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99Y1 - 골도 진동자 - Google Patents

골도 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99Y1
KR200235799Y1 KR2020010004193U KR20010004193U KR200235799Y1 KR 200235799 Y1 KR200235799 Y1 KR 200235799Y1 KR 2020010004193 U KR2020010004193 U KR 2020010004193U KR 20010004193 U KR20010004193 U KR 20010004193U KR 200235799 Y1 KR200235799 Y1 KR 200235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vibrating
bone conduction
voice coil
conduction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중
Original Assignee
신승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중 filed Critical 신승중
Priority to KR2020010004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99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한 게임기 등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도 진동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는 외부의 음향신호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인가받아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과; 외부 둘레면에 보이스코일이 감겨져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하부가 관통된 보빈과; 보이스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보빈을 상하운동케 하는 진동발생수단과; 보빈의 상면에 결합되어 보빈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관; 및 진동관의 상부 끝단과 결합되고 타원의 곡율을 구비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뻗어있는 진동수단을 구비한다.
진동수단은 우산살 형태의 진동살을 복수개 구비하거나 타원의 곡율을 구비한 곡면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골도 진동자{Bone Conduction Vibrator}
본 고안은 골도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구비한 게임기 등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도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락실이나 게임장에 구비된 게임기는 그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소리가 과대하여 이를 청취하는 사람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며, 심한 경우에는 난청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주변의 게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자신의 게임에 몰두할 수 없어 게임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이는 오락실 또는 게임장의 매출 감소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추가로 게임기에 설치하여 타 게임기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게임을 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게임자에게 번거로움을 제공하며 게임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공공장소나 대형 건물에 비치되어 길 안내나 교통편 등의 안내 방송을 수행하는 각종 안내 장치는 청각 장애자나 청력이 좋지 않은 자에게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임기의 손잡이만을 부여잡는 것에 의해 그 게임기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도 진동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종 안내 장치 등의 손잡이를 부여잡는 것에 의해 안내 장치에서 방송하는 음성 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도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도 진동자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관 및 진동살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각각 도 2의 진동관 및 진동살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진동살이 게임기 등의 손잡이 내벽에 부착된 경우의 일예를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빈 2: 코어
3: 전자석 4: 베이스판
5: 보이스코일 6: 진동관
7: 진동살 8: 진동판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는 외부의 음향신호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인가받아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과; 외부 둘레면에 상기 보이스코일이 감겨져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하부가 관통된 보빈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상하운동케 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보빈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관; 및 상기 진동관의 상부 끝단과 결합되고 타원의 곡율을 구비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뻗어있는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수단은 우산살의 형태의 진동살을 복수개 구비하거나 타원의 곡율을 구비한 곡면으로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도 진동자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골도 진동자는 상하부가 관통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보빈(1)과, 상기 보빈(1)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코어(2) 및 상기 보빈과 일정간격(공극)을 두고 위치하는 전자석(3)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2) 및 전자석(3)은 그 하부의 베이스판(4)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판(4)은 상기 골도 진동자 구조를 하우징하기 위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상기 보빈(1)의 외부 둘레면에는 보이스코일(5)이 감겨져 있어 외부로부터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빈(1)의 상면에는 진동관(6)이 결합된다. 상기 진동관은 바람직하기로는 그 내부를 비어 있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진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진동관(6)의 상부 끝단에는 진동관(6)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에 전달하기 위해 활형상으로 휘어있는 진동살(7)이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도 2 참조). 상기 진동살(7)은 타원곡면 또는 계란 형태의 곡면을 갖는 게임기 등의 손잡이 내벽에 부착되어 진동관(6)으로부터의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게임기 등의 손잡이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진동살(7)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는 진동살(7)을 이산적이 아닌 연속적인 곡면형태(진동판)로 형성하므로써 진동관(6)과 진동판(8)이 우산형태의 모양을 하게 된다. 진동판(8)의 곡면은 부착되는 손잡이 등의 내벽의 곡율과 같도록 형성하므로써 진동관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손잡이 등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진동살(7) 또는 진동판(8)은 게임기나 각종 안내 장치의 손잡이에 내장되기 적합한 구조이다. 즉, 상기 진동살(7) 및 진동판(8)은 손잡이 내벽의 곡면을 따라 밀착되므로써 보빈(1)으로부터 진동관(6)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손잡이에 게임기나 손잡이에 전달한다. 손잡이에 전달된 진동은 손잡이를 쥔 사람의 골도를 따라 청각신경을 자극하게 되어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4는 도 2의 진동살이 게임기 등의 손잡이의 내벽에 부착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이하, 상기 골도 진동자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의 중요한 용도는 게임기의 손잡이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람이 손잡이를 쥐는 것에 의해 게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의 또 다른 중요한 용도는 길 안내나 관광지 안내 등의 안내를 위한 장치에 부착된 손잡이 내부에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를 장착하고 상기 손잡이를 사람이 잡음으로써 안내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외부의 음향신호원으로부터 음향신호가 전류의 형태로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코일로부터 유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 자기장은 전자석과 상호작용하여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게 되고 보이스코일(5)이 감겨진 보빈(1)이 공극에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빈(1)과 결합된 진동관(6)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진동관(6)의 상하운동은 진동살(7) 및 진동살(7)과 결합된 게임기 등의 손잡이를 진동케 한다. 그러므로, 손잡이를 쥐고 있는 사람은 손잡이의 진동에 의해 골도 청각이 유발되고 음향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도 진동자는 게임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타인은 듣지 못하게 하고 게임기의 손잡이를 쥐고 있는 게임자에게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존에 게임기가 갖고 있던 소음 문제를 해결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며, 각종 안내 장치의 손잡이에 내장되므로써 특히 청각 장애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Claims (4)

  1. 외부의 음향신호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인가받아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이스코일과;
    외부 둘레면에 상기 보이스코일이 감겨져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하부가 관통된 보빈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상하운동케 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보빈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관과; 및,
    상기 진동관의 상부 끝단과 결합되고 타원의 곡율을 구비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뻗어있는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도 진동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우산살의 형태의 진동살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도 진동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타원의 곡율을 구비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도 진동자.
  4.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상기 보빈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코어 및 상기 보빈과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도 진동자.
KR2020010004193U 2001-02-19 2001-02-19 골도 진동자 KR200235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93U KR200235799Y1 (ko) 2001-02-19 2001-02-19 골도 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93U KR200235799Y1 (ko) 2001-02-19 2001-02-19 골도 진동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219A Division KR20020067845A (ko) 2001-02-19 2001-02-19 골도 진동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99Y1 true KR200235799Y1 (ko) 2001-09-29

Family

ID=730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193U KR200235799Y1 (ko) 2001-02-19 2001-02-19 골도 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7935A (en) Audio listening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SE0102208D0 (sv) Hörapparat
EP1768445B1 (en) Bone conduction device
EP1336320A1 (en) Bone conduction vibrator
KR20110006830A (ko) 골전도 진동장치
US5125031A (en) Speaker system with focused vibration
KR100646041B1 (ko)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US4175552A (en) Vibration device
KR200295460Y1 (ko) 골도 스피커
KR200235799Y1 (ko) 골도 진동자
KR101039107B1 (ko) 골전도 이어폰
KR20160020921A (ko) 체감진동형 복합 음향리시버
JP4127835B2 (ja) ゲームシステム
KR20020067845A (ko) 골도 진동자
KR200321411Y1 (ko) 음향체감 진동 맛사지 헤드폰
KR100825478B1 (ko) 소리굽쇠 타입의 사운드 진동자
KR100623566B1 (ko) 고정 보이스 코일을 이용한 진동형 골전도 음전달 체감 진동 마이크로 리시버
KR960016675B1 (ko) 청각장애자용 음향 청취 장치
KR100354909B1 (ko) 초소형 음향 진동자
KR100415052B1 (ko) 대출력 음향-진동 변환장치
KR960016670B1 (ko) 청각장애자용 골도 헤드폰
JP3554548B2 (ja) 肌に音の微妙な振動を伝える装置
WO2019058523A1 (ja) スピーカ装置
KR20070049319A (ko) 이어폰
KR20010003562A (ko) 초소형 골도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