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95Y1 -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95Y1
KR200235695Y1 KR2020010007255U KR20010007255U KR200235695Y1 KR 200235695 Y1 KR200235695 Y1 KR 200235695Y1 KR 2020010007255 U KR2020010007255 U KR 2020010007255U KR 20010007255 U KR20010007255 U KR 20010007255U KR 200235695 Y1 KR200235695 Y1 KR 200235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oam concrete
lightweight foam
layer
shiel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철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20010007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95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형성한 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진동 차폐층 위에 다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개량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하고, 상기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형성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의 상면에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한 후,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를 배관하고, 마감 몰탈을 타설하는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발포고무, 폐타이어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스프링 상수가 1,500∼10,000㎏/㎜/㎡, 정적 압축 변형율이 3% 이하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Improved floor structure}
본 고안은 개량된 공동주택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하층간의 소음 및 진동의 전달에 의한 충격음을 차폐하기 위한 공동주택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 전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소음 및 진동차폐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 중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폐타이어를 잘게 부순 칩을 접착제 등 결합재로 결합시켜 판상의 기성재로 만든 제품, 혹은 폐타이어 칩과 결합재를 혼합한 슬러리를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여 경화시킨 제품, 혹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발포고무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탄성을 가진 판상의 기성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발포폴리스티렌판 등이 사용되기도 하나, 이는 장기침하의 가능성이 높고, 충격소음 방지의 효과가 낮아 소음 및 진동 차폐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소음 및 진동차폐재를 공동주택에 적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95-34218호에 제시된 바닥 구조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위에 소음 및 진동차폐재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나 발포스티로폼으로 단열층을 설치한 후,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적정 두께로 미장 몰탈을 타설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소음 및 진동차폐재를 콘크리트 슬래브와 밀착시켜 균일하게 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소음 및 진동차폐재는 공장 생산된 두께 10∼30㎜의 판상재인데 반해, 콘크리트 슬래브는 시공상의 오차로 그 면이 고르지 못하여 소음 및 진동차폐재가 콘크리트 슬래브 면에 밀실하게 부착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면에 모래를 깔아, 바닥면을 균일하게 하는 등의 선행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소음 및 진동차폐재를 시공한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보다 경량기포콘크리트층에 발생되는 균열의 길이가 200% 이상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균열의 증가는 온돌바닥구조 전체의 두께가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는 경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의 두께만큼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허용 전단력 및 허용 인장력이 감소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하중에 의한 변위에 의해 균열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또, 차음 및 진동차폐재가 탄성재이기 때문에, 상부의 작업하중에 의해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변형률 변화가 커지는 동시에, 소음 및 진동차폐재가 바닥면의 슬래브 콘크리트와 밀실하게 부착되지 않아, 작업하중 작용시 급격한 변위를 일으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경량기포콘크리트층에 이렇게 많은 균열이 발생할 경우 온수 파이프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돌미장 몰탈 타설 후, 몰탈 마감면에 균열 발생을 유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바닥 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1998-49362호에서는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면에 먼저,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위에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설치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의 상면에 난방용 온수배관과, 마감 몰탈층을 타설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1998-49362호에 기재된 바닥 구조는 신축성 있는 소음 및 진동차폐층 상부면에 온수 파이프 및 마감 몰탈을 시공하기 때문에, 마감 몰탈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온수 파이프를 소음 및 진동차폐층에 고정하는데, 어려우며, 난방시 온수 파이프가 가열되는 경우, 상기 온수 파이프에 접해있는 고무 계열의 소음 및 진동차폐층이 변형될 소지를 안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형성한 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진동 차폐층 위에 다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개량된 바닥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된 공동주택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닥 슬래브
12, 14 : 경량기포콘크리트층
13 : 소음 및 진동 차폐층
15 : 난방용 온수 파이프
16 : 마감 몰탈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하고, 상기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형성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의 상면에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한 후,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를 배관하고, 마감 몰탈을 타설하는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발포고무, 폐타이어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스프링 상수가 1,500∼10,000㎏/㎜/㎡, 정적 압축 변형율이 3% 이하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 바닥구조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11은 바닥 슬래브, 12는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 13은 소음 및 진동차폐층, 14는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 15는 난방용 온수 파이프, 16은 마감 몰탈층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바닥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1) 상에 일정 두께의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12)를 타설하고, 상기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 상면에 형성되는 소음 및 진동차폐층(13)을 설치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13) 상면에는 다시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14)을 타설하고,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14) 상면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15)를 배관하며, 그리고 일정 두께로 마감 몰탈(16)을 타설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 바닥구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12)는 타설 후 약 7일이 지난 다음의 압축강도가 약 3㎏/㎠ 이상이어야 하며, 소음 및 진동차폐층(13)은 스프링 상수가 약 1,500∼10,000㎏/㎜/㎡, 정적압축변형율이 약 3% 이하의 물성을 가진 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를 주요 재료로 하여 제조된 것이다. 한편,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재에 그 원료의 일부로서 황토미분, 황동 미분 등이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14)은 압축강도가 약 2㎏/㎠ 이상이어야 하고, 마감몰탈(15)은 타설 후 28일정도 지난 다음의 압축강도가 약 140㎏/㎠ 이상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을, 타설 후 7일이 지난 다음의 압축강도가 약 3㎏/㎠이상이 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 타설후 5일 후에 진행되는 후속 작업에 의한 작업 하중에 의해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지압파괴, 펀칭파괴, 인장파괴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균열 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14) 위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15)를 설치하고, 마감 몰탈을 타설함에 있어, 마감 몰탈에 균열방지를 위한 팽창성 혼화재 및 메탈라스를 혼합하고, 여기에 더해 황토 미분, 맥반석 미분, 옥돌 미분, 황동 미분을 첨가하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마감 몰탈층 하부에 열전도율 향상과 마감 몰탈의 균열 방지를 위해 알루미늄 구멍판, 황동 구멍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소음 및 진동차폐재로서,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혹은 발포고무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판상의 기성재, 혹은 폐타이어의 칩을 접착제 등의 결합재와 혼합하여 만든 판상의 기성재, 혹은 폐타이어의 칩과 접착제 등의 결합재를 현장에서 혼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설치한 다음에, 그 상면에 염화비닐 시트 또는 이에 준하는 합성수지층을 깔고, 그 상면에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형성한 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진동 차폐층 위에 다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마감 몰탈의 균열을 방지하고, 온수 파이프의 배관이 용이하며, 소음 및 진동 차폐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하고, 상기 제1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소음 및 진동차폐층을 형성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의 상면에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한 후,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면에 난방용 온수 파이프를 배관하고, 마감 몰탈을 타설하는데,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발포고무, 폐타이어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스프링 상수가 1,500∼10,000㎏/㎜/㎡, 정적 압축 변형율이 3% 이하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진동차폐층 상면에 염화비닐 시트 혹은 합수성수지를 깔고,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량기포콘크리트 층은 압축강도가 2㎏/㎠ 이상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2020010007255U 2001-03-16 2001-03-16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KR200235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255U KR200235695Y1 (ko) 2001-03-16 2001-03-16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255U KR200235695Y1 (ko) 2001-03-16 2001-03-16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95Y1 true KR200235695Y1 (ko) 2001-10-08

Family

ID=7305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255U KR200235695Y1 (ko) 2001-03-16 2001-03-16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07B1 (ko) * 2001-08-07 2004-07-22 김윤원 소음진동 차단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07B1 (ko) * 2001-08-07 2004-07-22 김윤원 소음진동 차단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262C (en) Impact sound insulation
US6094878A (en) Composite floor structur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9980084656A (ko) 차음단열 조성물
KR1008117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27304B1 (ko) 소음및진동차폐를위한개량된공동주택바닥구조
KR200287084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TWM618294U (zh) 隔音構造
KR200235695Y1 (ko) 개량된 공동주택 온돌 바닥구조
CN213868491U (zh) 一种装配式保温隔声楼板
KR100369781B1 (ko) 진동 및 소음 차단 바닥재의 시공방법
CN112376771A (zh) 装配式楼地面保温隔声一体化板及其施工方法
KR200399631Y1 (ko) 건물의 층간 바닥구조
CN215631283U (zh) 一种装配式保温隔声复合地板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CN214614883U (zh) 装配式楼地面保温隔声一体化板
CN218028678U (zh) 一种新型的保温隔声地暖板系统
CN217782697U (zh) 一种保温隔声板
KR102642937B1 (ko) 트레이형 층간 소음 저감 구조
CN216713528U (zh) 一种楼板的隔声保温系统
KR200368383Y1 (ko)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KR102581937B1 (ko) 건식 난방 패널용 슬래브의 시공방법
KR20032433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 및 이를 사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0294592Y1 (ko) 온돌 패널 고정 장치
KR100335447B1 (ko) 탄성 경량 단열 골재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