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725Y1 - 준건식 세정기 - Google Patents

준건식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725Y1
KR200236725Y1 KR2020010009719U KR20010009719U KR200236725Y1 KR 200236725 Y1 KR200236725 Y1 KR 200236725Y1 KR 2020010009719 U KR2020010009719 U KR 2020010009719U KR 20010009719 U KR20010009719 U KR 20010009719U KR 200236725 Y1 KR200236725 Y1 KR 200236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water
harmful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락
Original Assignee
미래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환경(주) filed Critical 미래환경(주)
Priority to KR2020010009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725Y1/ko

Link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각로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준건식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준건식 세정기는 중화제인 액상소석회(Ca(OH)₂)와 공기 및 물을 준건식 세정기의 본체(1)내에 설치된 노즐(2)을 통하여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로 분무하여 가스유입구(3)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₂), 불화수소(HF),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와 흡수, 건조, 흡착의 중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반응생성물인 고체상의 분진과 수증기 등의 기체로 구분되어 본체(1)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하부로 낙하된 분진은 대부분 분진호퍼(4)로 수집되어 하부의 분진배출구(5)를 통하여 분진박스(미도시)로 모이게 되며, 또한 수증기 등의 기체는 분진호퍼(4)의 측부에 설치된 가스배출구(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준건식 세정기는 본체 내에 설치된 노즐을 통하여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로 분무되는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의 혼합을 도울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 것이 아니라, 오직 본체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완전한 혼합을 이룰 수 없어 유해가스(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₂), 불화수소(HF),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의 중화반응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다량의 분진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을 통해 분무된 액상소석회와 공기, 물이 세정기의 본체 내부 벽면에 계속 누적되어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는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의 중화제(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가스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팬을 설치함으로서, 중화제인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회전팬에 의해 인위적으로 혼합하여 중화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다량의 분진부하를 줄일 뿐아니라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을 향상한 것이다.

Description

준건식 세정기 { SEMI-DRY SCRUBBER }
본 고안은 소각로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준건식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Spray nozzle)을 통하여 분무되는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의 중화제인 액상소석회(Ca(OH)₂) 및 공기, 물과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회전팬을 다수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혼합하여 중화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킬 뿐아니라 다량의 분진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준건식 세정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화제인 액상소석회(Ca(OH)₂)와 공기 및 물을 준건식 세정기의 본체(1)내에 설치된 노즐(2)을 통하여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로 분무하여 가스유입구(3)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₂), 불화수소(HF),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와 흡수, 건조, 흡착의 중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반응생성물인 고체상의 분진과 수증기 등의 기체로 구분되어 본체(1)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에 하부로 낙하된 분진은 대부분 분진호퍼(4)로 수집되어 하부의 분진배출구(5)를 통하여 분진박스(미도시)로 모이게 되며, 또한 수증기 등의 기체는 분진호퍼(4)의 측부에 설치된 가스배출구(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준건식 세정기는 본체 내에 설치된 노즐을 통하여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로 분무되는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의 혼합을 도울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 것이 아니라, 오직 본체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완전한 혼합을 이룰 수 없어 유해가스(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₂), 불화수소(HF),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의 중화반응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다량의 분진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을 통해 분무된 액상소석회와 공기, 물이 세정기의 본체 내부 벽면에 계속 누적되어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는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의 중화제(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가스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팬을 설치함으로서, 중화제인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회전팬에 의해 인위적으로 혼합하여 중화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다량의 분진부하를 줄일 뿐아니라,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은 준건식 세정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은 도 1의 A-A'선 확대단면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준건식 세정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은 준건식 세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은 도 1의 A-A'선 확대단면예시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정기 본체(10)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11)을 통하여 중화제와 공기, 물을 분무하여 가스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와 중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반응생성물은 하부의 분진호퍼(13)로 수집되어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14)와 분진배출구(15)를 통하여 분진박스(16)로 모이게 하는 준건식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기 본체(10)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11)을 통하여 중화제와 공기, 물을 분무하여 가스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와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는 본체(10)내부의 하부 적정위치에 중화제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인위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팬(20)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세정기 본체(10)의 상부에 스프레이노즐(11)을 통하여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의 중화제인 액상소석회(Ca(OH)₂) 및 공기, 물을 분무하여 가스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₂), 불화수소(HF),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의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는 하부 적정위치에 다수의 회전팬(20)을 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팬(20)이 회전하여 노즐(11)을 통하여 분무된 중화제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흡입과 동시에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중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생성된 반응생성물인 고체상의 분진과 수증기 등의 기체로 구분되어 본체(10)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후, 하부로 낙하된 분진은 대부분 분진호퍼(13)로 수집되어 하부의 분진배출구(15)를 통하여 분진박스(16)로 모이게 되며, 또한 수증기 등의 기체는 분진호퍼(13)의 측부에 설치된 가스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미립자 형태로 분무되는 중화제인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인위적으로 회전팬에 의해 흡입과 동시에 혼합되도록 하여 중화반응의 효율을 향상은 물론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의 향상이 이루어져 다량의 분진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는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지름을 가진 미립자 형태의 중화제(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가스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염화수소,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팬을 설치함으로서, 중화제인 액상소석회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회전팬에 의해 인위적으로 혼합하여 중화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다량의 분진부하를 줄일 뿐아니라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세정기 본체(10)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11)을 통하여 중화제와 공기, 물을 분무하여 가스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와 중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반응생성물은 하부의 분진호퍼(13)로 수집되어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14)와 분진배출구(15)를 통하여 분진박스(16)로 모이게 하는 준건식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기 본체(10)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11)을 통하여 중화제와 공기, 물을 분무하여 가스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와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는 본체(10)내부의 하부 적정위치에 중화제 및 공기, 물과 유해가스를 인위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팬(20)을 설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준건식 세정기.
KR2020010009719U 2001-04-07 2001-04-07 준건식 세정기 KR200236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19U KR200236725Y1 (ko) 2001-04-07 2001-04-07 준건식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19U KR200236725Y1 (ko) 2001-04-07 2001-04-07 준건식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725Y1 true KR200236725Y1 (ko) 2001-10-11

Family

ID=7309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719U KR200236725Y1 (ko) 2001-04-07 2001-04-07 준건식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7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134B1 (ko) 2019-12-05 2021-05-25 상우기업(주) 고농도 액상 유해가스 제거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134B1 (ko) 2019-12-05 2021-05-25 상우기업(주) 고농도 액상 유해가스 제거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6897B1 (en) Integrated dry and wet flue gas cleaning process and system
CN105833689B (zh) 一种高温下粉尘与NOx超低排放的系统及方法
CN103432887B (zh) 一种垃圾焚烧烟气净化系统及工艺
JP2015020169A (ja) 湿式スクラバノズル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ガスを浄化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JP2001523563A (ja) 液再分配装置を備えた気液接触器
KR100375566B1 (ko) 유해가스 및 수은, 중금속을 포함한 먼지 동시제거용일체형 원심반응여과집진장치
KR20180041352A (ko) 멀티 사이클론 스크러버
CN105396421A (zh) 焙烧烟气综合吸附脱硫除尘净化方法工艺
TW291443B (ko)
CN107469580A (zh) 一种湿法烟气脱硫脱汞除尘一体化装置及工艺
CN105056678B (zh) 脱硫脱硝、脱汞除尘一体化烟气净化器
KR101389475B1 (ko) 반응효율을 최적화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CN103120894A (zh) 一种脱硫吸收塔
CN110115892A (zh) 一种高效脱尘除雾装置
KR102260160B1 (ko) 수평형 스크러버 장치
KR200236725Y1 (ko) 준건식 세정기
CN107441907A (zh) 一种物质锅炉烟气多污染物处理工艺以及设备
KR100348516B1 (ko)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일체화 한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0202461B1 (ko) 반건식 전기세정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KR200404193Y1 (ko) 반건식 세정탑과 여과집진기가 일체화된 대기오염 방지장치
JPH06190240A (ja) 円筒型排煙脱硫装置
KR100456911B1 (ko) 반건식 세정장치를 구비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CN203090739U (zh) 一种脱硫吸收塔
CN109569215A (zh) 烟气脱白处理装置及处理方法
JPH0788324A (ja) 排ガ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