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982Y1 - 인형겸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인형겸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982Y1
KR200233982Y1 KR2020010005239U KR20010005239U KR200233982Y1 KR 200233982 Y1 KR200233982 Y1 KR 200233982Y1 KR 2020010005239 U KR2020010005239 U KR 2020010005239U KR 20010005239 U KR20010005239 U KR 20010005239U KR 200233982 Y1 KR200233982 Y1 KR 200233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space
shap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필
Original Assignee
정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필 filed Critical 정성필
Priority to KR2020010005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982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외부는 인형형상으로 구성하여 세우거나 벽에 걸어 미려함을 도모하고, 인형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인형 몸체형상의 수납장을 삽입하여 물품을 수납하도록 한 인형겸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형은 인형대로, 수납장은 수납장대로 그 사용에 있어서는 효과적이나 이들은 각자의 기능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단조롭고 효율성이 저하되었던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인형의 몸체부분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전면의 개폐부재를 통해 여닫도록 구성하되, 공간부의 하단부에는 받침부재를 삽입하여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 하면 전체에 분산되게 하고, 인형의 머리부분에는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며, 외형상 유선형을 가지면서 다층의 수납공간을 갖는 프레임을 마련하여 공간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외형상 인형형상이므로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으며, 그 내면의 공간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어 수납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가정의 어린이방에 적용하면 그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인형겸용 수납장{omitted}
본 고안은 인형겸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는 인형형상으로 구성하여 세우거나 벽에 걸어 미려함을 도모하고, 인형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인형 몸체형상의 수납장을 삽입하여 물품을 수납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인 가정에는 장농, 문갑, 싱크대 등 다양한 수납장이있는데, 이러한 수납장들은 물품을 수납하기에는 적당하나 대부분 각진 형상을 가지므로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각종 동물형상이나 캐릭터형상의 인형들은 외관상 미려함은 높으나 단지 어린이들에게 보여지는 역할만을 할 뿐 다른 기능이 없어 단조로움이 있었던 바, 최근에는 인형의 몸체에 멜로디칩을 내장하여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하거나 인형에 기계장치를 구비하여 마치 로보트와 같은 움직임을 연출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으나, 이 역시 크게 인형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는 것이므로 다른 기능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형의 몸체부분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외형상 유선형을 가지면서 다층의 수납공간을 갖는 프레임을 삽입하여 지퍼를 통해 여닫도록 함으로써 외형상으로는 인형의 미려함을 추구하고,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도록 한 인형겸용 수납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형겸용 수납장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벽체에 걸어 사용할 경우.
(b)는 바닥에 세워 사용할 경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부분 2 : 공간부
3 : 지퍼 4 : 골판지
5 : 머리부분 6 : 고리
7 : 프레임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형겸용 수납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형의 몸체부분(1) 내측에 공간부(2)를 형성하여 전면의 지퍼(3) 또는 단추와 같은 개폐부재를 통해 여닫도록 구성하되, 공간부(2)의 하단부에는 골판지(4)와 같은 받침부재를 삽입하여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 하면 전체에 분산되게 하고, 인형의머리부분(5)에는 벽체에 걸 수 있도록 고리(6)를 형성한 것으로, 인형 몸체부분(1)의 공간부(2)에는 외형상 유선형을 가지면서 다층의 수납공간을 갖는 프레임(7)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공간부(2) 전면에 지퍼(3)를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인형겸용 수납장은 일반적인 가정의 어린 이방에 사용하면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인형겸용 수납장이 외관상으로는 인형 형상이므로 어린이들이 선호할 것은 자명하며, 어린이들의 장난감 또는 작은 인형, 책 등을 그 내부에 수납하게 되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인형겸용 수납장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바닥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인형겸용 수납장을 세우기 위해서는 몸체부분(1)이 지지되어야 하므로 인형 몸체부분(1)의 공간부(2)에 프레임(7)을 삽입해야만 하며, 프레임(7)은 외형상 인형의 어깨, 몸체와 같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인형 내부에 삽입하면 외관상 완전한 인형형상이 되는 것이고, 이 경우 프레임(7)에 다단의 층을 형성하게 되면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인형겸용 수납장을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형 몸체부분(1)에 프레임(7)을 삽입할 수도 있고 반대로 프레임(7)을 삽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프레임(7)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인형 몸체부분(1)의 공간부(2) 하단면에는 골판지(4)와 같은 받침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하면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어 사용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형의 몸체부분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지퍼 또는 단추와 같은 개폐부재를 통해 여닫게 구성하고, 여기에 다층의 수납공간을 가진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체에 걸거나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일반적인 가정의 어린이방에 적용하면 외관상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인형형상이 되어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고, 내부에 장난감, 작은 인형, 책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인형의 몸체부분(1) 내측에 공간부(2)를 형성하여 전면의 개폐부재를 통해 여닫도록 구성하되, 상기 공간부(2)의 하단부에는 받침부재를 삽입하여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 하면 전체에 분산되게 하고, 상기 인형의 머리부분에는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겸용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외형상 유선형을 가지면서 다층의 수납공간을 갖는 프레임(7)을 마련하여 상기 공간부(2)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겸용 수납장.
KR2020010005239U 2001-02-27 2001-02-27 인형겸용 수납장 KR200233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39U KR200233982Y1 (ko) 2001-02-27 2001-02-27 인형겸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39U KR200233982Y1 (ko) 2001-02-27 2001-02-27 인형겸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982Y1 true KR200233982Y1 (ko) 2001-09-28

Family

ID=730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239U KR200233982Y1 (ko) 2001-02-27 2001-02-27 인형겸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9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0702A (en) Hang-it-all jewelry cabinet
US11172760B1 (en) Hanging storage enclosure
MXPA02001564A (es) Juguete infantil con cavidad interna accesible selectivamente con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asociado.
KR200233982Y1 (ko) 인형겸용 수납장
US20160213142A1 (en) Multiple access furniture chest
US20070173175A1 (en) Doll house
KR20130004896U (ko) 인형의 다양한 패션을 코디하는 수납케이스
JP3225278U (ja) 出入口扉兼用飾り棚
US5713470A (en) Stor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toys
CN105455442A (zh) 可组合移动内腔多变衣帽贮藏柜
KR200269225Y1 (ko) 다목적 인형
JP3205182U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CN209202724U (zh) 一种玩具收纳装置
KR200403106Y1 (ko) 장식물 보관부가 구성된 서랍장
KR200343991Y1 (ko) 싱크대용 수납장 조립구조
US584314A (en) Furniture
CN212332258U (zh) 一种硅胶装饰品
KR920004624Y1 (ko) 간이 보관대
KR0119610Y1 (ko) 보관함이 겸비된 동물완구
USD435990S1 (en) Hanging drawer set
JP2010047298A (ja) 構造体及び多目的容器
CN201236006Y (zh) 一种新式礼品盒
JP3121095U (ja) 吊り下げタイプの収納ラック
JP2001008813A (ja) 小箱付きハンガー
KR0171264B1 (ko) 일체형 사물함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