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10Y1 -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 Google Patents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10Y1
KR200234710Y1 KR2019980004963U KR19980004963U KR200234710Y1 KR 200234710 Y1 KR200234710 Y1 KR 200234710Y1 KR 2019980004963 U KR2019980004963 U KR 2019980004963U KR 19980004963 U KR19980004963 U KR 19980004963U KR 200234710 Y1 KR200234710 Y1 KR 200234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ecurity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932U (ko
Inventor
김성계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2019980004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1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10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창용 창틀에 있어서 방범창을 중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일체로 된 합성수지재 계단식 창틀을 제공함으로써 방범창 설치상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또 그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며 구조상 방범 기능을 잘 수행하도록 한 합성수지재 이중창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본 고안은 이중창용 창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창을 가운데에 설치하면서도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일체로 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방범창이란 창살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창으로,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중창이란 창이 내부창 및 외부창의 이중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범창을 사용한 이중창용 창틀에는 알루미늄과 목재로 이루어진 이중창용 창틀도 있고 합성수지재 이중창용 창틀도 있다.
우선 알루미늄과 목재로 이루어진 이중창용 창틀의 경우를 보면 도 1과 같이 내부창틀로서의 목재 창틀(1), 방범창(2), 외부창틀로서의 알루미늄 창틀(3)이 순서대로 위치하는 구조로 벽(21) 사이에 내부의 목재 창틀(1)을 설치한 후 방범창(2)을 설치하고 외부의 알루미늄 창틀(3)을 설치하는 설치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때 방범창(2)은 방범창틀(2´) 사이에 방범살(2˝)을 갖는 구조이다.
합성수지 재질의 이중창용 창틀의 경우를 보면 도 2와 같이 내부창틀과 외부창틀이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재 창틀(4)의 외부와 면(面)한 부분에 방범창(2)이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상의 번거로움은 없으나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손쉽게 방범창(2)을 떼어 내고 내부로 침입할 수 있어 그 방범 기능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방범창을 중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로 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방범창 설치상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또 그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며 구조상 방범 기능 수행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과 목재로 이루어진 창틀의 사용 상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창틀의 사용 상태 종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창틀의 종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창틀의 종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좌측면부 창틀의 횡단면도.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우측면부 창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사용 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재 창틀 2 : 방범창
2´: 방범창틀 2˝: 방범살
3 : 알루미늄 창틀 4 : 합성수지재 창틀
10 : 창틀 11 : 상부 창틀
12 : 하부 창틀 13 : 좌측면부 창틀
14 : 우측면부 창틀 15 : 내부창용 레일
16 : 방범창 설치부 17 : 외부창용 레일
18 : 방범창 18´ : 방범창틀
18˝ : 방범살 19 : 방범창 설치 지지턱
20 : 조립구 21 : 벽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은 상부 창틀(11), 하부 창틀(12), 좌측면부 창틀(13) 및 우측면부 창틀(14)로 구성된다. 이때 각 창틀은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계단식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의 상부 창틀(11) 종단면도, 하부 창틀(12) 종단면도, 좌측면부 창틀(13) 횡단면도 및 우측면부 창틀(14) 횡단면도로 각각은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창틀(11), 하부 창틀(12), 좌측면부 창틀(13) 및 우측면부 창틀(14)의 구조를 보인다. 이때 조립구(20)는 상부 창틀(11)과 좌측면부 창틀(13), 좌측면부 창틀(13)과 하부 창틀(12), 하부 창틀(12)과 우측면부 창틀(14) 및 우측면부 창틀(14)과 상부 창틀(11)을 조립하는데 이용된다.
창틀(10)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보면 상부 창틀(11) 구조는 내부창용 레일(15)이 외부창용 레일(17) 및 방범창 설치부(16)보다 창틀 몸체로부터 더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계단과 같은 형상을 하며 이때 외부창용 레일(17)과 방범창 설치부(16)는 창틀 몸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다. 하부 창틀(12) 구조, 좌측면부 창틀(13) 구조 및 우측면부 창틀(14) 구조에서도 역시 내부창용 레일(15)이 외부창용 레일(17) 및 방범창 설치부(16)보다 창틀 몸체로부터 더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계단과 같은 형상을 하며 이때 외부창용 레일(17)과 방범창 설치부(16)는 창틀 몸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의 종단면도로 벽(21) 사이에 창틀(10)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다.
방범창틀(18´) 사이에 방범살(18˝)을 갖는 구조의 방범창(18)은 외부창용 레일(17)쪽에서 삽입하여 방범창 설치 지지턱(19)이 있는 곳까지 밀어 넣어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은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창틀(11), 하부 창틀(12), 좌측면부 창틀(13) 및 우측면부 창틀(14)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상의 번거로움이 없고 또한 방범창 설치부(16)가 창틀(10) 중간 부분에 있어 이 부분에 방범창(18)을 설치하면 구조상 그 방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창틀(10)의 내부창용 레일(15)이 외부창용 레일(17) 및 방범창 설치부(16)보다 창틀(10) 몸체로부터 더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계단 형상을 이룸으로써 심지어 태풍이 몰아치더라도 물이 내부로 넘어 들어올 수 없도록 한 구조이다.
마지막으로 창틀(10)의 외부창용 레일(17)과 방범창 설치부(16)가 창틀 몸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어 외부창용 레일(17)쪽에서의 방범창(18)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방범창 설치 지지턱(19)으로 방범창(18)을 제 위치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창틀(11),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창틀(12),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부 창틀(13) 및 내부창용 레일(15), 방범창 설치부(16) 및 외부창용 레일(17)이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부 창틀(14)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창용 레일(15)이 외부창용 레일(17) 및 방범창 설치부(16)보다 창틀(10) 몸체로부터 더 거리를 두고 위치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부창용 레일(17)과 방범창 설치부(16)가 창틀(10) 몸체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10).
KR2019980004963U 1998-04-01 1998-04-01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KR200234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63U KR200234710Y1 (ko) 1998-04-01 1998-04-01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63U KR200234710Y1 (ko) 1998-04-01 1998-04-01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32U KR19990038932U (ko) 1999-11-05
KR200234710Y1 true KR200234710Y1 (ko) 2001-09-06

Family

ID=6950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963U KR200234710Y1 (ko) 1998-04-01 1998-04-01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03B1 (ko) * 2013-11-29 2014-10-22 (주)성광창호디자인 방범 및 난간 기능이 일체화된 슬림형 쓰리트랙 단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32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864B1 (ko) 문틀구조 및 문틀구조 시공방법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110009878U (ko) 분할식 창호
KR200234710Y1 (ko)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합성수지재 계단식 이중창용 창틀
KR200340552Y1 (ko) 창틀 내부에 블라인드 및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이중창틀
KR200394726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루버창
WO2003006773A1 (en) Window units
KR200175710Y1 (ko) 후레임용 공틀바
JPS6118137Y2 (ko)
JPS6122156Y2 (ko)
KR200300476Y1 (ko) 조립식 창틀의 모서리 연결부재
KR900002043Y1 (ko) 셔터가 설치되는 문틀의 종골재
KR200149050Y1 (ko) 조립식 문틀
KR200141041Y1 (ko) 채광용 유리창을 구비한 여닫이문의 결합구조
KR970007698B1 (ko) 아파트 발코니의 세대구분을 위한 칸막이용 시설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287592B1 (ko) 버스의 창문 프레임 몰딩용 웨지구조
KR20040103290A (ko) 방음 및 빗물 침투 방지창
KR970005752Y1 (ko) 난간대가 조립된 아파트용 발코니창
KR100306321B1 (ko) 샤시 일체형 방범창
JPH0425511Y2 (ko)
JPH07640Y2 (ja) 後付ブラインド内蔵サッシ
KR100236795B1 (ko) 난간이 결합된 베란다 섀시
JP2500515Y2 (ja) 框建具
JPS645034Y2 (ko)
KR900009862Y1 (ko) 방범기능을 겸한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