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68Y1 -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 Google Patents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68Y1
KR200234368Y1 KR2020010006489U KR20010006489U KR200234368Y1 KR 200234368 Y1 KR200234368 Y1 KR 200234368Y1 KR 2020010006489 U KR2020010006489 U KR 2020010006489U KR 20010006489 U KR20010006489 U KR 20010006489U KR 200234368 Y1 KR200234368 Y1 KR 200234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railroad crossing
state
entry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프로젝트
Priority to KR2020010006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68Y1/en

Links

Landscapes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의 진입 및 통과 상태를 단계적으로 감지하고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철도 건널목을 진입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교통차단을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따라 다단계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entry and passage of the train passing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step by step and detects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and multi-steps the traffic cutoff of vehicles and pedestrians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It provides a doorway blocking system for railroad crossings.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열차의 진입상태를 각각 단계적으로 감지하는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과, 열차가 통과한 상태를 감지하는 열차통과 감지수단,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는 열차속도 감지수단, 상기 열차의 진입감지와 열차의 운행속도 감지치에 따라 철도 건널목을 차단하기 위해 구동되는 차단기 구동수단,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에 의한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열차 운행속도에 적응적인 타이밍으로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하는 복수의 차단기 및,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의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가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열차속도 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해 산출된 타이밍에 적응적으로 차단 동작되도록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열차통과 감지수단을 통해 열차의 통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tepping state of each train, a train passag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tate that the train has passed, a train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running speed of the train, and the train. In response to the step-by-step train entry detection state by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by the breake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the entrance detection of the train and the speed detection value of the train;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that sequentially block at a timing adaptive to the train running speed,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re sequentially blocked according to the stepwise train entry detection of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and the train speed detection. Block operation adaptively to the timing calculated for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detected by the means And controlling the breaker driving means so as to control the breaker driving means and releasing the block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breakers when the passage state of the train is detected through the train passage detecting means.

Description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본 고안은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의 진입 정도 및 운행속도에 따라 해당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입차단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에 의해, 차량과 열차와의 추돌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a railroad crossing, and more specifically, by stepping in and out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the speed and speed of entry of the train passing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type blocking system for railroad crossings to prevent large accidents caused by collision with trains.

일반적으로, 열차가 통과하는 지점과 차량 및 보행자가 통과하는 지점과의 교차점에 철도 건널목이 설치되고, 그 철도 건널목에는 열차의 통과시에 해당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railroad crossings are installed at intersections of trains passing through and points where vehicles and pedestrians pass, and the railroad crossings block the entry of vehicles and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points when the train passes.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이러한 철도 건널목에서의 차단기의 경우에는 별도로 상주하는 철도 안내원이 열차가 통과하는 시점에서 차량 및 보행자에게 안내 경보를 수행함과 더불어, 해당 차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교통차단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breaker at such a railroad crossing, a railroad guide who resides separately performs a guide alarm to vehicles and pedestrians at the time when the train passes, and manually controls the breaker to perform traffic blocking.

즉, 그러한 철도 건널목에서는 철도 안내원이 열차가 정기적으로 통과하는 시간을 미리 파악한 상태에서, 열차의 기관사 및 중앙 통제소의 명령에 따라 열차의 통과 시간에 맞추어 차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t such railroad crossings, the railway guide knows in advance the time at which the train passes regularly, and manually operates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train's passing time at the command of the train driver and the central control st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도 건널목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경우에는 별도로 상주하는 철도 안내원이 열차가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시각을 일일이 파악하여차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체크하는 열차 통과시각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중앙 통제소 및 열차 기관사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적시에 차단기를 작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형 추돌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reaker installed at a railroad crossing, a railroad resident separately needs to know the time at which the train passes the railroad crossing and operate the breaker manually. If an error occurs or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station and the train driver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breaker in a timely mann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crash may occur.

또한, 이러한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보행자와는 달리 고속으로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게 되지만, 그러한 차량의 통과 속도를 효율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열차의 통과 여부를 통보하기가 어렵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 안내원에 의해 차단기가 작동되었더라도 차량이 부주의하게 운행속도를 유지하면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를 막을 방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열차와의 대형 추돌사고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vehicles passing through these railroad crossings often pass through railroad crossings at high speed, unlike pedestrians.However, it is difficult to notify whether or not the train has passed so as to effectively reduce the passing speed of such vehicles. In addition, even if the breaker is operated by a railroad guide, if the vehicle enters inadvertently while maintaining the speed, there is no way to prevent it, so a large collision with the train may inevitably occur. Will hav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의 진입 및 통과 상태를 단계적으로 감지하고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철도 건널목을 진입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교통차단을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따라 다단계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ituation, and an object thereof is to detect a stepping and passing state of a train passing through a railroad crossing step by step and to detect a traveling speed of a train, and to enter a railroad crossing; It is to provide a door-type barrier system for railroad crossings that enables pedestrians to block traffic in multiple stages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tra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형식 차단시스템이 적용된 철도 건널목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railroad crossing to which a door typ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1차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에 대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the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railroad cross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22:열차 감지부, 24:교통신호 감지부,20,22: train detection unit, 24: traffic signal detection unit,

26:신호입력부, 28:마이크로 프로세서,26: signal input, 28: microprocessor,

30:경보발생 구동부, 32:차단기작동 제어부,30: alarm generation drive unit, 32: breaker operation control unit,

34,36,38,40:차단기 구동모터, 42:교통신호 제어부,34, 36, 38, 40: circuit breaker drive motor, 42: traffic signal control unit,

44:교통신호 발생부, 46:표시신호 발생부,44: traffic signal generator, 46: display signal generator,

SA1∼SA4:상행열차 감지센서, SB1∼SB4:하행열차 감지센서,SA1 to SA4: A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 SB1 to SB4: A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

A1∼A4:경보 발생부, C1∼C4:차단기.A1 to A4: alarm generator, C1 to C4: circuit break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철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열차의 진입상태를 각각 단계적으로 감지하는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과, 열차가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통과한 상태를감지하는 열차통과 감지수단, 철도 건널목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는 열차속도 감지수단,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열차 진입감지와 상기 열차속도 감지수단의 열차 운행속도 감지치에 따라 철도 건널목을 차단하기 위해 구동되는 차단기 구동수단, 상기 철도 건널목에 대해 복수개가 다단계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에 의한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열차 운행속도에 적응적인 타이밍으로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하는 복수의 차단기 및,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의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가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열차속도 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해 산출된 타이밍에 적응적으로 차단 동작되도록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열차통과 감지수단을 통해 열차의 통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ain inle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tepping state of each train step by step is installed along the railway from the railroad crossing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rain passed from the railroad crossing Train passag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tate, train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train entry detection from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and train running speed detection value of the train speed detection means In order to block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 driving means, the railroad crossing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ages, by the driving of the circuit breaker driving means in the step-by-step train entry detection state by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train running speed in order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for blocking operation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re sequentially blocked according to the stepwise train entry detection of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train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on means is calculated. Control the circuit breaker driving means to adaptively block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ing, and when the passage state of the train is sensed through the train passage detecting means, block the door type of the railroad crossing, the control means releasing the block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 system is provid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형식 차단시스템이 적용된 철도 건널목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That is, Figure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railroad crossing to which the door typ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이 적용된 철도 건널목에 따르면, 그 철도 건널목의 상행선 철도에는 해당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일정 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상행열차 감지센서(SA1,SA2,SA3)가 설치되고, 그 철도 건널목의 위치로부터 근거리에는 열차진입 감지센서(SA4)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railroad crossing to which the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plurality of ascending train sensors (SA1, SA2, and SA3) are provided at an upward line of the railroad cros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ailroad crossing. The train entry sensor SA4 is installed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railroad crossing.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상행열차 감지센서(SA1,SA2,SA3)는 상기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예컨대 1Km 간격과 같은 일정 거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차진입 감지센서(SA4)는 그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예컨대 100m와 같은 근거리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urality of ascending train sensors (SA1, SA2, SA3)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such as 1Km interval from the railroad crossing, for example, the train entry sensor SA4 is 100m from the railroad crossing,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be installed at a short distance such as.

동 도면에 따르면, 상기 철도 건널목의 하행선 철도에는 해당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근거리에 열차통과 감지센서(SB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철도 건널목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간격으로 복수의 하행열차 감지센서(SB2,SB3,SB4)가 설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 a train passing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railroad crossing sensor (SB1) is installed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railroad crossing, a plurality of trains passing down the railroa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railroad crossing (SB2, SB3) SB4)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열차통과 감지센서(SB1)는 그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예컨대 100m와 같이 근거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하행열차 감지센서(SB2,SB3,SB4)는 상기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예컨대 1Km와 같은 일정 거리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Here, the train pass detection sensor (SB1) is installed at a short distance, for example 100m from the railroad crossing, and the plurality of trains for the descending trains (SB2, SB3, SB4) are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Km from the railroad crossing Each is installed at intervals.

또한, 상기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가 설치되어 있는 철로의 주변에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는 열차속도 감지부(VR)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train speed detection unit VR for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a train is installed around a railroad in which the first ascending train sensor SA1 is installed.

한편, 상기 철도 건널목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 측에는 제 1경보 발생부(A1)와 1차 차단기(C1), 2차 차단기(C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복수의 상행열차 감지센서(SA1,SA2,SA3)에서 열차의 진입 여부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순서에 대응하여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 방향으로부터 제 1경보 발생부(A1)⇒1차 차단기(C1)⇒2차 차단기(C2)의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larm generating unit (A1), the primary breaker (C1), the secondary breaker (C2) is installed on the road side where the vehicle enters at the railroad crossing bar, the plurality of a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s (SA1, In response to the order of sequentially detecting whether the train enters SA2 and SA3, the first alarm generator A1 ⇒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C2 from the vehicle and pedestrian's entrance direction in order. It is installed.

상기 1차 차단기(C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문 형태로 이루어진 타워형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차단봉(10)을 내려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차단봉(10)의 하단 부위에는 장애물 감지센서(12)가 별도로 설치되어 해당 차단봉(10)이 하측 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에서 부주의한 차량의 통과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1차 차단기(C1)의 프레임 상단에는 야광처리가 되어 있는 철길 건널목 표지판(14)과, 차량의 진입차단을 경보하기 위한 제 1경광부(16) 및, 복수의 경광등이 부착된 제 2경광부(18)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is configured to block entry of the vehicle by lowering the blocking rod 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ower-shaped frame formed in the form of a gate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rod 10. Obstacle detection sensor 12 is installed on the part so that the blocking rod 10 can be inadvertently detected to pass through the vehicle in a state of operat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luminous means on the top of the frame of the primary breaker (C1) The railroad crossing crossing sign 14 which is processed, the 1st warning part 16 for alerting the vehicle to be blocked, and the 2nd warning part 18 with some warning lights are provided.

즉, 상기 1차 차단기(C1)의 차단봉(10)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센서(12)는 해당 차단봉(10)이 차량의 차단을 위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차량이 부주의하게 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여 차단봉(10)의 이동동작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경광부(16,18)의 경우에는 경광등의 반복적인 점멸 구동에 의해 차량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위험상태를 알리게 된다.That is,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12 installed in the blocking rod 10 of the primary breaker C1 ma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nadvertently passes while the blocking rod 10 moves downward to block the vehicl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rod 10 can be stopped,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beacons (16, 18) to visually alert the vehicle driver of the dangerous state by the repeated flashing drive of the beacon do.

또한, 상기 철도 건널목에 대해서 1차,2차 차단기(C1,C2)가 설치된 도로의 맞은편 도로에는 반대 차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3차 차단기(C3)가 설치되어 있는 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그 반대편 도로에 3차 차단기(C3)만이 설치되어 있도록 되어 있지만 복수의 차단기를 더 설치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a third breaker (C3) for blocking the entry of the vehicle entering the opposite lane is provided on the road opposite the road where the first and second breakers (C1, C2) is installed for the railroad crossing, As shown in the figure, only the third circuit breaker C3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but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may be installed.

또, 상기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한 도로의 측면에는 제 2경보 발생부(A2)와 제 3경보 발생부(A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철도 건널목 부근의 교차로에 교통신호 표시기(TR)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철도 건널목을 지나는 열차의 진입 여부에 따라 교통신호가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alarm generating unit A2 and the third alarm generating unit A3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oad relatively far from the railroad crossing, and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near the railroad crossing. In the installed state, the traffic signal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whether the train passes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한편, 상기 복수의 상행열차 감지센서(SA1,SA2,SA3) 중에서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에서 열차의 진입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 1경보 발생부(A1)와 제 2경보 발생부(A2) 및 제 3경보 발생부(A3)에서 각각 음성알람 및 표시재현 상태로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larm generating unit (A1) and the second alarm generating unit w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train enters from the first ascending train sensor (SA1) of the plurality of a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s (SA1, SA2, SA3). A2 and the third alarm generating unit A3 generate an alarm in the voice alarm and display reproduction stat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2상행열차 감지센서(A2)에서 열차의 진입 여부가 감지되면, 1차 차단기(C1) 및 3차 차단기(C3)가 작동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train enters in the second up train detection sensor A2, the primary breaker C1 and the tertiary breaker C3 are operated.

또, 상기 제 3상행열차 감지센서(A3)에서 열차의 진입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1차 차단기(C1)의 후단에 설치된 2차 차단기(C2)가 최종적으로 작동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건널목 진입을 최종적으로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train enters the third up train detecting sensor A3, the second breaker C2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reaker C1 is finally operated to enter the crossing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Finally it will be blocked.

한편, 상기 1차 차단기(C1)와 2차 차단기(C2)의 작동 타이밍은 상기 열차속도 감지부(VR)에서 감지되는 열차속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와 제 2상행열차 감지센서(SA2)에서 열차의 진입상태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열차속도 감지부(VR)에서 감지된 열차속도에 따라 1차 차단기(C1) 및 2차 차단기(C2)가 차단 동작을 실행하는 타이밍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timing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and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C2) is to be applied to the variable depending on the train speed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on unit (VR), the first up train detection sensor Although the first entry circuit breaker C1 and the second circuit breaker C2 are detected according to the train speed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on unit VR, the SA1 and the second up train detecting sensor SA2 detect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Allows the user to freely adjust the timing of executing the cutoff operation.

그리고, 상기 열차진입 감지센서(SA4)와 열차 통과 감지센서(SB1)에 의해 열차가 해당 철도 건널목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가 감지되면, 각 경보 발생부(A1∼A3)의 경보 발생을 중지하는 한편, 1차,2차,3차 차단기(C1∼C3)의 차단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 표시기(TR)의 교통표시 상태를 정상 운행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When the train completely passes the railroad crossing by the train entry sensor SA4 and the train passing sensor SB1, the alarm generation of each alarm generating unit A1 to A3 is stopp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eakers C1 to C3 are released from the blocking state, and the traffic display state of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is switched to the normal driving state.

한편, 동 도면에서 상기 철도 건널목에 대해서 열차가 하행선 측으로부터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하행열차 감지센서(SB2,SB3,SB4)에서 열차의 진입 여부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순서에 따라 경보 발생 및 복수의 차단기 작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train enters the railroad crossing from the descending line side in the same drawing as described above, the de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s SB2, SB3, and SB4 sequentially detect whether the train is entering. Accordingly, alarms and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re sequentially performed.

다음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에 대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Next,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the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railroad cross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은 상행열차 감지부(20)와, 하행열차 감지부(22), 교통신호 감지부(24), 신호입력부(26), 마이크로 프로세서(28), 경보발생 구동부(30), 차단기작동 제어부(32), 1차∼3차 차단기 구동모터(34,36,38), 교통신호 제어부(42), 표시신호 발생부(4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cending train detector 20, an ascending train detector 22, a traffic signal detector 24, a signal input unit 26, Microprocessor 28, alarm generation drive unit 30, breaker operation control unit 32, primary to tertiary breaker drive motors (34, 36, 38), traffic signal control unit 42, display signal generator 46 It consists of.

상기 상행열차 감지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제 3상행열차 감지센서(SA1∼SA3)와 열차진입 감지센서(SA4)를 포함하고, 상기 하행열차 감지부(22)는 상기 제 1∼제 3하행열차 감지센서(SB2∼SB4)와 열차통과 감지센서(SB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scending train detector 20 includes the first to third ascending train sensors SA1 to SA3 and a train entry sensor SA4, and the ascending train detector 22. ) Includes the first to third down train detection sensors SB2 to SB4 and the train passing detection sensor SB1.

또한, 상기 교통신호 감지부(24)는 상기 철도 건널목 부근의 교차로에 배치된 교통신호 표시기(TR)의 교통신호 표시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신호입력부(26)는 상기 상행열차 감지부(20) 및 하행열차 감지부(22)로부터의 열차 감지신호와 상기 교통신호 감지부(24)로부터의 교통신호 감지신호,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2)로부터의 장애물 감지신호, 상기 열차속도 감지부(VR)로부터의 열차속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raffic signal detection unit 24 is for detecting the traffic signal display state of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near the railroad crossing, the signal input unit 26 is the ascending train detection unit ( 20) and a train detection signal from the down train detection unit 22, a traffic signal detection signal from the traffic signal detection unit 24, an obsta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2, and the train speed detection unit ( It is for receiving the train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R) and converting it digitally and outputting it to the microprocessor 28.

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상기 신호입력부(26)를 통해 입력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발생을 제어함과 더불어, 각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교차로의 교통신호를 제어하게 되는 바, 상기 열차속도 감지부(VR)에 의해 감지되는 열차속도를 연산하여 그 열차속도에 적응적으로 1차,2차,3차 차단기(C1∼C3)의 차단 동작에 대한 타이밍을 조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28 controls the alarm gener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26,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each breaker, and controls the traffic signal of the intersection, By calculating the train speed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on unit VR, the timing for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breakers C1 to C3 is adaptively adjusted to the train speed.

동 도면에서, 상기 경보발생 구동부(3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철도 건널목에 열차가 진입하는 정도에 대응하여 제 1∼제 3경보 발생부(A1∼A3)를 순차적으로 경보발생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e same figure, the alarm generation driver 30 is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30 to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to third alarm generators A1 to A3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the train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This is to drive alarm generation.

또한, 상기 차단기작동 제어부(3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에 의해 제어되고서, 해당 철도 건널목에 열차가 진입하는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1차,2차,3차 차단기(C1∼C3)의 작동을 위해 해당 차단기(C1∼C3)의 내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34,36,38)의 회전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바, 상기 열차의 운행속도에 의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타이밍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4,36,38)의 구동 타이밍을 조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reaker operation control unit 32 is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28,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he train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breakers (C1 to C3) For operation,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motors 34, 36, and 38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ircuit breakers C1 to C3 are sequentially controlled. The timing of the microprocessor 28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is shown.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driving timing of the driving motors 34, 36, 38 is adjusted.

또, 상기 교통신호 제어부(4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제어 처리에 따라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 표시기(TR)에 교통신호를 발생시키는 교통신호 발생부(4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차가 통과하고 있는 시점에서는 차량의 멈춤을 명령하기 위해 상기 교통신호 표시기(TR)에 적색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열차가 완전히 통과한 상태에서는 해당 교통신호 표시기(TR)에 황색등 및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42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signal generator 44 for generating a traffic signal to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 of the microprocessor 28. At the time when the train passes, the red light turns on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to command the vehicle to stop, and when the train passes completely, the yellow light and the green light on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To light up.

그리고, 상기 표시신호 발생부(46)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경광부(16,18)의 경광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표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The display signal generation unit 46 generates a display signal for blinking the warning lights of the first and second warning lights 16 and 18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28.

동 도면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48)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를 포함한 각 구동 회로단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gure, the power supply unit 48 is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each driving circuit stage including the microprocessor 28.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먼저, 소정의 철도 건널목을 향하여 상행선의 열차가 진입하고 있는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신호 입력부(26)를 통해서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에서 열차의 진입상태를 감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First, when the train of the upward line is entering toward a predetermined railroad crossing, the microprocessor 28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scent train detection sensor SA1 detects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2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tep S1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상기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에서 열차의 진입상태를 감지한 결과로 열차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경보발생 구동부(30)를 제어함에 의해 1차 차단기(C1)의 전단에 설치된 제 1경보 발생부(A1)에서 경보가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철도 건널목 주변 도로의 측면에 설치된 제 2 및 제 3경보 발생부(A2,A3)에도 열차의 진입을 경고하는 경보가 발생되도록 한다(단계 S1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icroprocessor 28 determines that the trai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by the first up-coming train detection sensor SA1, the microprocessor 28 controls the alarm generation driver 30. By the first alarm generating unit (A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nd third alarm generating units (A2, A3)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around the railroad crossing Edo alarm to warn the entry of the train is to be generated (step S11).

여기서, 상기 제 1상행열차 감지센서(SA1)가 설치된 철로의 주변에 설치된 열차속도 감지부(VR)에서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열차속도 감지신호를 상기마이크로 프로세서(28)에 출력하게 된다.Here, the train speed detection unit VR installed near the railroad where the first ascending train detection sensor SA1 is installed detects the driving speed of the train and outputs a train speed detection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28.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제 2상행열차 감지센서(SA2)에서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In this state, the microprocessor 28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up train detection sensor SA2 detects the entry of the train (step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상행열차 감지센서(SA2)에서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에서는 상기 열차속도 감지부(VR)에 의해 감지되는 열차속도를 연산하여 차단기의 작동 타이밍을 산출하고서, 상기 차단기작동 제어부(32)를 작동 타이밍에 의거하여 제어함에 의해 1차 차단기 구동모터(34) 및 3차 차단기 구동모터(38)가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되어 1차 차단기(C1) 및 3차 차단기(C3)가 차단 작동되도록 하고, 표시신호 발생부(46)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1차 차단기(C1)의 프레임 상단에 설치된 제 1 및 제 2경광부(16,18)의 경광등이 예컨대 적색으로 반복적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교통신호 제어부(42)를 제어하여 교통신호 발생부(44)에서 교차로의 교통신호 표시기(TR)를 적색등으로 점멸시키도록 한다(단계 S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up train detecting sensor SA2 detects the entry of the train, the microprocessor 28 calculates the train speed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ng unit VR to break the breaker. The primary circuit breaker drive motor 34 and the tertiary circuit breaker drive motor 38 are operated at a timing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by calculat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circuit breaker and controlling the circuit breaker operation control unit 32 based on the operation timing. Rotationally driven to block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and the tertiary circuit breaker C3 and to operate the display signal generator 46 to control the display signal generator 46. The warning lights of the warning parts 16 and 18 are repeatedly blinked in r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28 controls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42 to cause the traffic signal generator 44 to flash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TR at the intersection with a red light (step S13).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상기 1차 차단기(C1)의 차단봉(1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해당 차단봉(12)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센서(12)에서 예컨대 차량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Meanwhile, the microprocessor 28 detects an obstacle such as a vehicle by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12 installed in the blocking rod 12 while the blocking rod 10 of the primary breaker C1 moves downwar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re is (step 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1차 차단기(C1)가 작동중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2)에서 장애물을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차단기작동 제어부(32)를 제어함에 의해 해당 1차 차단기(C1)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나서, 상기 단계 S14의 과정으로 재진행하게 된다(단계 S1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12 detects an obstacle even though the primary breaker C1 is in operation, the corresponding primary breaker ( After the operation of C1) is pau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process of step S14 again (step S15).

한편, 상기 단계 S1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2)에서 장애물을 감지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1차 차단기(C1)의 차단동작을 완료시켜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2 is not detecting the obstac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4,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primary breaker (C1) is completed to completely block the traffic of vehicles and pedestrians. (Step S16).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제 3상행열차 감지센서(SA3)에서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Next, the microprocessor 28 determines whether the third up train detection sensor SA3 detects the entry of the train (step S1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3상행열차 감지센서(SA3)에서 열차의 진입 상태를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열차의 운행속도에 의해 산출되는 차단 타이밍에 따라 상기 차단기작동 제어부(32)를 제어함에 의해, 2차 차단기 구동모터(36)가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1차 차단기(C1)의 이후에 설치된 2차 차단기(C2)가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하게 상기 1차 차단기(C1)를 지나쳐서 진입하는 차량 및 보행자를 최종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up train detecting sensor SA3 detects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the microprocessor 28 controls the break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blocking timing calculated by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By controlling the 32,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driving motor 36 is driven to rotate at a timing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so that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C2 installed after the primary circuit breaker C1 is cut of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inally block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inadvertently passing through the primary breaker C1 (step S18).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열차진입 감지센서(SA4)를 통해서 열차가 철도 건널목을 근접하여 진입한 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하행선 측의 열차 통과 감지센서(SB1)에서 열차가 해당 철도 건널목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를 감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Next, the microprocessor 28 detects a state in which a train enters a railroad cross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railroad crossing through a train entry sensor SA4, and the train corresponds to a train passing sensor SB1 on the downhill sid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ate of passing the railroad crossing completely is sensed (step S19).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열차통과 감지센서(SB1)에서 열차가 철도 건널목을 완전히 통과하는 상태를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에서는 상기 경보발생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제 1∼제 3경보발생부(A1∼A3)의 경보발생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상기 차단기작동 제어부(32)를 제어하여 1차∼3차 차단기 구동모터(34,36,38)를 회전구동 시킴에 의해서 상기 1차,2차,3차 차단기(C1∼C3)의 차단 작동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는 한편, 상기 교통신호 제어부(42)를 제어함에 의해 교통신호 발생부(44)에서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 표시기(TR)가 황색등 및 녹색등으로 표시 전환되도록 하여 교통신호를 원상복귀시키게 된다(단계 S2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train passage sensor SB1 determines that the train completely passes the railroad crossing, the microprocessor 28 controls the alarm generation driver 30 to control the first to the first to the second. By stopping the alarm occurrence of the third alarm generators A1 to A3 and controlling the breaker operation control unit 32 to rotate the primary to tertiary breaker drive motors 34, 36 and 38. A traffic signal indicato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in the traffic signal generator 44 by controlling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42 while releasing the blocking operation state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breakers C1 to C3. The display is switched back to the yellow light and the green light so as to return the traffic signal (step S20).

상기한 실시예를 갖는 본 고안은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cour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철도 건널목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진입상태를 다단계로 감지하고,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복수의 차단기를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단 조작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철도 건널목의 차단 조작을 적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추돌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차단기를 열차의 운행속도에 적응적으로 다단계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etecting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in multiple stages, by detec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can be block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timing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imely perform a railroad crossing blocking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risk of a collision accident, and to block a plurality of breakers in multiple stages adaptively to the speed of the train. And the safety of pedestrians can be made perfect.

Claims (5)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철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열차의 진입상태를 각각 단계적으로 감지하는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과,A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entry status of the train step by step is install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ailway from the railroad crossing, 열차가 철도 건널목으로부터 통과한 상태를 감지하는 열차통과 감지수단,Train passag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train passing through the railroad crossing, 철도 건널목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지하는 열차속도 감지수단,Train spee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train entering the railroad crossing,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열차 진입감지와 상기 열차속도 감지수단의 열차 운행속도 감지치에 따라 철도 건널목을 차단하기 위해 구동되는 차단기 구동수단,Breake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ailroad crossing in accordance with the train entry detection from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and the train running speed detection value of the train speed detecting means; 상기 철도 건널목에 대해 복수개가 다단계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에 의한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열차 운행속도에 적응적인 타이밍으로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하는 복수의 차단기 및,A plurality of railroad crossings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nd are sequentially blocked at a timing adaptive to the train traveling speed in response to the stepwise train entry detection state by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by driving the breaker driving means.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in operation,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의 단계적인 열차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기가 순차적으로 차단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열차속도 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열차의 운행속도에 대해 산출된 타이밍에 적응적으로 차단 동작되도록 상기 차단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열차통과 감지수단을 통해 열차의 통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re sequentially cut off according to the stepwise train entry detection of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ng means, and the block operation is adaptively performed based on the timing calculated for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detected by the train speed detecting means. And controlling means to control the breaker driving means, and releasing the block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breakers when the passage state of the train is sensed through the train passage detec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에서 열차의 진입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of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entry of the train is detected, further comprises an alarm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alarm,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crossing block of the railroad crossing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수단은 상기 복수의 차단기의 전방에 설치된 제 1경보 발생부와, 철도 건널목 부근의 도로 측면에 설치된 제 2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The door crossing of the railroad cross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larm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first alarm generating sec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breakers and a second alarm generating sect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road near the railroad crossing. Block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철도 건널목의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 표시기의 표시상태를 열차의 진입상태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교통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traffic sig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ailroad crossing corresponding to the entry state of the train,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열차진입 감지수단의 열차진입 감지상태와, 상기 열차통과 감지수단의 열차통과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교통신호 제어부가 교통신호 표시기의 표시상태를 절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switch the display state of the traffic signal indicator in response to the train entry detec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train entry detection means and the train passage detection state of the train pass detection means. Door system for railroad cross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단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에는 장애물의 존재를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를 갖추고 있고,The circuit breaker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includes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stacle.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해당 차단기의 차단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의 문형식 차단시스템.The control means is a door type blocking system of a railroad cros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top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breaker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KR2020010006489U 2001-03-12 2001-03-12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KR2002343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89U KR200234368Y1 (en) 2001-03-12 2001-03-12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89U KR200234368Y1 (en) 2001-03-12 2001-03-12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514A Division KR100402908B1 (en) 2001-03-12 2001-03-12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68Y1 true KR200234368Y1 (en) 2001-10-06

Family

ID=7305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89U KR200234368Y1 (en) 2001-03-12 2001-03-12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6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09B1 (en) * 2009-12-09 2011-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operation of railroad cross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09B1 (en) * 2009-12-09 2011-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operation of railroad cross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08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ith situation uninterrupted flow expressway road for corresponding danger sector outbreak situation including traffic accident frequent sector in expressway road and method thereof
KR101029096B1 (en) Method of avoiding side collision of vehicle
KR101904762B1 (en)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CN106097747B (en) A kind of crossing anticollision intelligent signal lamp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EP2752832A1 (en) Street lamp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using street lamp
JP2002024992A (en) Traffic light interlocking spe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1889957B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alarm device
CN108389407B (en) Intersection vehicle guiding auxiliary sig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ground lamp panel
JP2007272598A (en) Information device for operating state of safety driving support service
KR20160092958A (en) Method of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for signal violation in crossroad, and system of the same
CN109615875A (en) The safe inducible system of highway driving based on lane grade
CN113990087A (en) Signal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road traffic safety
KR101542715B1 (en) System for Warning Dangerous Road Section to a Driver and Inducing Speed Reduction from a Driver
KR20160092957A (en) Method of controlling traffic signal of crossroad capable of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for signal violation in crossroa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402908B1 (en)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KR200234368Y1 (en) Door type interception system for a railway crossing
WO2021131392A1 (en) Control device, vehicle,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101976196B1 (en) Traffic signal indicating apparatus and traffic sign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at
CN111429732B (en) Interleaved road se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raffic efficiency thereof by using alternate traffic rule
KR200483183Y1 (en) Aware intelligence digital traffic light
CN214123155U (en) Crossroad timing and directional guiding device
KR101121775B1 (en)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KR20000075021A (en) Safety system of a railroad crossing gate
CN108711282B (en) Signal equipment adjusting system and signal adjusting method thereof
KR200285564Y1 (en) A signal crossing gate for road cro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