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34Y1 -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34Y1
KR200234334Y1 KR2020010005745U KR20010005745U KR200234334Y1 KR 200234334 Y1 KR200234334 Y1 KR 200234334Y1 KR 2020010005745 U KR2020010005745 U KR 2020010005745U KR 20010005745 U KR20010005745 U KR 20010005745U KR 200234334 Y1 KR200234334 Y1 KR 200234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ixing
protrusion
presen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20010005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3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성형기의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류의 돌기산사이로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혼합부를 두어 혼합기 내에 투입된 원료와 각종 첨가재의 혼합작용이 배가되도록함에 있으며, 선단부로 다수개의 편심부를 형성하여 혼합된 원료를 용이하게 작업부로 이송,전달하므로서 불량률을 최소화함은 물론 양질의 제품이 생산되도록 한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전축의 외둘레로 형성되는 돌기산날개의 사이로 돌기핀이 다수열로서 구성되며, 선단부가 편심된 원추형을 취하는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본체 중앙부의 돌기산과 돌기산사이로 돌기산높이와 동일하게 돌출되며 외둘레로는 다수개의 혼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부를 형성하고, 스크류의 선단부로는 다수개의 편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를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EXTRUDING MACHINE SCREW}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성형기의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 선단부로 형성되는 편심부를 다수개로서 형성하고, 이송스크류의 사이로 믹싱보강부를 형성하여 원료와 각종 첨가물의 혼합작용을 배가하며, 다수 편심부를 통해 혼합된 기본 원료를 원활하게 이송공급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성형기의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 성형품의 성형장치인 압출기와 사출기내부로는 재료의 이송혼합수단으로서 스크류가 설치되는데, 이와같은 이송스크류는 각종 성형품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 및 첨가재료를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는 동시에 압출 또는 사출이 이루어지는 작업부로 이송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는 스크류축상에 일반적인 돌기산 날개를 갖고, 모터와 연결되는 종단부와 원추형을 이루는 스크류의 선단부로 형성되어지되, 이 선단부에 있어 원추형의 꼭지점은 스크류의 회전되는 중심축과 일치되어 형성되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스크류는 단순히 스크류상에 형성된 돌기산 날개의 회전만으로 원료와 각종첨가재(안료, 발포재, 약품류등)를 혼합하여 압출기상으로 이송하는 것인데, 이는 각종재료의 이송공급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안료와 같은 첨가재의 혼합작용이 불안정하여 제품양산시 색채가 미혼합됨에 따라 불량제품의 발생빈도가높은 것이며, 제품의 질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등록된 등록실용신안 188436호를 통해 원기둥 과 각체를 취하는 다수개 돌기핀을 돌기산 날개의 사이로 위치형성하여 첨가재와 원료의 혼합이 용이토록 한 스크류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스크류를 통해 혼합,이송되는 기본수지원료가 작업부로 용이하게 공급되도록하기 위해 스크류의 선단부를 편심되게 구성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를 개량하여 보다 원활하게 원료와 첨가재의 혼합이송과, 작업부로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류의 돌기산사이로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혼합부를 두어 혼합기 내에 투입된 원료와 각종 첨가재의 혼합작용이 배가되도록함에 있으며, 선단부로 다수개의 편심부를 형성하여 혼합된 원료를 용이하게 작업부로 이송,전달하므로서 불량률을 최소화함은 물론 양질의 제품이 생산되도록 한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전축의 외둘레로 형성되는 돌기산날개의 사이로 돌기핀이 다수열로서 구성되며, 선단부가 편심된 원추형을 취하는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본체 중앙부의 돌기산과 돌기산사이로 돌기산높이와 동일하게 돌출되며 외둘레로는 다수개의 혼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부를 형성하고, 스크류의 선단부로는 다수개의 편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를 구체적인 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크류에 있어, 혼합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 선단부의 구성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류 본체 11 : 회전축
12 : 돌기산 13 : 혼합부
111 : 종단부 112 : 편심부
131 : 혼합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에 있어 혼합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선단부 구성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회전축(11)의 외둘레로 돌기산(12)이 형성되는 스크류 본체(1) 중앙부의 돌기산 날개(12)와 돌기산(12)사이로 다수개의 혼합홈(131)을 갖는 혼합부(13)를 돌출형성하고, 스크류 본체의 선단부로는 다수개의 원추형 편심부(112)를 형성하므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본체(1)의 회전축(11)은 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단부(도면에 미도시됨)와 원추형을 취하는 선단 편심부(112)로 형성되고, 축상에 나선형의 돌기산(12)이 형성되며 돌기산(12)과 돌기산(12)사이로는 돌기핀이 형성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선단 편심부(112)를 구성함에 있어, 본 고안에서는 작업부로의 공급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한 편심부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혼합부(13)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의 중앙부로 돌기산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을 두어, 적어도 돌기산높이와 동일한 높이로서 돌출형성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혼합부(13)로는 다수개 혼합홈(131)이 규칙적인 배열로서 외둘레로 형성되어, 도 2와 같은 단면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선단으로 다수개 편심부(112)가 형성되고, 중앙부로는 혼합부(13)가 형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1)는 합성수지재 성형기인 압출기 또는 사출기에 내설된 상태에서 종단부로 연결된 모터 구동부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것인데,
혼합통내로 투입되는 원료 및 각종 첨가재는 회전되는 스크류 본체(1)의 돌기산(12)에 의해 상호 혼합되며 스크류의 중앙부로 형성된 혼합부(13)로 이송되고,
혼합부(13)에서는 혼합홈(131)이 외둘레에 촘촘히 형성되어져 있어, 이 혼합홈(131)에 의해 원료 및 각종 첨가재가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혼합부(13)를 거치면서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져 기본수지원료로 만든 후에는 계속적으로 돌기산에 의해 선단 편심부(112)로 이송하게 되며,
기본수지원료가 선단 편심부(112)에 이르렀을 때에는 다수개 편심부 각각이 갖는 편심량 만큼의 회전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선단 편심부(112)로 이동된 원료를 다시한번 휘젓는 형태로서 혼합하며 작업부의 몰드 상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에따라, 원료 및 각종 첨가재는 믹싱작용을 배가시키기 위한 혼합부(13)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고, 이렇게 혼합된 기본수지원료는 다수개 편심부에 의해 재차 혼합됨과 동시에 작동부로 강제이송하므로서 사출 또는 압출작업을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스크류(1)는 저온에서도 원료와 각종 첨가재를 충분히 혼합, 믹싱되게 하여, 재료의 성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으며, 원료 및 각종 첨가재의 균일한 혼합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는, 혼합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중앙부로 혼합부를 형성하고, 선단부로는 다수개의 편심부를 두어 기본수지재로를 재차 혼합함과 동시에 강제로 작업부로 이송하므로서 원료와 첨가재의 균일한 혼합으로 색체배합이 용이함은 물론 양질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어, 생산효율의 증대효과와 불량률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축의 외둘레로 형성되는 돌기산날개의 사이로 돌기핀이 다수열로서 구성되며, 선단부가 편심된 원추형을 취하는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본체 중앙부의 돌기산과 돌기산사이로 돌기산높이와 동일하게 돌출되며 외둘레로는 다수개의 혼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부를 형성하고, 스크류의 선단부로는 다수개의 편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성형용 스크류.
KR2020010005745U 2001-03-05 2001-03-05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KR200234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45U KR200234334Y1 (ko) 2001-03-05 2001-03-05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45U KR200234334Y1 (ko) 2001-03-05 2001-03-05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34Y1 true KR200234334Y1 (ko) 2001-09-26

Family

ID=7308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745U KR200234334Y1 (ko) 2001-03-05 2001-03-05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803A (ko) *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803A (ko) * 2020-01-22 2021-07-30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KR102394064B1 (ko) * 2020-01-22 2022-05-04 원진기계 주식회사 내부 막힘이 없는 다중 유체 혼합용 혼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2850A (en) Solvent-free, self-cleaning mixing head nozzles for reactive polymer mixes
RU235046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экструдер в сборе
EP1583641A2 (en) Intermeshing element mixer
KR100827251B1 (ko) 사출성형기의 사출스크류
CA2203324C (en) Method for continuously mixing polymer materials and associated machine with partially tangential and interpenetrating rotors
JPH0839651A (ja) 熱可塑性樹脂押出機
KR200234334Y1 (ko) 합성수지재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CN205522524U (zh) 多色彩光固化3d打印笔
KR200387533Y1 (ko) 다색떡 제조장치
CN202146733U (zh) 转子三角形排列的三转子连续混炼机组
CN202155160U (zh) 锥形双转子连续混炼机组
KR200188436Y1 (ko) 합성수지 시트 성형용 압출기 스크류
CN206561574U (zh) 硅胶注射机筒螺杆
JP4413561B2 (ja) 歯科用印象材用撹拌ミキサー
CN212422105U (zh) 一种挤出机
CN216579069U (zh) 一种高效挤出塑化结构
US3630492A (en) Mixing apparatus
JP3350211B2 (ja) 一軸可塑化スクリュ及びこのスクリュを用いた可塑化方法
CN217704153U (zh) 一种密炼双阶低烟粒机
CN216068148U (zh) 一种塑料方桶注塑前的配料混色装置
JPH05228920A (ja) スクリュー式混練機
RU207074U1 (ru) Смеситель-пластикато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имерных изделий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жидкого компонента
CN218366402U (zh) 一种挤出机
KR100469584B1 (ko) 사출기
CN217855983U (zh) 一种粉条投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