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00Y1 - 낚시용 장갑 - Google Patents

낚시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00Y1
KR200236000Y1 KR2020010006698U KR20010006698U KR200236000Y1 KR 200236000 Y1 KR200236000 Y1 KR 200236000Y1 KR 2020010006698 U KR2020010006698 U KR 2020010006698U KR 20010006698 U KR20010006698 U KR 20010006698U KR 200236000 Y1 KR200236000 Y1 KR 200236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ait
gloves
gl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욱
황인주
최태웅
Original Assignee
황인욱
황인주
최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욱, 황인주, 최태웅 filed Critical 황인욱
Priority to KR2020010006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00Y1/ko

Links

Landscapes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장갑(10,2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은, 미끼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가락부(11,13,21,23)의 끝단에 파지부(11b,13b,21a,23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11b,13b,21a,23a)는 합성수지재로 된 탄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시킬 수 있다. 한편, 장시간 착용시 손에서 생기는 땀을 잘 흡수하는 면장갑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장갑(10)은 미끼(14)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장갑의 내부로 스며들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부(11,13) 끝부위에 코팅부(11a,13a)를 구성한 후에 파지부(11b,13b)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낚시용 장갑에 의하면, 미끼(14)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쉽게 낚시에 끼울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낚시용 장갑{Fishing gloves}
본 고안은 낚시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중에 미끼나 고기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된 낚시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여가활동이 많아지면서 레저 스포츠의 하나인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낚시로 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미끼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미끼에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는데, 잡고자 하는 고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고, 미끼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
가장 일반적으로 미끼를 사용하는 방법은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워서 고기를 유인하는 것이다. 즉, 낚시줄에 달려 있는 낚시 바늘에 미끼를 끼운 상태로 바다, 강 및 호수 등에 투입하여 고기가 상기 미끼를 물면 낚시 바늘에 걸리게 한다.
하지만 상기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우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특히 여성이나 겁이 많은 사람들은 지렁이 등의 미끼를 취급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그리고 낚시에 익숙한 사람들도 낚시바늘에 살아 있는 미끼를 끼우는 작업은 그리 용이한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다양한 낚시용 장갑이 고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출원번호 1991-12129호)에 의하면, 손가락에 모래알을 접착시킨 고무장갑이 고안되었다. 도 1a는 상술한 낚시용 고무장갑(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상기 낚시용 고무장갑(1)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4)의 끝부분에 모래알(4a)을 접착시켜 고무장갑(1)을 구성하였다. 상기 낚시용 고무장갑은 살아서 움직이는 지렁이나 미꾸라지 등의 낚시 미끼를 잡아 낚시에 끼울 때 손가락 끝부분에 모래알(4a)을 접착시켜 미끼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고무장갑(1)의 손가락 끝부분에 모래알(4a)을 접착시킴으로써, 낚시에 물린 고기를 잡아 낚시로부터 빼려고 할 때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등지느러미에 의하여 손가락이 찔려 다치는 등의 위험에서 안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고무장갑(1)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에는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답답함은 느끼는 것은 물론이고, 고무장갑의 내부에 습기가 차게되어 불쾌함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손등과 손가락이 위치하는 고무장갑의 배면(3)에 다수개의 통풍공(3a,4b)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되는 낚시용 고무장갑(1)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손가락의 끝부분에 접착되어 있는 모래알(4a)이 장갑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로 인하여, 미끄러운 미끼를 고정하기 힘들게 된다. 즉, 미끼를 낚시에 끼울 때마다 손가락 끝부위가 서로 마주치면서 모래알이 부딪혀 고무장갑에서 조금씩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고무장갑의 모래알이 흡수하게 되어 미끼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착용시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할 수 없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끼의 취급이 용이한 낚시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살아 있는 미끼의 수분이나 악취가 사람의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시용 고무장갑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낚시용 장갑의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의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낚시용 장갑 11,13,21,23 ..... 손가락부
11a,13a .... 코팅부 11b,13b,21a,23a ..... 파지부
14 .... 미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은 미끼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가락부의 끝단에 파지부가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합성수지재로 된 한쌍의 벨크로테이프 중에서 탄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장갑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고무장갑이나 면장갑, 가죽장갑 등 재질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본 고안에 의한 미끼를 효과적으로 잡아 낚시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지부는 상술한 여러가지 형태의 낚시용 장갑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가죽장갑이나 고무장갑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장갑에는 수분침투가 어려우므로 파지부를 부착하기 전에 별도의 코팅작업이 없이 파지부를 구성하면 된다. 한편, 장시간 착용시 손에서 생기는 땀을 잘 흡수하는 면장갑은 미끼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장갑의 내부로 스며들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부 끝부분에 고무코팅을 한 후에 파지부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낚시용 장갑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면장갑으로 형성된 낚시용 장갑(10)은 주로 미끼(14)를 낚시에 끼울 때 사용되는 손가락부(11,13)의 끝단에 미끼(14)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면장갑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부(11a,13a)가 구성된다. 상기 코팅부(11a,13a)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코팅을 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부(11a,13a)의 일측에는 미끼(14)를 잡을 때 손가락부(11,13)가 서로 닿는 부분에 파지부(11b,13b)가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11b,13b)는 합성수지재로 된 벨크로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크로테이프는 흔히 찍찍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상기 벨크로테이프는 부드러운 암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암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어 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10)의 파지부(11b,13b)는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10)은 미끼(14)를 잡는 손가락부(11,13)가 서로 맞닿는 부위에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파지부(11b,13b)에 의하여 미끼(14)가 미끄러지지 않고 낚시에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면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장갑(10)으로 미끼(14)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부(11,13)와 파지부(11b,13b)의 사이에 코팅부(11a,13a)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미끼(14)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장갑으로 스며들지 않게 되어 미끼(14)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낚시용 장갑이 면으로 구성된 장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코팅부(11a,13a)를 구성하지 않아도 미끼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장갑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즉, 가죽이나 고무 등의 방수재질로 구성된 낚시용 장갑에는 상기 코팅부(11a,13a)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4에는 코팅부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20)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낚시용 장갑(20)은, 주로 가죽 재질로 구성되며, 미끼를 잡기 위한 손가락부만 형성되고 다른 손가락은개방된 상태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낚시용 장갑(20)의 손가락부(21,23)의 끝단에는 미끼를 잡을 때 서로 맞닿는 부분에 파지부(21a,23a)가 구성된다. 즉, 도 2와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장갑(10)은 미끼의 수분이나 악취가 손가락에 스며들어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도록 코팅부(11a,13a)를 형성하고 파지부(11b,13b)를 구성하였지만, 가죽이나 고무 등의 방수재질로 형성된 낚시용 장갑(20)에는 별도의 코팅부를 구성하지 않고 파지부(21a,23a)를 구성하더라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 파지부에 의하여 미끼를 쉽게 낚시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초보자도 쉽게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끼의 표면에 있는 수분이 장갑에 스며들지 않아 신선도를 유지함으로써 낚시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미끼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손에 스며들지 않아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미끼를 잡는 손가락부의 끝단에 구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손가락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장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수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장갑.
KR2020010006698U 2001-03-13 2001-03-13 낚시용 장갑 KR200236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98U KR200236000Y1 (ko) 2001-03-13 2001-03-13 낚시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98U KR200236000Y1 (ko) 2001-03-13 2001-03-13 낚시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00Y1 true KR200236000Y1 (ko) 2001-10-08

Family

ID=7306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98U KR200236000Y1 (ko) 2001-03-13 2001-03-13 낚시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5365A (en) Glove
US3096523A (en) Football glove
US3747565A (en) Article of animal apparel
US2907047A (en) Sports glove
US8448265B2 (en) Glove having micropores
US2980915A (en) Fishing glove
US9211468B2 (en) Golf gloves with a cut out portion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gloves with a cut out portion
WO2004026056A8 (en) Mitten
US2858542A (en) Golf glove
US20150082511A1 (en) Grip enhancing hand and wrist covering
US6981283B2 (en) Gardening gloves with cushion insert to protect fingernails
KR200236000Y1 (ko) 낚시용 장갑
US20190029341A1 (en) Ambidextrous sports glove and kit
JP4027493B2 (ja) スポーツ用手袋
KR200285730Y1 (ko) 낚시용 및 어시장용 고무장갑
JP2001299982A (ja) スポーツ用手袋
JP3076197U (ja) 釣り用手袋
KR20090003927U (ko) 방향성 돌기를 가진 골프장갑
CN213961418U (zh) 一种控鱼指套
KR200455936Y1 (ko) 장갑
JPH04114509U (ja) 釣用指サツクおよび手袋
KR102440413B1 (ko) 일회용 장갑이 탈부착되는 기능성 장갑
KR200227104Y1 (ko) 물고기 집게
JP3062811U (ja) 釣竿用防寒カバー
KR200471482Y1 (ko) 당구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