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29Y1 -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29Y1
KR200235129Y1 KR2019960038186U KR19960038186U KR200235129Y1 KR 200235129 Y1 KR200235129 Y1 KR 200235129Y1 KR 2019960038186 U KR2019960038186 U KR 2019960038186U KR 19960038186 U KR19960038186 U KR 19960038186U KR 200235129 Y1 KR200235129 Y1 KR 200235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main bod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416U (ko
Inventor
조진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38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29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 베어링(ball bearing) 등을 이용하여 휴대형 통신기기 본체부에 안테나를 고정시켜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가 부착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안테나부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안테나부 수용부와, 상기 안테나부 수용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결합할 때 탄성 결합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제1도는 나사형 결합부를 갖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부를 도시한 도면.
제3(a)도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와 안테나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b)도는 제3(a)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3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부 11 : 안테나
12 : 안테나 결합부 13 : 오목부
20 : 본체부 21 : 표시창
22 : 키 패드 31 : 원통부
32 : 볼 베어링
본 고안은 휴대형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안테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 베어링(ball bearing) 등을 이용하여 휴대형 통신기기 본체부에 안테나를 고정시켜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화기, 무전기, 셀룰러 폰(cellular phorle) 등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에서는 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수신기를 내장한 본체부와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안테나를 휴대형 통신기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나사형 안테나 소켓(socket)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와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안테나와 본체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착탈이 불가능하여 고장 등으로 인한 부품 교체시 본체부 케이스 까지 함께 교환하여야만 하는 낭비적인 요소가 많았으며, 또 안테나형 소켓을 사용하여 안테나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나사형 소켓이 쉽게 돌아가 안테나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생기고, 고장으로 인한 수리시에는 돌려서 열고 잠궈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제1도는 나사형 결합부를 갖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형 통신기기용의 안테나를 도시한 것으로서, (1)은 안테나, (2)는 본체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이(screw, teeth)가 형성된 결합부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나사이가 형성된 결합부(2)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도시생략)에 형성된 나사이와 결합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안테나 결합장치에서는 나사를 너무 꽉조여서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수리시 다시 열기가 어렵고 너무 느슨하게 조이면 주머니 등에 휴대하고 다니는 동안 쉽게 풀려 안테나가 본체부로 부터 이탈하므로 분실되거나 번거롭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에 안테나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테나가 본체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가 부착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안테나부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안테나부 수용부와, 상기 안테나부 수용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결합할 때 탄성 결합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기타의 목적 및 이점과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부(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안테나부(10)는 신호 송·수신용의 안테나(11)와, 안테나를 휴대형 통신기기 본체부와 끼워 맞추기 위한 안테나 결합부(12)와, 상기 안테나 결합부(12)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13)를 구비한다.
제3(a)도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와 안테나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3(b)도는 제3(a)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3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a)도에서 (10)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부, (20)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 (21)은 통신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창, (22)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이다. 제3(b)도에서 (31)은 본체부에 형성된 속이빈 원통부로서 상부측은 안테나 결합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하부측은 가늘고 긴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어 있다. 한편, (32)는 안테나부(10)의 오목부(13)와 맞추어 지도록 형성한 볼 베어링(32)으로서 상기 원통부(31)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안테나부(10)가 휴대형 통신기기의 본체부(20)에 형성된 원통부(31)에 삽입되면 원통부(31)의 내면을 따라 진행하다가 안테나 결합부(12)의 하부가 볼 베어링(32)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적정한 힘을 가하면 볼베어링(32)은 스프링처럼 원통부(31)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볼 베어링(32)이 안테나부의 오목부(13)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13)와 볼 베어링(32)이 결합하게 되면 안테나부 하부와 접촉할 때 약간 밀렸던 볼 베어링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안테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서는 안테나부(10)의 결합부(12)에 형성한 오목부(13)와 본체부(20)의 원통부(31)에 그 오목부의 형상과 외형이 일치하는 볼 베어링(32)을 설치하여 안테나부(10)와 본체부(20)를 결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나 수리시 탈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안테나부와 본체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원통부(31)의 내측에 설치되는 볼 베어링의 숫자를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4개로 하고 있으나, 그 숫자는 얼마든지 가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를 안테나부의 안테나 결합부에 형성하고 볼 베어링을 본체부의 원통부에 설치하였으나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록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 만을 예시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는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3)

  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가 부착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본체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안테나부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안테나부 수용부와, 상기 안테나부 수용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결합할 때 탄성결합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 수용부는, 안테나 결합부가 수용되는 상부는 넓게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볼 베어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KR2019960038186U 1996-11-02 1996-11-02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KR200235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86U KR200235129Y1 (ko) 1996-11-02 1996-11-02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86U KR200235129Y1 (ko) 1996-11-02 1996-11-02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16U KR19980025416U (ko) 1998-08-05
KR200235129Y1 true KR200235129Y1 (ko) 2001-10-25

Family

ID=539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186U KR200235129Y1 (ko) 1996-11-02 1996-11-02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331B2 (ja) * 2000-08-21 2007-10-24 原田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ロッドアンテナ装置
KR100514360B1 (ko) * 2002-11-27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1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19841A3 (en) Circuit component and circuit component assembly for antenna circuit
CA2192908A1 (en) Battery Latch
CN103107389A (zh) 腔体滤波器
JPH03150896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200235129Y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결합장치
GB2385992A (en) Antenna installation structure
JP2005333650A (ja) 携帯端末機及び携帯端末機のアンテナ
US6326928B1 (en) Antenna fixing method and device
KR1004969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고정장치
KR200311811Y1 (ko) 케이블 접속장치
JP2579087B2 (ja) アンテナ保持装置
US6940472B2 (en) Universal antenna adapter
KR100617508B1 (ko) 휴대용 무전기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용 수신기의결합구조
KR200218755Y1 (ko)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KR200196637Y1 (ko) 와치 타입 휴대폰의 이어폰 잭 홀더 방수구조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101006390B1 (ko) 휴대폰 단말기의 착탈식 안테나 커넥터
GB9914880D0 (en) Cable anchoring device
KR19990077772A (ko) 텔레스코픽 안테나와 이런 안테나를 구비한 시스템
KR2002820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체결구조
JPH0715168Y2 (ja) 携帯用無線機端末のケース防滴構造
KR1007834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33827Y1 (ko) 휴대폰용 안테나
US6211827B1 (en) Antenna for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JPH04182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