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339Y1 -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339Y1
KR200235339Y1 KR2019980016587U KR19980016587U KR200235339Y1 KR 200235339 Y1 KR200235339 Y1 KR 200235339Y1 KR 2019980016587 U KR2019980016587 U KR 2019980016587U KR 19980016587 U KR19980016587 U KR 19980016587U KR 200235339 Y1 KR200235339 Y1 KR 200235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p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lower rubb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48U (ko
Inventor
구자회
Original Assignee
구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회 filed Critical 구자회
Priority to KR2019980016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3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339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PDP가 안치되는 검사대(10)의 밑면에, PDP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구동부가 배치된다. 검사대(10)의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슬로트(11)가 형성되고, 각 슬로트(11)에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전극(20)이 끼워진다. 각 슬로트(11)에서 돌출된 접속전극(20)상에 PDP의 양단이 안치되는 신축성이 우수한 하부 러버(22)가 설치되는데, 하부 러버(22)의 외표면 전체에는 전기 도통이 가능하게 도전박막(24)이 씌워져서, 이 도전박막(24)을 매개로 접속전극(22)과 PDP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전박막(24)과 PDP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PDP의 양단을 위에서 눌러 가압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 가압 수단에는 하부 러버(22)와 동일 형상이면서 재질도 동일한 상부 러버(34)가 마련되어서, PDP는 상하부 러버(22,34)에 의해 오픈되는 부분이 없게 도전박막(24)에 접촉되어진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본 고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영문표기함)용 에이징 지그(aging ji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DP의 에이징 공정을 위해서, 전기를 제공하는 접속 전극과 PDP를 오픈(open)되는 영역이 없게 접속시키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PDP는 기체 방전 현상을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장치로서, 전체적인 두께를 10cm 이하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총을 사용하는 브라운관 표시 장치에 비해 그 두께 및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액정 표시 장치의 취약점인 시야각의 협소함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PD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류형 PDP 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면 기판(S1)은 제 1 전극(X) 및 격벽(B)이 제공되며, 전면기판(S2)은 제 2 전극(Y)이 제공된다. 상기된 전극(X,Y)들은 배면 기판 (S1)과 전면 기판(S1) 사이에서 봉합체(W)에 의해 복합된다. 격벽(B)에 의하여 한정된 각 화소 내에 소정의 형광체가 도포됨은 물론 방전 기체가 주입되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PDP는 두 전극(X,Y)들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발생된 기체 방전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면 기판(S2)에서 두 전극(X,Y)들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는 구동은 통상 150 내지 250V 정도의 정격 전압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한 전극(X,Y)들은 일반적으로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전극의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기 때문에 패널을 완성한 후에 각 전극(X,Y)에 정격 전압이 인가될지라도, 이물질 때문에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서, 패널이 완성된 후에, 대략 정격 전압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고전압을 각 전극(X,Y)에 인가하여 방전을 개시 및 유지하는 일련의 과정이 실시되며, 그 결과,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극 내부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동 전압이 안정화됨으로써, 정격 전압에서도 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패널을 완성한 후에 고전압 구동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에이징 공정이라 있다.
이와 같은 에이징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PDP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지그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에이징 지그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이 인가되는 2개의 도전성 블럭(2)의 양단이 절연블럭(6)으로 연결되어, PDP(P)가 안치될 수 있는 사각의 림을 만든다. 각 도전성 블럭(2)의 상부면에는 PDP(P)의 각 전극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도전성 코일(3)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PDP(P)를 위에서 눌러 지지하는 사각림 형상의 지그(4)가 PDP(P) 상부에 배치되며, 이 지그(4)에는 PDP(P)를 가압하는 가압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그(4)의 내측면 하단과 각 도전성 블럭(2)의 외측면에 반원홈(7a,7b)이 각각 형성되어, 반원홈(7a,7b)들이 서로 합쳐질 때, 원형의 토로가 만들어진다. 원형 통로에 키(8)가 삽입되어, 지그(4)와 도전성 블럭(2)를 결합된다.
에이징 지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PDP와 도전블럭간의 접속이다. 그러나, PDP중 어느 한 부분이 도전성 블럭에 접속되지 않고 단락되면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이 단락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발광하지만, 단락된 부분은 발광하지 않으므로, 검은 선이 길게 PDP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에이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에이징 지그는 PDP와 도전성 블럭들 사이의 정확한 접속을 위해 도전성 코일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도전성 코일의 탄성이 초기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접속에 문제가 없겠지만, 오랜 사용으로 인해 도전성 코일의 탄성이 조금이라도 약화되면, 도전성 코일의 어느 한 부분이 PDP의 전극과 접촉되지 않고 단락될 경우가 매우 높다. 그러므로, 종래의 에이징 지그는 도전성 코일을 자주 교체해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와 같은 교체 작업은 공정 진행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더욱이, 종래의 에이징 지그는, 도전성 코일이 PDP의 각 전극과 일일이 접속되어야 하므로, PDP의 각 전극들 사이의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는 도전성 코일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제작 불량이나 취급 부주의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도전 코일의 어느 한 피치가 다른 피치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단락 사고가 발생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PDP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는 에이징 지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전성 코일과 같이 제작이 어려운 부품을 사용함이 없이 PDP의 전기 접속이 확실하게 될 수 있는 에이징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DP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에이징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레버 지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스토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지그에 의해 PDP의 양단이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검사대 11 - 슬롯
20 - 접속 블록 21 - 취부판
22 - 하부 러버 24 - 도전성 박막
30,31 - 브래킷 32 - 회전축
33 - 가압판 34 - 상부 러버
40 - 림 41,61 - 톱니
42 - 스토퍼 50 - 단부면
60 - 레버 70 - 볼 플런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지그는 검사대에 안치된 검사대에 안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전압의 전기를 인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로서,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검사대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통하여 상부 부분이 상기 검사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도전성 접속 블록과; 상기 각 접속 블록의 상부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면에 도전성 박막이 제공되는 하부 러버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부 러버에 위치되었을 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하부 러버 사이의 단락 부분이 없도록,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하부 러버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압 수단은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블록의 양측에서 상기 검사대상에 설치되는 한 싸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르기 위한 상부 러버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회전축의 한 쪽 단부의 브라켓에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톱니를 가지는 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림에 형성된 톱니와 결합되는 톱니를 가지는 레버, 및 상기 레버를 한 쪽으로 가압하는 볼 플런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러버는 바람직하게 중공의 볼록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림은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부터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브라케세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이징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본 4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레버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스토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지그에 의해 PDP의 양단이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우선, PDP 에이징 공정을 위한 유닛은 PDP(P)가 안치되는 검사대, PDP(P)로 전기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PDP(P)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지그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P)가 안치되는 검사대(1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검사대의 밑면에는 PDP(P)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 검사대(10)의 양측에는 검사대(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한 쌍의 슬롯(11, 도 7 참조)들이 형성되고, 각 슬롯에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블록(20)이 끼워진다. 접속 블록(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구동부에 접촉되고, 상부는 슬롯을 통하여 검사대(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다.
따라서, 접속 블록(20)에는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며, 이 전류가 검사대(10)로 흐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접속 블록(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접속블록(20)과 검사대(10)의 접촉면에는 절연 테이프(25, 도 7 참조)가 부착된다. 각 접속 블록(20)의 상단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취부판(21)이 수평 방향으로 검사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취부판(21)이 수평 방향으로 검사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취부판(21)에는 PDP(P)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하부 러버(22)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러버(22)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 러버(22)는 일체로 되어 길게 연장하여도 무방하다.
하부 러버(22)는 탄력성이 매우 우수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PDP(P)와의 접촉면을 고려하여 중공의 볼록 단면 형상을 가진다. 하부 러버(22)가 취부판(21)에 설치될 때, 하부 러버(22)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지지판(23)이 하부 러버(22)의 내측 저면에 배치된다. 또한 하부 러버(22)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지 않은 부도체이므로, 하부 러버(22)의 전체 외면에는 동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도전성 박막(24)이 도포된다. 즉, PDP(P)가 하부 러버(22)에 지지될때, PDP(P)의 자체 중량에 의해 하부 러버(22)가 탄성적으로 눌려져서 PDP(P)와 도전성 박막(2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낟. 그러므로, 전기가 구동부로부터 접속 블록(20), 취부판(21) 및 도전성 박막(24)을 통해 하부 러버(22)에 의해 지지되는 PDP(P)로 인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PDP(P)가 하부 러버(22)상에 안치되는 것만으로는 PDP(P)와 도전박막(24) 사이의 전기 접속이 확실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즉, PDP(P)와 도전성 박막(24) 사이에 미세한 틈새라도 있게 되면 PDP(P)와 도전성 박막(24)이 서로 단락되므로, 이러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PDP(P)를 도전성 박막(24)으로 눌러주는 가압 수단이 요구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의 양측에 한 쌍의 브라켓(30,31)이 설치되고, 각각의 브라켓(30,31)은 원형의 막대로 형성되는 회전축(32)으로 서로 연결된다. 회전축(32)은 브라켓(30,31)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축(32)의 어느 한 쪽 단부는 브라켓(31또느 3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한다. 회전축(32)에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취부판(21)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압판(33)이 설치된다. 가압판(33)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러버(22)에 의하여 지지되는 PDP(P)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러버(34)가 하부 러버(22)의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부 러버(34)는 하부 러버(22)와 동일한 형상 또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하부 러버(22)와 마찬가지로, 상부 러버(34) 또한 가압판(33)에 설치될때 상부 러버(3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부 러버(33)의 내부에 지지판(35)이 배치된다.
한편, 회전축(32)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축(32)을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이 관통하는 브라켓(31,32)들중 하나(도면에서는 브라켓(31)으로 도시된)의 외측면에 환형의 림(40)이 설치된다. 림(40)을 관통하는 회전축(32)의 단부면(50)의 직경은 림(40)보다 다소 작기 때문에, 림(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림(4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톱니(41)가 형된다.
림(40)은 다수의 볼트(31a)에 의해 브라켓(31)에 부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브라켓(31)의 중앙 상부와 양측부에서 체결되는 3개의 볼트(31a)에 의해 림(40)이 브라켓(31)에 고정된다. 이러한 것은 PDP(P)를 고정하는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이유는 후술한다.
회전축(32)의 단부면(50)에는 직선 형상의 홈부(51)가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고, 홈부(51)에는 회전축(32)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60)의 한 쪽 단부(62)가 수용된다. 레버(60)의 다른 쪽 단부(63)는 홈부(5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레버(60)는 홈부(5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부면(50)에 체결되는 핀(52)에 의해 홈부(51)에 설치되어, 핀(52)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특히, 레버(60)의 한쪽 단부(62)는 홈부(51)의 저면에 설치된 볼 플런저(70)에 의해 홈부(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볼 플런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51)의 저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1)과, 코일 스프링(71)의 레버(60)의 단부에 설치되어 레버(60)의 한 쪽 단부(6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마개(72)로 구성된다.
레버(60)의 다른 쪽 단부는 볼 플런저(70)에 의해 항상 림(40)의 톱니와 접촉된다. 림(40)의 톱니(41)와 대응하는 레버(60) 부분에는 림(40)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톱니(6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톱니(61)들은 볼 플런저(70)의 코일 스프링(71)에 의하여 림(40)의 톱니(41)를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하여 림(40)의 톱니(41)는 항상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각 톱니(41,61)들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없도록, 즉, 정확하게 PDP(P)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브라켓(31)에 체결되는 볼트(31a)를 푼 다음, 림(40)을 톱니(41,61)들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위치로 조정한 후에, 볼트(31a)들을 다시 브라켓(31)에 체결하여, 림(4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지그는 회전축(32)의 고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PDP(P)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림(40)의 톱니(41)가 시작되는 좌측 상부에는 레버(60)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2)가 설치된다. 스토퍼(42)는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레버(60)의 회전 운동을 일정 범위로 제한하여, 검사대(10)가 캐비닛(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서랍형태로 끼워질 때, 일정 범위이상 돌출된 레버(60)가 캐비닛에 부딪혀 파손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양측의 레버(60)를 볼 플런저(70)의 작용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톱니(41,61)들의 결합을 해제하고, 그런 다음, 레버(60)를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즉 스토퍼(42)를 향하여 회전시킨다. 레버(6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32)에 설치되는 가압판(33) 또한 레버(6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가압판(33)에 설치된 상부 러버(34)는 하부 러버(22)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검사될 PDP(P)가 검사대(10)에 안치되면, PDP(P)의 양단 하부가 각 하부 러버(22)에 제공되는 도전성 박막(24)과 접촉되도록 하부 러버(22)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런 다음, 상부 러버(34)가 PDP(P)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레버(60)가 도 6의 실선 위치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PDP(P)의 양측에 제공되는 전극들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러버(22)에 제공되는 도전성 박말(24)에 밀착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레버(60)에 가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볼 플런저(70)의 힘에 의하여 톱니(41,61)들이 서로 결합하게 되므로, PDP(P)는 상부 및 하부 러버(34,22)들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 구동부를 작동시켜 접속 블럭(20)으로 전기를 공급되면, 접속 블록(20)으로 공급된 전기는 취부판(21)과 도전성 박막(24)을 통해 하부 러버(22)와 상부 러버(34)에 의하여 지지되는 PDP(P)에 인가되어, PDP(P)에 의한 에이징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되어, PDP(P)와 도전성 박막(24)과 분리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만일, 각 러버(22,34)의 탄성이 피로한계를 벗어날 정도로 약화되는 경우에, 러버(60)를 스토퍼(42)측으로 회전시키고, 취부판(21)에서 볼트를 풀어 하부 러버(22)를 교체하고, 상부 러버(34)도 가압판(33)에서 볼트만 풀면 되므로, 러버 교체 작업도 매우 수월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PDP(P)가 탄력성이 좋은 상부 및 하부 러버(34,22)로 탄성으로 지지되고, 이러한 지지 상태가 톱니(41,61)들의 결합으로 유지되므로, 구동부로부터 PDP(P)로의 전기 공급이 전체에 걸쳐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PDP(P)의 일정 부분이 단락되는 것에 의하여 단락된 부분이 발광되지 않게 됨으로써, 에이징 공정에 차질이 빚게 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검사대에 안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전압의 전기를 인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로서,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검사대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통하여 상부 부분이 상기 검사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도전성 접속 블록과; 상기 각 접속 블럭의 상부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면에 도전성 박막이 제공되는 하부 러버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부 러버에 위치되었을 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하부 러버 사이의 단락 부분이 없도록,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하부 러버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접속 블록의 양측에서 상기 검사대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르기 위한 상부 러버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회전축의 한 쪽 단부의 브라켓에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톱니를 가자는 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림에 형성된 톱니를 가지는 레버, 및 상기 톱니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를 한 쪽으로 가압하는 볼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러버는 중공의 볼록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부터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지그.
KR2019980016587U 1998-09-02 1998-09-02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KR200235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87U KR200235339Y1 (ko) 1998-09-02 1998-09-02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87U KR200235339Y1 (ko) 1998-09-02 1998-09-02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48U KR20000005748U (ko) 2000-04-06
KR200235339Y1 true KR200235339Y1 (ko) 2001-10-25

Family

ID=6952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587U KR200235339Y1 (ko) 1998-09-02 1998-09-02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811B1 (ko) 2009-10-08 2011-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라켓 일체형 방열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샤시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22B1 (ko) * 2001-08-01 2004-01-31 주식회사 컨버테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에이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811B1 (ko) 2009-10-08 2011-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라켓 일체형 방열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샤시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48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4104B2 (en) Bolt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8357892B2 (en) Mass spectrometer
KR200235339Y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용에이징지그
US2904772A (en) Printed circuit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JPH11185911A (ja) Icパッケージ測定用ソケット
US8093794B2 (en) Anode cap, and voltage supply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KR100199540B1 (ko) Crt 용 광전도성층을 하전시키는 장치
US2003002544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voltage application structure
US787605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45887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H1167884A (ja) 静電吸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線描画装置
JP3006558B2 (ja) フォトマスクの帯電防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1003185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용 지그
US7877862B2 (en) Weldless mesotube grid holder
US7331657B2 (en) High voltage arm assembly with integrated resistor, automatic high voltage deflection electrode locator, and special insulation
KR200166550Y1 (ko) 음극선관의 강제 방전 시험 장치
JP3788972B2 (ja) 表示装置
US6653854B2 (en) Test pin unit
KR100255852B1 (ko) 칼라 음극선관 샤도우 마스크 공급장치의 고정구
US647505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forming apparatus
JP2905697B2 (ja) 蛍光表示管の電極構造
JP2000223045A (ja) 陰極線管内蔵抵抗体および陰極線管
KR100192210B1 (ko) 전자총 제1제어전극의 단선 검출장치
JPH0514450Y2 (ko)
CN101667519B (zh) 发光体基板和使用发光体基板的图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