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82Y1 - 당구용 장갑 - Google Patents

당구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82Y1
KR200471482Y1 KR2020120001136U KR20120001136U KR200471482Y1 KR 200471482 Y1 KR200471482 Y1 KR 200471482Y1 KR 2020120001136 U KR2020120001136 U KR 2020120001136U KR 20120001136 U KR20120001136 U KR 20120001136U KR 200471482 Y1 KR200471482 Y1 KR 200471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user
billiard
glov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031U (ko
Inventor
서영배
Original Assignee
서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배 filed Critical 서영배
Priority to KR2020120001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8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은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한 상태로 받쳐주는 손가락부위 및 손바닥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당구큐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저감시켜 부드러운 큐질과 파지되는 부분인 손날부분이 미끄러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약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 개방부가 형성된 당구용 장갑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고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새끼손가락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는 사용자의 중지손가락의 일측끝단과 사용자의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를 기준으로 사용자 손날의 손바닥과 손등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면부로 부터 연장된 소정의 길이의 띠가 형성되되 상기 띠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당구용 장갑 {billiard gloves}
본 고안은 당구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한 상태로 받쳐주는 손가락부위 및 손바닥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당구큐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저감시켜 부드러운 큐질과 파지되는 부분인 손날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당구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대 위에서 공을 타격하여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당구는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의 일종이다.
이러한 당구경기를 행함에 있어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한 상태로 받쳐주는 손가락부위와 당구큐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저감시켜 부드러운 큐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당구용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은 당구용 장갑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 개방부가 형성된 세손장갑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갑은 손가락의 원단 자체에 봉제작업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어떠한 경우에도 장갑몸체에 비해 손가락개방부의 신축성이 떨어져 장갑을 끼고 벗을 때마다 봉제부위가 쉽게 터지는 문제점이 야기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 20-374383호 당구용 장잡은 장갑몸체(2)의 일측에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손가락개방부(3)가 형성된 당구용 장갑(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개방부(3)의 선단(둘레)부를 따라 내,외면을 감싸도록 보강원단(10)을 배치한 후 상기 보강원단(10)을 장갑몸체(2)에 일체로 박음질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당구용 장갑은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할 때 손날측의 장갑면과 당구대의 면부가 밀려 안정적인 파지를 할 수 없고, 손날 부분에 마감으로 처리된 부분이 돌출되어 파지시 손날부분을 눌려져 장시간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당구용 장갑은 손바닥, 손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장잡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생산공정에 의해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374383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한 상태로 받쳐주는 약지,새끼손가락 및 손날부위가 개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손날 부분에 마감으로 처리된 부분이 없어 장시간 사용이 불편한 점이 없으며 또한 생산시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한 생산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당구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고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새끼손가락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는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일측끝단과 사용자의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를 기준으로 사용자 손날의 손바닥과 손등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면부로 부터 연장된 소정의 길이의 띠가 형성되되 상기 띠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중지손가락의 개방부가 전체의 길이 중 1/3 정도가 개방된 것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지손가락의 일측면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안착시 미끄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엄지손가락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검지손가락의 일측면에도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지손가락에는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은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할 때 손날측부분이 노출되어 당구대의 면부에 안정적인 밀착 파지를 할 수 있고, 손날 부분에 마감으로 처리된 부분이 없어 장시간 사용이 불편한 점이 없으며, 또한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 손등 크기에 상관없이 한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할 수 있고,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일측면부분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큐대 삽입이 되는 이동되는 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사용실시예.
도 5a, 5b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
도 8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9a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사용실시예이며, 도 5a, 5b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7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8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9a는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9b는 도 9a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와 같은 도 2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은 사용자의 약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 개방부가 형성된 당구용 장갑에 있어서, 사용자 손의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23)을 끼울 수 있고 사용자의 약지손가락(22),새끼손가락(24)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15)가 형성하되 상기 개방부(15)는 사용자의 중지손가락(23)과 약지손가락(22) 사이를 기준으로 사용자 손날(26)의 손바닥과 손등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을 감싼 면부(16)의 일측단에는 벨크로테이프(30)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감싼 면부(17)의 일측단에는 상기 면부(17)로 부터 연장된 소정의 길이의 띠(18)가 형성하되 상기 띠(18)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사용자의 손(20)이 상기 당구용 장갑(1)의 엄지손가락(11), 검지손가락(12), 중지손가락(13)에 끼워 후 사용자의 손등을 감싼 면부(17)의 일측단에는 면부(17)에 연장된 띠(18)를 사용자의 팔목에 감아 사용자의 손바닥을 감싼 면부(16)의 벨크로테이프(30)에 체결하여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을 착용하여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날(26)측부분이 노출되어 당구대의 면부에 안정적으로 밀착 파지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날(26)부분에 마감으로 처리된 부분이 없어 장시간 사용이 불편한 점이 없으며, 또한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은 사용자의 손(20)의 손바닥, 손등 크기에 상관없이 한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1)의 중지손가락(13) 일측단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5-1)가 형성되어 당구대의 파지시 사용자의 중지손가락(23) 돌출되어 당구대의 면부에 밀착하므로 더욱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장갑(1)의 중지손가락(13)의 개방부(15-1)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의 길이(L) 중 1/3 정도가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손(20)이 작은 경우 사용자의 중지손가락(23)이 개방부(15-1) 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장갑의 면부에 감싸 경우 당구대의 파지시 사용자의 중지손가락(23)이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구용 장갑(1)의 중지손가락(13) 일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용 장갑의 검지손가락(12)과 엄지손가락(11)이 당구용 장갑(1)의 중지손가락(13) 면부에 안착시 미끄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구(40)가 구비되어 더욱더 당구용 장갑(1)의 검지손가락(12)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구용 장갑(1)의 중지손가락(13)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0)가 형성하여 당구가 초보인 사용자가 검지손가락(12)과 엄지손가락(11)이 중지손가락(13)에 안착될 위치를 쉽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걸림돌기(50)에 의해 검지손가락(12)과 엄지손가락(11)이 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검지손가락(12)과 엄지손가락(11)이 중지손가락(13)에 안착되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엄지손가락(11)이 중지손가락(13)에 안착되는 것도 중요하지마 당구를 처음 배우는 사용자나 초급자 등은 큐질을 할 경우 큐대가 손가락으로 안착되는 부분을 이탈되하기 때문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11)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60)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검지손가락(12)의 일측면에도 벨크로테이프(60)가 구비되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11)과 검지손가락(12)을 맞붙혀 둥근형상을 만들지며 이와 같이 만들어진 둥근형상에 큐대를 삽입하여 이동시 엄지손가락(11)과 검지손가락(1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11)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60)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검지손가락(12)의 일측면에도 벨크로테이프(60)가 구비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은 당구대 위에서 당구큐대를 파지할 때 손날측부분이 노출되어 당구대의 면부에 안정적인 밀착 파지를 할 수 있고, 손날 부분에 마감으로 처리된 부분이 없어 장시간 사용이 불편한 점이 없으며, 또한 본 고안의 당구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 손등 크기에 상관없이 한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할 수 있고,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일측면부분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큐대 삽입이 되는 이동되는 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당구용 장갑
10 : 장갑
11 : 엄지손가락 12 : 검지손가락
13 : 중지손가락 15, 15-1 : 개방부
16, 17 : 면부 18 : 띠
20 : 손 22 : 사용자의 약지손가락
23 :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24 :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26 : 사용자의 손날
50 : 걸림돌기 30,60,72,82 : 벨크로테이프
70 : 연결부재 80 : 손목밴드

Claims (7)

  1. 사용자의 약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 개방부가 형성된 당구용 장갑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고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새끼손가락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는 사용자의 중지손가락 일측끝단과 사용자의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를 기준으로 사용자 손날의 손바닥과 손등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감싼 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면부로 부터 연장된 소정의 길이의 띠가 형성되되 상기 띠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손가락의 개방부가 전체의 길이 중 1/3 정도가 개방된 것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
  5.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중지손가락의 일측면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안착시 미끄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
  6.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검지손가락의 일측면에도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손가락에는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용 장갑.

KR2020120001136U 2012-02-14 2012-02-14 당구용 장갑 KR200471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36U KR200471482Y1 (ko) 2012-02-14 2012-02-14 당구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36U KR200471482Y1 (ko) 2012-02-14 2012-02-14 당구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31U KR20130005031U (ko) 2013-08-22
KR200471482Y1 true KR200471482Y1 (ko) 2014-03-12

Family

ID=5148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136U KR200471482Y1 (ko) 2012-02-14 2012-02-14 당구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106A (ko) 2021-04-19 2022-10-26 최창희 다기능 당구 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220A (en) * 1984-08-17 1986-03-04 Baker Terry L Billiard glove
KR200298816Y1 (ko) * 2002-09-28 2002-12-27 박근덕 당구용 장갑
KR200374383Y1 (ko) * 2004-10-13 2005-01-29 유병립 당구용 장갑
US20070079421A1 (en) * 2005-10-11 2007-04-12 Davis Mark A Billiard Bridge Training Glo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220A (en) * 1984-08-17 1986-03-04 Baker Terry L Billiard glove
KR200298816Y1 (ko) * 2002-09-28 2002-12-27 박근덕 당구용 장갑
KR200374383Y1 (ko) * 2004-10-13 2005-01-29 유병립 당구용 장갑
US20070079421A1 (en) * 2005-10-11 2007-04-12 Davis Mark A Billiard Bridge Training Gl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31U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4499A (en) Gripper pads for hands
US20100043119A1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KR20090079749A (ko) 운동용 장갑
JP3195549U (ja) ボールグローブ
US20190091547A1 (en) Athletic Glove
JP2009506862A (ja) グリップ固定用バンドが付着された左手用ゴルフ手袋
US20130269076A1 (en) Pair of sporting gloves
KR200471482Y1 (ko) 당구용 장갑
US6742190B1 (en) Bridging glove
US8221254B2 (en) Golf glove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US20190133221A1 (en) Golf glove with airflow vents
KR200445774Y1 (ko) 손가락 밴드
US6418560B1 (en) Protective glove for stringing a tennis racket
KR20110000214U (ko) 골프용 손가락 밴드
KR100976036B1 (ko) 스트롱 그립퍼를 구비한 골프장갑 및 스트롱 크립퍼를 이용한 골프 클럽의 그립 방법
JP3116418U (ja) スポーツ用手袋
US20050205100A1 (en) Thumb protector
KR200215471Y1 (ko) 골프장갑
CN203507472U (zh) 一种用于足球比赛的防抓拉手套
KR102510252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골프 장갑
KR200376188Y1 (ko) 골프용 장갑
KR20090007471U (ko) 그립 고정력이 향상되게 한 양손형 골프장갑
KR101323549B1 (ko) 골프 장갑
CN101766897B (zh) 投篮手型矫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