로 끼워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몸체 일측으로는 축(122)으로 통하여 한 쌍의 구름부재(123)를 결합한다.
그리고 이동수단(120)과 높이조정수단의 결합시 미리 착지수단(130)을 이들(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과 이동수단의 몸체)사이에 끼움결합한다.
이와같이 냉장고의 다리장치 설치가 완료된후 소망하는 냉장고의 높이조정 및 평형조정 또는 냉장고의 이동상태를 제3(a)도, 제3(b)도를 통하여 설명한다.
즉, 냉장고의 설치위치를 선정한후 냉장고의 높이 및 평형상태를 조정하게 될때 높이조정수단(110)의 나사축(111) 하부에 형성된 돌림부(112)를 잡고 일측방향 예컨데, 나사축의 잠금방향 및 풀림방향으로 회동시켜 높이조정을 이룬후 나사축의 상,하부에 나사체결되어진 한 쌍의 너트(141)(141′)를 상호 맞닿도록 회동시켜 브라켓트(100)와 냉장고 본체 하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이후 높이조정수단이 셋팅된 높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이동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진 착지수단(130)은 착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것으로 착지수단의 상면 장공(131)을 높이조정수단의 끼움돌기(113)와 구멍을 일치시킨 다음 착지수단(130)을 상부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킨면 착지수단의 장공 하면으로 부터 끼움돌기(113)가 엇갈리게 되어 이를 통한 착지수단이 착지면으로 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때 착지수단의 상면 일측으로 접지부(132)을 통하여 상,하회동되는 록킹부(133)의 내면 끼움돌편(133a)은 이동수단의 구름부재 내면 걸림돌기(123a)로 부터 이탈시켜 록킹부(133)가 상부로 변위시켜 최종적으로 이동수단의 구름부재(123)만이 착지면에 착지되어 이를 통한 냉장고의 자유로운 이동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냉장고를 이동시킨후 냉장고의 높이조정 및 평형상태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제3(b)도와 같이 착지면을 부터 일정높이 떨어져 있던 착지수단(130)을 높이조정수단(110)으로 부터 걸림상태를 해재하여 착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착지수단의 상면 장공(131)과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 하부에 마련된 끼움돌기(113)와의 구멍을 상호 연통시켜 착지수단을 하부로 내려 바닥에 닿게하고 착지수단(130)의 일측으로 형성된 록킹부(133)를 일측으로 회동시켜 내면에 마련된 끼움돌편(133a)이 이동수단(120)의 구름부재(123) 일측면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기(123a)들의 틈사이로 끼움되어 결국에는 착지수단을 통하여 이동수단의 구름부재가 부동상태로 되는 것이며, 이후에는 높이조정수단 나사축상의 돌림부(112)를 잡고 나사의 풀림방향 또는 잠금방향으로 회동시켜 소망하는 냉장고의 높이 및 평형상태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냉장고의 높이조정 및 평형조정 수단과 냉장고의 이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이 단일몸체를 갖는 다리장치에 형성하여줌으로써, 냉장고 저부에 설치 결합되는 부품들의 조립 및 분해시 원활한 취부를 얻게되고, 부품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및 작업공정수를 줄이게 된 효과를 얻는다.
이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블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냉장고 본체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트(100)의 나사공(103)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축(111)과 냉장고의 높이 조정을 위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 브라켓트에 대하여 한쌍의 너트(141)(141′)에 의해 한정되는 범위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나사축(111)의 하부에 보다 큰 직경으로 일체로 형성된 돌림부(112)를 구비한 높이조정수단(110), 냉장고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높이조정수단(110)의 나사축(111) 하단부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몸체(121)와 그 몸체의 양측으로 관통된 축(1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름부재(123)를 구비한 이동수단(120), 상기 이동수단을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나사축(111)에 형성된 끼움돌기(113)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된 장공(131)을 통하여 높이조정수단의 나사축(111)에 끼워져 있으며 착지위치에서 이동수단의 구름부재(123)와 맞물려 정지시키도록 록킹부재(133)를 구비한 착지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다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수단은 일측부가 상하 회동가능하게 상면에 접지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부재(133)는 착지수단의 회동가능한 일측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돌편(133a)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구름부재(123)의 내측에 방사상의 복수개의 이격된 걸림돌기(123a)가 형성되어, 착지위치에서는 상기 착지수단의 일측부 하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끼움돌편(133a)이 구름부재의 걸림돌기 (123a)들 사이에 맞물려 구름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고, 착지수단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끼움돌편(133a)이 구름부재의 걸림돌기(123a)들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이동부재의 구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냉장고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다리장치.
KR2019960019210U 1996-06-29 1996-06-29 냉장고다리장치 KR200237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10U KR200237064Y1 (ko) 1996-06-29 1996-06-29 냉장고다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10U KR200237064Y1 (ko) 1996-06-29 1996-06-29 냉장고다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410U KR980004410U (ko) 1998-03-30
KR200237064Y1 true KR200237064Y1 (ko) 2001-11-22

Family

ID=6087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210U KR200237064Y1 (ko) 1996-06-29 1996-06-29 냉장고다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200B1 (ko) * 1999-06-23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200B1 (ko) * 1999-06-23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41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854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JPH114724A (ja) 高さ調整装置および高さ調整装置を装備した家庭用品
US4780914A (en) Automatically lifting device for toilet seat
US5722814A (en) Fan blade mounting device having a decorative member provided thereon
KR200237064Y1 (ko) 냉장고다리장치
US20040016313A1 (en) Electrical rolling door transmission
JPH0245698A (ja) 水ポンプの駆動及び据付け装置
KR0149270B1 (ko) 냉장고 다리장치
KR200208853Y1 (ko) 가구용 높이 조절기
KR0159597B1 (ko) 프로젝터의 받침다리 승강조절구조
KR200377809Y1 (ko) 고정부를 구비하는 이동형 바퀴
WO2020107907A1 (zh) 风扇
KR0150088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수평조절장치
EP1828515B1 (en) Adjustable door hinge
CN219165898U (zh) 移动装置及可移动办公桌
KR920008459Y1 (ko) 대문짝의 힌지장치
KR930008291Y1 (ko)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200177884Y1 (ko) 캐스터
KR200210167Y1 (ko) 절첩식 가구용 도어의 조절장치
JP3097542U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台座構造
JPS6145393Y2 (ko)
KR200155658Y1 (ko)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KR0122563Y1 (ko)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KR20032254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
JPH02293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