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88Y1 -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88Y1
KR200236988Y1 KR2020010009052U KR20010009052U KR200236988Y1 KR 200236988 Y1 KR200236988 Y1 KR 200236988Y1 KR 2020010009052 U KR2020010009052 U KR 2020010009052U KR 20010009052 U KR20010009052 U KR 20010009052U KR 200236988 Y1 KR200236988 Y1 KR 20023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table
motor
air filter
fil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국
Original Assignee
오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국 filed Critical 오상국
Priority to KR2020010009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88Y1/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상기 양 스크류봉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스크류봉의 정·역 회전에 의해 작동대와 함께 상·하로 이송되는 너트(40); 상기 제1스프라켓이 위치하는 작동대에 고정 설치되며, 제1스프라켓을 제2모터(60)의 정·역구동에 의해 구동시켜 흡입부를 작동대에서 좌·우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여과망에 붙은 먼지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여과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제조원가의 절감 그리고 이로 인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EQUIPMENT CLEANING SCREEN OF AIR FILTER}
본 고안은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망에 붙은 먼지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여과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제조원가의 절감 그리고 이로 인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공기여과기(空氣濾過器, air filter)는 대기 속이나 실내에 떠다니는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로, 주로 빌딩이나 지하철 또는 그 밖의 각종 건물 등의 환기구(換氣口:VENTILATING HOLE)에 설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換氣)라 함은 생활 공간의 공기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서 외기 또는 조정된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환기의 방법으로는 실내외의 온도차나 외부의 풍력에 의한 자연 환기와 동력을 써서 강제적으로 하는 기계 환기가 있고, 이를 위한 환기의 목적으로 벽이나 천장 구석, 천장 밑, 바닥 등에 뚫어 놓은 환기구에 공기여과기를 설치하여 환기를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망을 청소하는 공기여과기는 종래에도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7-10307호(공개번호 97-49188호)로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제1스프라켓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대에서 흡입부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주변의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기술적 구성이 외부 노출로 인하여 오물질의 침투가 손쉬워 작동의 하자 요인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공기여과기의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발생될 경우 수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때로는 공기여과기 전체를 사용할 수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많은 부품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 및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과망에 붙은 먼지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공기여과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제조원가의 절감 그리고 이로 인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여과망이 설치된 커버 및 이 커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하단 적소에 제1모터가 설치되고, 이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프레임의 내부 좌우 적소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큐류봉; 상기 양 스크류봉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2 스프라켓에 권취된 체인의 이송에 의해 호스와 연결된 흡입부가 좌우로 이송되도록 한 작동대; 대기 속이나 실내에 떠다니는 먼지가 여과망에 붙으면 이를 흡입부가 빨아들여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양 스크류봉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스크류봉의 정·역 회전에 의해 작동대와 함께 상·하로 이송되는 너트; 상기 제1스프라켓이 위치하는 작동대에 고정 설치되며, 제1스프라켓을 제2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구동시켜 흡입부를 작동대에서 좌·우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를 나타낸 부분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를 나타낸 부분 평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부분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여과기 10: 프레임
12: 여과망 20: 제1모터
22: 샤프트 30: 스크류봉
40: 너트 50: 작동대
54: 흡입부 60: 제2모터
70: 제1센서 80: 제2센서
본 고안에 적용된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부호 1 은 대기 속이나 실내에 떠다니는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여과기이다.
상기 공기여과기(1)는 외곽틀이 프레임(10)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커버(11)가 구비되고, 커버(11)에는 여과망(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하단 적소에는 제1모터(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제1모터(20)의 회전에 의해서는 벨트(21)와 연결된 샤프트(22)가 회전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양 적소에는 스크류봉(30)이 수직으로 세워져설치되는 것으로, 이 스크류봉(30)의 상하단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32)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봉(30)은 샤프트(22)와 스크류봉(30)이 스파이럴기어(23, 31) 또는 베벨기어와 상호 맞물리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 스크류봉(30)의 외주면에는 너트(40)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너트(40)와 타측 너트(40)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대(5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대(50)의 양 적소에는 제1스프라켓(51)과 제2스프라켓(5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2스프라켓(51)(52)의 외주면에는 체인(53)이 권취되고, 상기 체인(53)의 적소에는 호스(55)와 연결된 흡입부(54)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대(50)의 일측 적소, 즉 제1스프라켓(51)과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적소에는 일측으로 이송되는 흡입부(54)가 작동대(50)의 끝단부위에 위치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2모터(60)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는 제2모터(60)를 자동으로 역구동시켜 상기 흡입부(54)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센서(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상·하 적소에는 스크류봉(30)의 상부나 하부로 이송되는 작동대(50)의 상하단을 감지하면 이를 제1모터(20)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는 정회전하는 제1모터(20)를 자동으로 역구동시켜 작동대(5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2센서(8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공기여과기(1)의 여과망(12)에 먼지가 묻으면 흡입부(54)가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여과망(12)에 묻은 먼지를 모두 제거하게 된다.
즉, 도면상 미 도시된 콘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제1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이 제1모터(20)의 구동에 의해서 벨트(21)와 연결된 샤프트(2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서는 스크류봉(30)이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샤프트(22)의 양단에 형성된 스파이어럴기어(23)는 스크류봉(30)의 하단에 형성된 스파이어럴기어(31)와 상호 맞물려 설치됨으로 스크류봉(30)이 베어링(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봉(30)의 정·역회전에 의해서는 이의 외주면에 체결된 너트(40)와 작동대(50)가 함께 상하로 이송되는 것으로, 이때 작동대(50)에 설치된 흡입부(54)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과망(12)에 묻은 먼지를 호스(55)와 이호스(55)와 연결된 집진기(도면상 미 도시함)를 통해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너트(40)와 작동대(50)가 스크류봉(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너트(40)가 프레임(10)의 내부 상하 적소에 설치된 제2센서(80)에 근접하면 이 제2센서(80)는 제1모터(20)에 신호를 보내 정회전을 역회전으로 바꿔 구동하게끔 하므로 정회전하는 스크류봉(30)을 역회전시켜 너트(40)와 작동대(50)를 자동으로 반복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입부(54)는 작동대(5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여과망(12)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제2모터(60)의 구동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1스프라켓(51)이 회전하면 이 제1스프라켓(51)과 타측의 제2스프라켓(52)의 외주면에 권취된 체인(53)이 이동하면서 이와 함께 연결된 흡입부(54)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부(54)가 작동대(50)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양 너트(40)의 적소에 설치된 제1센서(70)에 흡입부(54)가 근접하면 이 제1센서(70)는 이를 감지하여 제2모터(60)에 신호를 보내 정회전을 역회전으로 바꿔 구동하게끔 하므로 정회전하는 제1,2스프라켓(51)(52)을 역회전시켜 체인(53)에 연결된 흡입부(54)를 자동으로 반복 좌우이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과망에 붙은 먼지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여과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제조원가의 절감 그리고 이로 인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여과망이 설치된 커버 및 이 커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하단 적소에 제1모터가 설치되고, 이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프레임의 내부 좌우 적소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큐류봉; 상기 양 스크류봉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2 스프라켓에 권취된 체인의 이송에 의해 호스와 연결된 흡입부가 좌우로 이송되도록 한 작동대; 대기 속이나 실내에 떠다니는 먼지가 여과망에 붙으면 이를 흡입부가 빨아들여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양 스크류봉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스크류봉의 정·역 회전에 의해 작동대와 함께 상·하로 이송되는 너트;
    상기 제1스프라켓이 위치하는 작동대에 고정 설치되며, 제1스프라켓을 제2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구동시켜 흡입부를 작동대에서 좌·우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적소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이송되는 흡입부가 작동대의 끝단부위에 위치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2모터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는 제2모터를 자동으로 역구동시켜 상기 흡입부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상·하 적소에 구비되며, 스크류봉의 상부나 하부로 이송되는 작동대의 상하단을 감지하면 이를 제1모터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는 정회전하는 제1모터를 자동으로 역구동시켜 작동대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2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KR2020010009052U 2001-03-31 2001-03-31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KR20023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52U KR200236988Y1 (ko) 2001-03-31 2001-03-31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52U KR200236988Y1 (ko) 2001-03-31 2001-03-31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988Y1 true KR200236988Y1 (ko) 2001-10-10

Family

ID=730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52U KR200236988Y1 (ko) 2001-03-31 2001-03-31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93B1 (ko) * 2004-04-20 2006-09-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장치
KR200450850Y1 (ko) 2008-04-14 2010-11-05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2단 공기여과기의 구동장치
KR101107597B1 (ko) * 2009-08-28 2012-01-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자동재생형 공기여과기
KR102385991B1 (ko) * 2021-11-05 2022-04-12 김은애 다단 적층형 공기필터의 자동 청소장치
CN115930351A (zh) * 2022-12-16 2023-04-0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穿戴式空调及穿戴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93B1 (ko) * 2004-04-20 2006-09-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장치
KR200450850Y1 (ko) 2008-04-14 2010-11-05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2단 공기여과기의 구동장치
KR101107597B1 (ko) * 2009-08-28 2012-01-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자동재생형 공기여과기
KR102385991B1 (ko) * 2021-11-05 2022-04-12 김은애 다단 적층형 공기필터의 자동 청소장치
CN115930351A (zh) * 2022-12-16 2023-04-0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穿戴式空调及穿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90B1 (ko) 덕트용 청소 기구
KR200236988Y1 (ko) 공기여과기의 여과망 청소장치
CN114234324A (zh) 一种绿色建筑用通风节能设备
CN109686218B (zh) 一种自动清洁的城市规划布局展示装置
CN210035788U (zh) 一种多重过滤的双向流新风系统
KR100676689B1 (ko) 덕트용 흡출식 청소로봇
CN217559985U (zh) 一种建筑工程用的通风空调安装结构
CN115585522A (zh) 一种节能通风结构及其使用方法
CN112157102B (zh) 一种洁净实验室通风机构
CN215112802U (zh) 餐厅烟气抽排系统
CN113464037A (zh) 一种节能环保型通风窗
CN208878137U (zh) 一种洁净厂房环境清理除尘器
JP5329166B2 (ja) 空気調和機
CN210861565U (zh) 一种自动风幕门装置
CN210340022U (zh) 一种通风效果好的电梯轿厢
CN206656467U (zh) 一种建筑工地施工人员宿舍板房的通风装置
CN106853432B (zh) 旋转涂胶台
CN114754440B (zh) 一种绿色建筑的通风节能结构
CN220868532U (zh) 一种幕墙通风结构
CN218899323U (zh) 一种可调节的轨道清扫机
CN214501562U (zh) 一种建筑物换气系统
CN218544726U (zh) 一种通风除尘设备
CN212657841U (zh) 一种厨房用排风扇装置
CN116591374B (zh) 一种绿色建筑装饰装修工程的吊顶系统
CN204033030U (zh) 双层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231

Effective date: 201010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02

Effective date: 201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