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404Y1 - 심야 전기 화로 - Google Patents

심야 전기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404Y1
KR200235404Y1 KR2020010000880U KR20010000880U KR200235404Y1 KR 200235404 Y1 KR200235404 Y1 KR 200235404Y1 KR 2020010000880 U KR2020010000880 U KR 2020010000880U KR 20010000880 U KR20010000880 U KR 20010000880U KR 200235404 Y1 KR200235404 Y1 KR 200235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using
inlet
furnace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 희 원
Original Assignee
백 희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 희 원 filed Critical 백 희 원
Priority to KR2020010000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40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심야 전기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심야 전기 화로에 관한 것으로, 심야 전기가 공급되는 열선(170)과 축열벽돌(160)을 내부에 교번하여 쌓고 측벽과 저면으로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벽과 저면벽에 단열층(120)을 설치하고 상부에 형성된 입구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입구를 개방한 하우징(110)으로 이루어진 열저장 화로(1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 하단부에 설치되는 강화 유리판(140); 및 내측벽에 단열층(2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화로 뚜껑(20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야 전기를 이용하므로 화로 주변이 청결하여 미관상 좋고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심야 전기 화로{MIDNIGHT ELECTRIC FIRE POT}
본 고안은 심야 전기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심야 전기 화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는 숯을 열원으로 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난방기구로, 실내에서 별도의 통풍구없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즉, 화로는 난방 뿐 아니라 실내에서 각종 음식물을 익혀 먹을 수 있어 정서적으로 매우 좋은 기구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로는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즉, 화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숯으로 불을 피워야 하므로 주변이 청결하지 못하고 이동시 화로내의 내용물인 숯불이 밖으로 나와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심야 전기를 이용하여 축열 벽돌에 열을 저장한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하고 내용물의 배출로 인한 화재나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심야 전기 화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심야 전기 화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열저장 회로 110 : 하우징
120, 220 : 단열층 130 : 선반
140 : 강화 유리판 150 : 음식물 받침판
160 : 축열 벽돌 170 : 열선
200 : 화로 뚜껑 210 : 단열층 커버막
230 : 열배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심야 전기가 공급되는 열선과 축열 벽돌을 내부에 교번하여 쌓고 측벽과 저면으로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벽과 저면벽에 단열층을 설치하고 상부에 형성된 입구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입구를 개방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열저장 화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 하단부에 설치되는 강화 유리판; 및 내측벽에 단열층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화로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 전기 화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심야 전기 화로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야 전기가 공급되는 열선(170)과 축열벽돌(160)을 내부에 교번하여 쌓고 측벽과 저면으로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벽과 저면벽에 단열층(120)을 설치하고 상부에 형성된 입구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입구를 개방한 하우징(110)으로 이루어진 열저장 화로(100);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 하단부에 설치되는 강화 유리판(140); 내측벽에 단열층(2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화로 뚜껑(200);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에 고정되고 상기 강화 유리판(14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접시 형태로 이루어져 탈부착이 가능한 음식물 받침판(150); 및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부착된 선반(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로 뚜껑(200)은 열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약간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화로 뚜껑(200)에 설치된 단열층(220)이 보이지 않도록 단열층커버막(210)을 설치한다.
본 고안에 의한 심야 전기 화로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저장 화로(100)의 하우징(110)의 하부에 심야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심야 전기 공급선을 두고, 상기 심야 전기 공급선에 열선(170)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열선(170)은 축열 벽돌(160)과 교번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쌓아 열선(170)에서 발생된 열이 축열 벽돌(16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우징(110) 내부의 최저면부에 축열 벽돌(160)을 한층 쌓고 상기 축열 벽돌(160)층 위에 열선(170)을 깔고, 상기 열선(170) 위에 다시 축열 벽돌(160)을 한층 쌓고 그위에 열선(170)을 깐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축열 벽돌(160)과 열선(170)을 교번하여 쌓되, 최하단과 최상단에는 축열 벽돌(160)이 놓이도록 하여 열선(170)의 열이 직접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축열 벽돌(16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벽과 저면벽에 단열층(120)을 설치하여 하우징(110) 내의 열이 측면이나 저면으로는 약간만 배출되고 주로 상부의 입구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화로 뚜껑(200)을 닫으면 하우징(110) 내에 열이 저장된 상태로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하고 화로 뚜껑(200)을 열면 입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저장 회로(100)의 하우징(110)의 최상단에 쌓인 축열 벽돌(160)의 상부에는 강화 유리판(140)을 끼워 넣어 하우징(110) 내부, 즉 축열 벽돌(160) 사이의 틈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에 강화 유리로 만들어진 음식물 받침판(150)을 고정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식물이 열저장 화로(1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부에 선반(130)을 부착하여 각종 기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심야 전기 화로의 작용을 설명한다.
야간에 심야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열선(17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은 이웃한 축열 벽돌(160)로 전달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저장된 열은 단열층(120)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야간에 축열 벽돌(160)에 저장된 열은 주간에 계속적으로 방출되게 된다. 특히 화로 뚜껑(200)을 열면 열저장 화로(100)의 입구를 통해 축열 벽돌에 저장된 열이 방출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음식물 받침판(150)을 올려 놓고 간단한 요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로 뚜껑(200)을 닫아도 열배출구(220)를 통해 약간의 열이 배출되므로 주변의 난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축열 벽돌(160)에 저장된 열은 낮동안 사용되고 다시 밤이 되면 심야 전기가 열선(170)으로 공급되어 축열 벽돌(160)에 열이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심야 전기 화로는 심야 전기를 이용하므로 화로 주변이 청결하여 미관상 좋고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심야 전기가 공급되는 열선(170)과 축열벽돌(160)을 내부에 교번하여 쌓고 측벽과 저면으로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벽과 저면벽에 단열층(120)을 설치하고 상부에 형성된 입구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입구를 개방한 하우징(110)으로 이루어진 열저장 화로(1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입구 하단부에 설치되는 강화 유리판(140); 및
    내측벽에 단열층(2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화로 뚜껑(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 전기 화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에 고정되고 상기 강화 유리판(14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접시 형태로 이루어져 탈부착이 가능한 음식물 받침판(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 전기 화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부착된 선반(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야 전기 난로.
KR2020010000880U 2001-01-11 2001-01-11 심야 전기 화로 KR200235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880U KR200235404Y1 (ko) 2001-01-11 2001-01-11 심야 전기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880U KR200235404Y1 (ko) 2001-01-11 2001-01-11 심야 전기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404Y1 true KR200235404Y1 (ko) 2001-09-25

Family

ID=7309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880U KR200235404Y1 (ko) 2001-01-11 2001-01-11 심야 전기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63B1 (ko) * 2007-05-29 2009-05-27 박상휘 근적외선 화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63B1 (ko) * 2007-05-29 2009-05-27 박상휘 근적외선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0578B1 (en) Reversible self-contained cooking appliance
JP2007260323A (ja) 電気炊飯器
KR200235404Y1 (ko) 심야 전기 화로
WO2023206573A1 (zh) 烹饪器具
WO2008032135A1 (en) Electrically heated lunch box
JP2799112B2 (ja) 炊飯器
KR100697458B1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KR20100064643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JP5074846B2 (ja) グリルを備えた加熱調理器における加熱容器の位置固定構造
AP470A (en) Oven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CN209246147U (zh) 电磁炉
CN209246146U (zh) 电磁炉
KR20040006076A (ko) 히터용 포트장치
CN100577069C (zh) 一种慢炖锅的组合结构
US20050109761A1 (en) Portable, self-heating cooking utensil
CN212089201U (zh) 烹饪器具
JP2000116537A (ja) 温蔵庫
JPH05125Y2 (ko)
JP3190475U (ja) 保温器
JPS6125188Y2 (ko)
JPH119443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
JPS6138009Y2 (ko)
CN201185847Y (zh) 一种慢炖锅的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