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623Y1 -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 Google Patents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623Y1
KR200236623Y1 KR2019980026890U KR19980026890U KR200236623Y1 KR 200236623 Y1 KR200236623 Y1 KR 200236623Y1 KR 2019980026890 U KR2019980026890 U KR 2019980026890U KR 19980026890 U KR19980026890 U KR 19980026890U KR 200236623 Y1 KR200236623 Y1 KR 200236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yoke
screw
adjustment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665U (ko
Inventor
이근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62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623Y1/ko

Link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중심축이 요크 상에서 틸트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중심축의 결합과 대물렌즈의 틸트 조정을 동시에 하여 중심축의 불량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렌즈 홀더(110)의 축공(118)에 결합되는 중심축(142)의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조정원판(140)과, 조정원판(140)의 제2 관통공(144)을 통과하여 요크(130)의 제1 나사공(138)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50) 및 고정나사(150)에 결합되어 조정원판(140)을 탄지하는 압축 스프링(152)과, 요크(130)의 제1 관통공(139)을 통과하여 조정원판(140)의 제2 나사공(146)에 체결되는 조정나사(154)를 포함하는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로서, 압축 스프링(152)을 결합한 고정나사(150)로 조정원판(140)의 일측을 요크(130)에 탄지시키고 두 개의 조정나사(154)로 중심축(142) 및 조정원판(140)을 요크(130)에 체결함과 동시에 중심축(142)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중심축(142)의 결합에 따른 불량조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본 고안은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중심축이 요크 상에서 틸트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중심축의 결합 및 틸트 제거와 대물렌즈의 틸트 조정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광재생장치로 사용되는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1도에 도시한다. 그리고 요크가 픽업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제2도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고 중심에 축공(18)을 가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축공(18)에 결합되는 중심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는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와, 요크(30)를 고정하고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트래킹 방향으로 서보되는 픽업 베이스(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요크(30)에 고정된 중심축(38)은 테프론 코팅을 하여 렌즈 홀더(10)가 거의 마찰 없이 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렌즈 홀더(10)의 4분할된 위치에는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20)과 한 개의 자성체(16)가 고정되며,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는 위치의 요크(30)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36)가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사용 중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렌즈 홀더(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 홀더(10)가 중심축(38)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크(30)의 상측에 커버(60)를 씌운다.
이러한 커버(60)에는 대물렌즈(12,14)가 돌출되는 렌즈 개방홈(62)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홈(66)이 형성되며, 요크(30)의 측면에는 홈(66)에 삽입되는 돌기(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60)를 요크(30)에 장착할 때, 요크(30)의 돌기(33)가 커버(60)의 홈(66)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커버(6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픽업 베이스(80)에는 요크(30)의 저면 둘레를 가이드 하기 위한 돌출턱(8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턱(82)으로 둘러싸인 픽업 베이스(80)의 상면 중심에는 구면홈(84)이 형성되고, 이 구면홈(84)에 접촉하는 구면이 저면에 형성된 조정 플레이트(72)가 요크(30)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 요크(30)의 일측에는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픽업 베이스(80)에 걸림턱(92)이 형성되어 인장스프링(70)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요크(30)의 일측이 탄지된다. 이에 따라 커버(60)의 측면에는 걸림편(32)이 돌출되는 절개부(64)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92)과 삼각형을 이루는 위치의 픽업 베이스(80)에 두 개의 관통공(88)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88)과 대응되는 요크(30)의 저면에 나사공(31)이 형성되어, 두 개의 조정나사(90)가 관통공(88)으로 통과되어 각각의 나사공(31)에 체결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나사(90)의 조임정도에 따라 조정 플레이트(72)의 구면이 픽업 베이스(80)의 구면홈(84)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요크(30)가 기울어져 중심축(38)의 틸트가 조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조정구조에서는 중심축(38)을 요크(30)에 수직으로 조립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므로, 이와 같은 중심축(38)의 조립과정에서 불량조립된 제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중심축이 요크 상에서 틸트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중심축의 결합 및 틸트 제거와 대물렌즈의 틸트 조정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불량조립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분해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분해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렌즈 홀더 112,114 : 대물렌즈
118 : 축공 120 : 권선 코일
130 : 요크 131 : 요홈
132 : 걸림편 133 : 돌기
134,136 : 마그네트 138 : 제1 나사공
139 : 제1 관통공 140 : 조정원판
142 : 중심축 144 : 제2 관통공
146 : 제2 나사공 150 : 고정나사
152 : 압축 스프링 154 : 조정나사
160 : 커버 162 : 개방홈
180 : 픽업 베이스 182 : 돌출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물렌즈가 고정되고 축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권선 코일이 고정된 렌즈 홀더와, 상기 권선 코일에 대응되는 마그네트가 고정된 요크를 갖는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축공에 결합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조정원판; 상기 조정원판에 형성된 제2 관통공;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디스크에 대한 접선 방향 및 트래킹 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2 나사공; 상기 요크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원판을 통과한 상기 중심축의 하단이 접촉되는 요홈; 상기 요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에 대응되는 제1 나사공; 상기 요크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 나사공에 대응되는 제1 관통공;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나사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 상기 고정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조정원판을 탄지하는 압축 스프링; 및 각각의 상기 제1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나사공에 체결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틸트 조정구조는 압축 스프링을 결합한 고정나사를 제2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제1 나사공에 체결함으로써 조정원판의 일측을 요크에 탄지시키고, 두 개의 조정나사를 제1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제2 나사공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중심축 및 조정원반을 요크에 체결한다. 이러한 중심축의 틸트는 두 개의 조정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틸트 조정구조는 중심축의 결합 및 틸트 제거는 물론, 중심축에 렌즈 홀더가 결합된 뒤에도 렌즈 홀더의 틸트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중심축의 결합에 따른 불량조립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3도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대물렌즈(112,114)가 고정되고 축공(116)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권선 코일(120)이 고정된 렌즈 홀더(110)와, 상기 권선 코일(120)에 대응되는 마그네트(134,136)가 고정된 요크(130)를 갖는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적용된다.
여기서 축공(116)에 결합되는 중심축(142)과, 이 중심축(142)의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조정원판(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중심축(142)은 테프론 코팅을 하여 렌즈 홀더(110)가 거의 마찰 없이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조정원판(140)에는 제2 관통공(144)과, 제2 관통공(144)으로부터 디스크를 기준으로 접선 방향 및 트래킹 방향에 각각 제2 나사공(146)을 형성한다.
또한 요크(130)에는 조정원판(140)을 통과한 중심축(142)의 하단이 접촉되는 요홈(131)을 형성하고, 제2 관통공(144)에 대응되는 제1 나사공(138)과 각각의 제2 나사공(146)에 대응되는 제1 관통공(139)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관통공(144)을 통과하여 제1 나사공(138)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50) 및 고정나사(150)에 결합되어 조정원판(140)을 탄지하는 압축 스프링(152)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 관통공(139)을 통과하여 제2 나사공(146)에 체결되는 두 개의 조정나사(154)를 구비한다.
한편, 렌즈 홀더(110)의 4분할된 위치에는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120)과 한 개의 자성체(116)를 고정하며,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에 대응되는 위치의 요크(130)의 내측면에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1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136)를 각각 고정함으로써, 권선 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의 방향이 광축 방향과 트래킹 방향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도중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렌즈 홀더(1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 홀더(110)가 중심축(14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크(130)의 상측에 커버(160)를 씌운다.
이러한 커버(160)의 상면에는 대물렌즈(112,114)가 돌출되는 개방홈(162)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다수의 홈(166)을 형성하며, 요크(130)의 측면에는 홈(166)에 삽입되는 돌기(133)를 형성한다.
그리고 픽업 베이스(180)에는 요크(130)의 저면 둘레를 가이드 하기 위한 돌출턱(182)을 형성하고, 이 돌출턱(182)으로 둘러싸인 픽업 베이스(180)의 상면 중심에 요크(130)를 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압축 스프링(152)을 결합한 고정나사(150)를 요크(130)의 제2 관통공(144)으로 통과시켜 픽업 베이스의 제1 나사공(138)에 체결함으로써, 조정원판(140)의 일측을 요크(130)에 탄지시킨다. 그리고 두 개의 조정나사(154)를 픽업 베이스(180)의 제1 관통공(139)으로 통과시켜 요크(130)의 제2 나사공(146)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중심축(142) 및 조정원판(140)을 요크(130)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중심축(142)이 요크(130)에 결합된다.
이어서 렌즈 홀더(110)의 축공(118)을 중심축(142)에 끼워 결합하고, 커버(160)를 요크(130)의 상면에 결합한다. 이때 요크(130)의 돌기(133)가 커버(160)의 홈(166)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커버(1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요크(130) 상에서 중심축(142)의 틸트를 조정하는 작업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80)의 제1 관통공(139)을 통과하여 요크(130)의 제2 나사공(146)에 체결된 조정나사(154)를 회전시켜 중심축(142)을 디스크를 기준으로 접선 방향이나 트래킹 방향으로 기울여 렌즈 홀더(110)에 발생된 틸트를 제거한다.
이러한 교정을 하는 것은 중심축(142)이 광축에 대해 평행하여야만, 이 중심축(142)에 결합된 렌즈 홀더(110)에 고정한 대물렌즈(112,114)가 수평이 되며, 이 대물렌즈(112,114)가 수평이 되어야만 대물렌즈(112,114)를 지나는 레이저 빔이 수직 상방의 디스크에 정확히 포커스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해 중심축(142)이 광축에 대해 평행하게 되면, 조정나사(154)를 접착제로 고정하여 중심축(142)의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 스프링(152)을 결합한 고정나사(150)를 제2 관통공(144)으로 통과시켜 제1 나사공(138)에 체결함으로써 조정원판(140)의 일측을 요크(130)에 탄지시키고, 두 개의 조정나사(154)를 제1 관통공(139)으로 통과시켜 제2 나사공(146)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중심축(142) 및 조정원판(140)을 요크(130)에 체결함과 동시에 중심축(142)의 틸트를 조정하는 틸트 조정구조로서, 중심축(142)의 조립 및 틸트 제거는 물론, 중심축(142)에 렌즈 홀더(110)가 결합된 뒤에도 렌즈 홀더(110)의 틸트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중심축(142)의 결합에 따른 불량조립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물렌즈(112,114)가 고정되고 축공(118)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권선 코일(120)이 고정된 렌즈 홀더(110)와, 상기 권선 코일(120)에 대응되는 마그네트(134,136)가 고정된 요크(130)를 갖는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축공(118)에 결합되는 중심축(142); 상기 중심축(142)의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조정원판(140); 상기 조정원판(140)에 형성된 제2 관통공(144); 상기 제2 관통공(144)으로부터 디스크에 대한 접선 방향 및 트래킹 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2 나사공(146); 상기 요크(130)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원판(140)을 통과한 상기 중심축(142)의 하단이 접촉되는 요홈(131); 상기 요크(130)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144)에 대응되는 제1 나사공(138); 상기 요크(130)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 나사공(146)에 대응되는 제1 관통공(139); 상기 제2 관통공(144)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나사공(138)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50); 상기 고정나사(150)에 결합되어 상기 조정원판(140)을 탄지하는 압축 스프링(152); 및 각각의 상기 제1 관통공(139)을 통과하여 제2 나사공(146)에 체결되는 조정나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2019980026890U 1998-12-28 1998-12-28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KR200236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90U KR200236623Y1 (ko) 1998-12-28 1998-12-28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90U KR200236623Y1 (ko) 1998-12-28 1998-12-28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65U KR20000013665U (ko) 2000-07-15
KR200236623Y1 true KR200236623Y1 (ko) 2001-10-25

Family

ID=6950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890U KR200236623Y1 (ko) 1998-12-28 1998-12-28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6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65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8851A (en) Objective lens posture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pickup
KR200212483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200236623Y1 (ko)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KR20000003525A (ko)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200236624Y1 (ko) 축방식광픽업액츄에이터의틸트조정구조
KR200212484Y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JP2634546B2 (ja) 光学手段傾角調整装置
KR1002873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구조
KR016332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팬션 와이어 조립장치
JP3870114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0117997Y1 (ko) 대물렌즈의 광축조정이 가능한 광픽업자치용 액츄에이터
JP386261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801522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20000013729U (ko) 광픽업 장치의 스큐 조정구조
JPH045057Y2 (ko)
KR0176140B1 (ko) 광기록 또는 재생 장치
KR100199838B1 (ko) 액츄에이터의 픽업 커버 조립지그
JPH045058Y2 (ko)
JP3210249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29777Y2 (ko)
JPH03104026A (ja) 光学ヘッド用アクチュエータ
KR100207261B1 (ko)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 홀더
JPH045056Y2 (ko)
KR10046782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41786B1 (ko) 광픽업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