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45Y1 -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 Google Patents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45Y1
KR200236045Y1 KR2020010008720U KR20010008720U KR200236045Y1 KR 200236045 Y1 KR200236045 Y1 KR 200236045Y1 KR 2020010008720 U KR2020010008720 U KR 2020010008720U KR 20010008720 U KR20010008720 U KR 20010008720U KR 200236045 Y1 KR200236045 Y1 KR 200236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ron
kitchen
glove
necklac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우
Original Assignee
이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우 filed Critical 이양우
Priority to KR2020010008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45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빈도와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주방용 장갑을 필요시에 언제 어느때나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방에서 조리 작업시에 옷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착용하게 되는 앞치마에 주방용 장갑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이 따르는 가열된 조리기구나 조리장치의 취급시, 상대적으로 큰 위험이 따르는 행주나 수건 등이 화상을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일 없이 신속,편리하게 주방용 장갑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장갑이 구비된 앞치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APRON HAVING COOKING MITTENS}
본 고안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상태의 솥이나 냄비를 취급할 시에 손에 화상을 방지하기 위한 주방용 장갑을 구비하는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앞치마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그외 작업시에 옷을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착용되고 있으며, 주방용 장갑은 별도로 구비되어 가열된 냄비 등의 용기를 들어내거나 앉힐 때 또는 증기열이나 복사열등으로 화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스렌지, 인덕션렌지, 숯불용 그릴 등의 가열부 위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어 왔다.
종래 일반적 가정의 주방에서 주방용 장갑은 앞치마에 비해 사용 빈도가 매우 적었고 필요성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체적 수단으로 사용시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고 열전도 차단효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행주나 수건 등이 사용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었다. 일반 가정등에서 주방용 장갑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 빈도가 낮았던 관계로 주의 깊게 보관 정리하지 않을 경우 정작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하기 어려을 때가 발생하고, 그래서 일단 눈에 먼저 띄는 행주나 수건등을 사용하기 쉬웠던 실정이다.
세월의 변천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장치나 조리기구도 많은 변화를 해 왔다. 특히 종래 가스렌지 정도가 일반 가정의 유일한 가열수단이었지만, 전자렌지의 보급은 거의 일반화 되었으며, 가스렌지 대용의 인덕션렌지나 오븐 등의 보급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일반 가정의 주방에서도 각 가열수단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라믹 재질의 내열용기나 유리재질의 내열용기, 오븐용의 금속재 용기 및 전통적으로 꾸준히 사용되어 온 뚝배기와 같은 옹기류의 용기 등 맨손으로 취급이 어려운 용기들의 사용이 증가 하게 되었고, 주방용 장갑의 필요성 및 사용 빈도도 동반하여 증가하였다. 행주나 수건등으로 대체 사용 시에 조금만 주의를 소홀히 한다면 그릇이 미끄러지는 등의 사고로 연결되어 화상을 입게되는 위험이 따르게 됨으로써 주방용 장갑의 필요성은 더 한층 강조되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사회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주방을 사용하고난 후 그때그때 깔금한 정돈이 가능할 정도의 시간적 여유를 가지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밀린 정리정돈 일거리를 비로소 퇴근후나휴일에 한꺼번에 몰아서 한번씩 정리하게 되는 가정들이 늘고 있다. 그로 인해 주방에서 조리자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하고, 필요할 땐 언제나 쓸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는 주방용 장갑이지만 정작 필요시에 즉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욱 더 발생하기 쉬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에서 조리시에 늘 사용하는 앞치마에 주방용 장갑을 부착하여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언제 어느 때나 주방용 장갑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네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스넵(SNAP, 일명: 똑딱단추), 호크 또는 고무자석과 같은 부착수단의 일부를 구비하는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부착수단과 한쌍을 이루게 되는 벨크로, 스넵, 호크 또는 고무자석과 같은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주방용 장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각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을 원칙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네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앞치마는,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는 벨크로와 같은 부착수단(2,6)의 일부분(2)을 전면의 하단 양측에 한 개씩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앞치마(4)와;
상기 앞치마(4)에 구비된 부착수단(2)과 쌍을 이루는 나머지 일부분(6)의 부착수단을 착용시에 손바닥이 향하는 측의 외면에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주방용 장갑(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장치(2,6)는 벨크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호크나 스넵(SNAP, 일명: 똑딱이 단추) 또는 고무자석으로 대체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방용 장갑이 구비된 앞치마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앞치마를 착용하고 주방일을 할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쌍을 이루는 벨크로, 호크 , 스넵 또는 고무자석에 의하여 주방용 장갑(8)이 앞치마(4)의 전면 하단에 부착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뜨거운 용기를 들어야 하거나 가스렌지, 숯불용 그릴 등의 가열수단에 근접해서 조리작업을 할 필요가 생기면 곧 바로 주방용 장갑 삽입부에 손을 집어넣고, 앞치마(4)로 부터 주방용 장갑(8)을 분리해 내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는 벨크로 등과 같은 부착수단(2,6)의 일부분(2)을 전면의 하단 양측에 한 개씩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앞치마(4)와;
상기 앞치마에 구비된 부착수단(2)과 쌍을 이루는 나머지 일부분의 부착수단(6)을 착용시에 손바닥이 향하는 측의 외면에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주방용 장갑(8)과;
상기 앞치마(4)와 주방용 장갑(8)을 연결하기 위한 두개의 동일한 끈(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끈(10)은 상기 앞치마(4)의 각각의 어께끈 시작부(12), 즉 착용시 가슴의 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그 일단을 바느질로 고정하고, 각각의 다른 일단은 좌우 각각의 주방용 장갑(8)의 손목부(14)에 바느질로 고정하여 상기 앞치마(4)와 주방용 장갑(8)이 연결된 형태의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도 1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평상시에 각각 구비하고 있는 부착수단(2,6)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사용하고 필요시에 주방용 장갑(8)을 앞치마(4)의 전면 하단으로 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끈(10)이 상기 앞치마(4)와 상기 주방용 장갑(8)을 연결하고 있음으로써 서로 간의 완전한 분리가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분실의 위험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 번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양 끝단에 스넵과 같이 두 부분이 쌍을 이루는 결합수단의 일부분(19,21))을 각각 구비한 두 개의 동일한 끈(16)과;
상기 끈(16)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결합수단(19)의 다른 일부분(18)을 각각의 어깨끈 시작부(12)에 구비하며,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는 벨크로 등과 같은 부착수단(2,6)의 일부분(2)을 전면의 하단 양측에 한 개씩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앞치마(4)와;
상기 앞치마(4)에 구비된 부착수단(2)과 쌍을 이루는 나머지 일부분의 부착수단(6)을 착용시에 손바닥이 향하는 측의 외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끈(16)의 나머지 일측 끝단에 구비된 결합수단(21)과 쌍을 이루는 나머지 일부분의 결합수단(20)을 착용시 손목이 인접하게 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주방용 장갑(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끈이 바느질로 단단히 고정되고 있는 것과 달리, 벨크로, 스넵 또는 호크 등과 같이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는 결합수단(18,19,20,21)을 사용하여 앞치마(4)와 끈(16)의 일단을, 주방용 장갑(8)과 끈(16)의 다른 일단을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끈(16)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전면 하단에 양쪽으로 입구를 구비하는 주머니(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앞치마(4)와;
좌우 한 쌍의 주방용 장갑(8)과;
상기 앞치마(4)와 주방용 장갑(8)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동일한 끈(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방용 장갑이 구비된 앞치마를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끈(10)은 상기 앞치마(4)의 각각의 어께끈 시작부(12), 즉 착용시 가슴의 상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그 일단을 바느질로 고정하고, 각각의 다른 일단은 좌우 각각의 주방용 장갑(8)의 손목부(14)에 바느질로 고정하여 상기 앞치마(4)와 주방용 장갑(8)이 연결된 형태의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를 제공한다. 다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앞치마(4)에 상기 끈(10)의 일단을 고정하는 위치가 상기 어께끈 시작부(12)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앞치마(4)의 어떠한 부위에도 고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전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기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부착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비사용시에는 주방용 장갑(8)을 주머니(2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필요시에 손을 주머니(25) 속에 넣어 주방용 장갑(8)을 손에 낀 상태로 주머니(25) 밖으로 간단히 꺼냄으로써 바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주방용 장갑(8)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장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앞치마의 외관이 깔끔해지고, 불필요하게 주방용 장갑(8)이 더러워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주방용 장갑이 구비된 앞치마는 주방에서 작업시에 언제나 착용하게 되는 앞치마에 주방용 장갑을 포함하여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날로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사용하는 빈도도 늘어나고 있는 주방용 장갑을 필요할 때마다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야 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없이 신속,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급한 경우 대체용도로 행주나 수건등 우선 눈에 띄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화상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되고, 보관 및 정리에 대해 별도로 신경을 쓸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8)

  1. 목걸이형 앞치마와;
    좌·우 한 쌍의 주방용 장갑과;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앞치마의 전면 하단 양측에 각각 그 일부분을 부착하고 상기 주방용 장갑 손바닥측의 외면에 나머지 일부분을 각각 부착하여 구비되며, 상기 앞치마로 부터 상기 주방용 장갑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두 쌍의 부착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을 연결하기 위하여 추가로 동일한두 개의 끈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끈은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의 양 어께끈 시작부분과 상기 주방용 장갑의 손목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수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각각 쌍으로 구비되는 벨크로(VELCRO, 일명:찍찍이), 호크, 스넵(SNAP, 일명:똑딱이 단추) 또는 고무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양 끝단은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에 바느질로 결합되어 상기 두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양 끝단은 각각,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고, 상호간에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에 부착되어 상기 두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 호크 또는 스넵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6. 전면 하단에 양쪽으로 입구를 구비하는 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앞치마와;
    좌우 한 쌍의 주방용 장갑과;
    상기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동일한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방용 장갑은, 비사용시 상기 앞치마의 일정 위치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상기 끈의 나머지 일단에 매달려 상기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이 구비된 앞치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에 바느질로 결합되어 상기 두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양 끝단은 각각, 두 부분이 한 쌍을 이루고, 상호간에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목걸이형 앞치마와 상기 주방용 장갑에 부착되어 상기 두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 호크 또는 스넵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KR2020010008720U 2001-03-29 2001-03-29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KR200236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20U KR200236045Y1 (ko) 2001-03-29 2001-03-29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20U KR200236045Y1 (ko) 2001-03-29 2001-03-29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45Y1 true KR200236045Y1 (ko) 2001-10-10

Family

ID=7306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720U KR200236045Y1 (ko) 2001-03-29 2001-03-29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99B1 (ko) 2006-11-07 2007-07-20 송경호 장갑의 분실방지를 위한 부착구조
KR100860798B1 (ko) * 2008-03-11 2008-09-29 박성학 앞치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99B1 (ko) 2006-11-07 2007-07-20 송경호 장갑의 분실방지를 위한 부착구조
KR100860798B1 (ko) * 2008-03-11 2008-09-29 박성학 앞치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2399A1 (en) Combination hand towel and pot holder assembly
US20080092262A1 (en) Cooking Gloves
US20030079273A1 (en) Heat resistant food serving glove
KR200236045Y1 (ko) 주방용 장갑 부착형 앞치마
US2410639A (en) Apron
US20170340030A1 (en) Combination hand towel and pot holder assembly
JP2016220837A (ja) 蓋および調理器
CN215605076U (zh) 一种分体式可视化空气炸锅
CN210842652U (zh) 一种组合式防烫伤烹饪锅
US7673628B1 (en) Oven rack guard
CN212415543U (zh) 用于炒锅的手柄
KR200261105Y1 (ko) 주방용 장갑이 부착된 앞치마
KR200434104Y1 (ko) 앞치마
CN208144895U (zh) 一种纯陶瓷不沾平底锅
CN217365361U (zh) 一种带照烧功能的电炒锅
CN213909701U (zh) 一种带有沿边可拆卸的铁锅
CN217959852U (zh) 盖压防烫不锈钢锥形锅
CN220309028U (zh) 一种具有拿取防烫伤结构的直身锅
KR200417578Y1 (ko) 다용도 주방용 천집게
CN218044720U (zh) 一种碗锅一体电炊具
CN212987298U (zh) 一种具有防触摸烫伤功能电磁炉
CN219479864U (zh) 一种新型可视空气炸锅防烫伤结构
CN219306574U (zh) 一种复合多用餐巾
CN215016029U (zh) 一种锅具
CA2325782C (en) Multipurpose implement for kitchen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