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51Y1 -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51Y1
KR200235751Y1 KR2019960036374U KR19960036374U KR200235751Y1 KR 200235751 Y1 KR200235751 Y1 KR 200235751Y1 KR 2019960036374 U KR2019960036374 U KR 2019960036374U KR 19960036374 U KR19960036374 U KR 19960036374U KR 200235751 Y1 KR200235751 Y1 KR 200235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ston blocks
rod shaft
pistons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999U (ko
Inventor
김범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36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5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51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단에 각각 가스용기(11-1,11-2)의 연결관(16-1,16-2)이 연결되고, 하부 중단에 사용측연결라인(20)이 연결되는 가스공급라인(19-1,19-2)과; 실린더관 (17)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17-1,17-2)이 상기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로드축(7)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18-1,18-2)이 상기 피스톤불록(17-1,17-2)에 각각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18-1,18-2)에 각각 가스유도관(28-1,28-1)이 형성되는 가스공급라인개폐부(24)와: 실린더관 (15)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18-1,18-2)이 상기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로드축(5)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6-1,6-2)이 상기 피스톤불록(18-1,18-2)에 각각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6-1,6-2)에 각각 가스유도관(26-1,26-2)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조절레버(3-2,3-1) 및 조절스토퍼(4-2,4-1)에 의해 장력 조절되는 스프링(2-2,2-1)이 상기 로드축(5)의 좌우측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로드축(5)에 의해 좌우 회전되도록 표시레버(1)가 설치되는 압력유도라인개폐부 (25)와; 상단이 상기 피스톤불록(17-1,17-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스압력라인 (19-1,19-2)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단부가 상기 피스톤불록(18-1,18-2)에 의해 연결되면서 하단이 상기 피스톤불록(17-1,17-2)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압력유도라인 (12-1,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
본 고안은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를 사용하는 제철소 또는 가정 등에서 가스용기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진된 가스용기를 교체된 가스용기 사용중에 교체가 가능한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화력발전소에서는 다수의 가스용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때 한 개씩 수동 개폐하게 되는데, 이때 인원부족으로 수동조작이 불가능하여 대개 가스용기를 모두 개방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에서 기 사용된 가스용기에 1/3∼2/3 정도 가스가 남아있어도 차기 대수리시 사용하기에 부족하여 공병처리하게 되는데, 이는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자원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교환시 작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가스용기의 경우 예비가스용기없이 사용중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스 소진을 알게되고, 조리작업을 멈추고 새로운 가스용기로 교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가스용기가 자동으로 교체됨으로써 가스 단절시간이 제거되어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소진된 가스용기를 교체된 가스용기의 사용중에 교환하게 되어 교환시간에 여유가 있으며, 이로써 에너지절약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입니다.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레버 1-1 : 가이드홀
2-1,2-2 : 스프링 3-1,3-2 : 조절레버
4-1,4-2 : 조절스토퍼 5 : 로드축
5-1 : 고정핀 6-1,6-2 : 피스톤
7 : 로드축 8-1,8-2 : 피스톤
11-1,11-2 : 가스용기 12-1,12-2 : 압력유도라인
13,13-1,13-2 : 압력게이지 14-1,14-2 : 레귤레이터
15 : 실린더관 15-1 : 지지핀
16-1,16-2 : 연결관 17 : 실린더 관
19-1,19-2 : 가스공급라인 20 : 사용측연결라인
24 : 가스공급라인개폐부 25 : 압력유도라인개폐부
26-1,26-2,28-1,28-2 : 가스유도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단에 각각 가스용기의 연결관이 연결되고, 하부 중단에 사용측연결라인이 연결되는 가스공급라인과; 실린더관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이 상기 가스공급라인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로드축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불록에 각각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에 각각 가스유도관이 형성되는 가스공급라인개폐부와; 실린더관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이 상기 가스공급라인의 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로드축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불록에 각각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에 각각 가스유도관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조절레버 및 조절스토퍼에 의해 장력 조절되는 스프링이 상기 로드축의 좌우측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로드축에 의해 좌우 회전되도록 표시레버가 설치되는 압력유도라인개폐부와; 상단이 상기 피스톤불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스압력라인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단부가 상기 피스톤불록에 의해 연결되면서 하단이 상기 피스톤불록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압력유도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좌우측에 각각 준비된 다수의 가스용기(11-2,11-1)에는 연결관(16-2,16-1)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 다수의 연결관(16-2,16-1)은 가스공급라인(19-2,19-1)의 상단에 각각 모이게 된다.
그리고 가스공급라인(19-1,19-2)은 대략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연통되어 있고, 중간부에 사용측연결라인(2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상단부에는 각각 피스톤불록(17-1,17-2)이 내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피스톤불록(17-1,17-2)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원통관의 실린더관(17) 양단이 내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불록(17-1,17-2)에는 피스톤(8-1,8-2)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고, 이 피스톤에는 단면이 대략 'ㅓ' 또는 'ㅏ'자 형상의 가스유도관 (28-1,28-2)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관(17)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로드축(7)은 좌우측단이 각각 피스톤(8-2)의 우측면파 피스톤(8-1)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압력유도라인(12-1,12-2)은 상단이 피스톤불록(17-1,17-2)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상단 외주면 좌우측에 각각 내통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중단부가 각각 피스톤불록(18-7,18-2)에 수직으로 내통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대략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피스톤블록(17-1,17-2)의 우좌측하부에 내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확관된 좌우측단이 각각 가스공급라인(19-2,19-1)의 중단부에 내통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블록(18-2,18-1)은 피스톤(6-2,6-1)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고, 이 피스톤(6-2,6-1)은 중간부에 압력유도라인(12-2,12-1)과 동일 직경의 가스유도관(26-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불록(18-2,18-1)의 우좌측면에는 각각 피스톤불록(18-2,18-1)보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관(15)의 좌우측단이 각각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실린더관(15)에 내장되는 로드축(5)은 양단이 각각 피스톤(6-2,6-1)의 우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드축(5)의 중단에는 고정핀(5-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이고정핀(5-1)과 좌우양단 사이의 로드축(5)에는 각각 조절스토퍼(4-2,4-1)가 외장되어 있으며, 특히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의 조절스토퍼(4-2,4-1)는 내주면에 로드축(5)이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이때 상부의 일부분이 실린더관(15)의 외주면 상부로 외장되는 원형의 조절레버(3-2,3-1)는 내주면이 조절스토퍼(4-2,4-1)에 나합되어 있고, 조절스토퍼(4-2,4-1)와 피스톤(18-2,18-1) 사이의 로드축(5)에는 각각 스르링(2-2,2-1)이 외장되 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관(15)에 좌우이동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조절레버(3-2,3-1)는전후회전되면서 조절스토퍼(4-2,4-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스토퍼의 좌우 이동에 따라 스프링(2-2,2-1)의 압축탄성력이 조절된다.
한편 가스공급라인(19-1,19-2)에는 각각 압력게이지(13,13-1.13-2)가 설치되어 있고, 절곡부에 레귤레이터(14-1,14-2)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이 화살표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레버(1)는 실린더관(15)의 중단부에 내장되면서 하단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홀(1-1)에 로드축(5)의 고정핀(5-1)이 삽입되어 있다.
이때 표시레버(1)는 실린더관(15)의 중단 외주면 상부를 관통하면서 외장되는 상단부가 실린더관(15)에 고정되는 지지핀(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축(5)이 좌우로 이동될 때 가이드홀(1-1)에 삽입된 고정핀(5-1)에 의해 표시레버(1)가 지지핀(15-1)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좌측가스용기(11-2)의 가스가 소진되어 압력이 낮아지면 좌측가스압력라인(19-2) 내의 가스압력이 떨어지면서 좌측스프링(2-2)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6-2)이 좌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동시에 로드축(5)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6-1)이 좌측으로 전진하게 되며, 표시레버(1)는 로드축(5)에 의해 화살표방향이 우측을 가르키게 된다.
이때 압력유도라인(12-2)과 일치되어 있던 가스유도관(26-2)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압력유도라인(12-2)을 통해 전달되던 가스를 차단하게 되고, 이로써 압력유도라인(12-1)과 연통되는 피스톤불록(17-2) 내의 가스압력이 저하된다.
반면에 압력유도라인(12-1)과 불일치되어 있던 가스유도관(26-1)이 압력유도라인(12-1)과 연통되고, 압력유도라인(12-1)를 통해서 피스톤불록(17-1)에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8-1)이 피스톤불록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로드축(7)에 의해 피스톤(8-2)이 피스톤불록(17-2)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된다.
따라서 가스유도관(28-1)이 가스공급라인(19-1)과 일치되면서 가스용기(11-1)의 가스가 사용측연결라인(20)으로 공급된다
한편 소진된 좌측가스용기(11-2)는 우측가스용기(11-1)를 사용중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고, 다시 우측가스용기(11-1)를 소진하게 되면 상기한 작동순서로 본 고안이 작동된다.
본 고안은 가스단절시간을 제거함으로써 각 설비의 연속운전이 가능하고, 가스를 완전히 소진하여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으며, 가스용기의 교체시간이 여유가 있어 적은인원으로 교체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단에 각각 가스용기(11-1,11-2)의 연결관 (16-1,16-2)이 연결되고, 하부 중단에 사용측연결라인(20)이 연결되는 가스공급라인(19-1,19-2)과, 실린더관(17)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17-1,17-2)이 상기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로드축(7)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8-1,8-2)이 상기 피스톤불록(17-1,17-2)에 각각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8-1,8-2)에 대략 'ㅓ'자 및 'ㅏ'자 형상의 가스유도관(28-1,28-2)이 각각 형성되는 가스공급라인개폐부(24)와; 실린더관(15)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불록(18-1,18-2)이 상기 가스공급라인(19-1,19-2)의 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로드축(5)에 의해 연결되는 피스톤(6-1,6-2)이 상기 피스톤불록(18-1,18-2)에 각각 내장되며, 상기 피스톤(6-1,6-2)에 가스유도관(26-1,26-2)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조절레버(3-2,3-1) 및 조절스토퍼(4-2,4-1)에 의해 장력 조절되는 스프링(2-2,2-1)이 상기 로드축(5)의 좌우측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로드축(5)에 의해 지지핀(15-1)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관(15)의 중단부에 내장되면서 하단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홀(1-1)에 로드축의 고정핀(5-1)이 삽입된 표시레버(1)가 설치되는 압력유도라인 개폐부(25)와; 상단이 상기 피스톤불록(17-1,17-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스압력라인(19-1,19-2)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단부가 상기 피스톤불록(18-1,18-2)에 의해 연결되면서 하단이 상기 피스톤불록 (17-1,17-2)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압력유도라인(12-1,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용기 자동교체장치.
KR2019960036374U 1996-10-30 1996-10-30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KR200235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374U KR200235751Y1 (ko) 1996-10-30 1996-10-30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374U KR200235751Y1 (ko) 1996-10-30 1996-10-30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99U KR19980022999U (ko) 1998-07-25
KR200235751Y1 true KR200235751Y1 (ko) 2001-11-22

Family

ID=539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374U KR200235751Y1 (ko) 1996-10-30 1996-10-30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155B1 (ko) * 1999-02-01 2001-12-29 구자홍 신뢰도를 이용한 대표칼라 지정방법
MY135412A (en) * 1999-02-05 2008-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0350789B1 (ko) * 1999-03-04 2002-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검색시스템의 분위기 칼라 자동추출 및 원래 칼라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9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751Y1 (ko) 가스압력용기자동교체장치
CN209818787U (zh) 一种耐高温的球阀
CN210950387U (zh) 一种无推力型波纹膨胀节
CN206191001U (zh) 一种眼镜阀用密封压紧动力装置
CN2451855Y (zh) 恒力支吊架
CN220178620U (zh) 一种液压缸活塞杆总成件装配装置
CN214368218U (zh) 一种新型预制架空保温管道用支撑模块
CN212537501U (zh) 钢瓶阀门紧急关断装置及系统
CN211014104U (zh) 一种新型腐蚀监测装置
CN209903113U (zh) 一种核电厂用闸板夹紧装置
NO843037L (no) Kompensator for kompensering av aksiale bevegelser i roerledninger
CN216430562U (zh) 一种可防脱落式衬氟球阀
CN217141861U (zh) 一种异形金属弯管成型装置
CN213018868U (zh) 一种二氧化碳爆破管灌注机
CN212536991U (zh) 一种不锈钢管套
CN218626406U (zh) 一种天然气储罐用压力平衡结构
CN219412517U (zh) 动力水龙头液压摆臂装置
CN220185972U (zh) 一种省力耐用截止阀
CN212391074U (zh) 一种水位检测器
CN218780860U (zh) 一种石油裂解管用支座
CN217343956U (zh) 一种无缝气瓶的瓶底修复装置
CN218000812U (zh) 一种便于连接密封的钢塑转换管件
CN220506006U (zh) 一种水利管道支撑装置
CN211466269U (zh) 一种便携式波纹管接头伸缩装置
CN219367014U (zh) 嵌套式可变弹簧支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